설화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옛날부터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설화와 소설은 둘 다 서사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설화는 화자와 청자 사이에서 구전되어 전승되는 이야기이고 소설은 기록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둘은 유사한 것처럼 보이지만 차이가 있다. 설화 역시 근래에 기록이 되기도 하지만 보존을 목적으로 기록화한 것일 뿐 이것이 설화가 가진 본래의 속...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불의 발원에 관계된 설화. 영암군에서는 「개 심부름」이라는 노래를 부르면서 땔감이 되는 솔방울을 주우러 다니는 풍습이 전해 내려왔다. 여기에는 돌 속에 불씨가 들어 있다는 부싯돌과 관련된 설화가 함께 전해진다. 부싯돌이 쇠와 부딪쳐 불씨를 만들어 내는 것과 솔방울을 모아 불을 피우고 보존하던 모습에서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개 심부름 설화」는 세상에...
-
전라남도 영암군 도포면 영호리에 있는 병을 고치는 샘물에 얽힌 이야기. 「곱사등이 고친 약샘」은 약수를 마시고 병을 고친 이야기이다. 도포면은 대부분 넓은 간척지와 낮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뭄에 품어 올리는 물을 바라보다가 목이 말라 물을 한잔 얻어 마시자 불편한 몸이 건강해졌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도포면 영호...
-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연소리에 있는 고개에 얽힌 이야기. 「구렁이가 된 욕심쟁이 둘째」는 노부부가 불공을 드려 어렵게 낳은 세쌍둥이 중 둘째가 욕심이 많아 구렁이로 변했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금정면 연소리에 결혼한 지 10년이 되도록 아이가 없는 노부부가 살았다. 노부부는 아이를 낳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하다가 허물어...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농덕리 율산 마을에서 전해 오는 백운 도사 문이계에 관련된 이야기. 효자이며 형제간의 우애도 좋았던 문이계는 일찍이 부모 형제를 여읜 뒤로 후학 양성에 힘썼다. 「구름을 부린 백운 도사」는 문이계에 관련되어 전해 오는 기이한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숙종(肅宗) 때, 지금의 영암군 영암읍 농덕리...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개흙을 얼굴에 칠하면서 노래 부르던 풍속과 관련된 설화. 영암군에서는 아이들이 개흙을 얼굴에 칠하고 바다에 들어가는 풍속이 있었다. 예부터 잘 생긴 사람, 특히 어여쁜 여자는 용왕[물귀신]이 데려간다고 하여 바다에 들어갈 때는 못생겨 보이도록 먼저 얼굴에 얼룩덜룩 칠을 하였다. 「깊은 모실 설화」는 누나가 바다에 나갔다가 용왕에게 끌려가 돌아오지 않자 남동생이...
-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아천리에 살던 효자가 어머니의 병을 고쳐 드린 이야기. 어머니의 병을 낫게 하기 위해 백일기도를 드리고 산삼을 얻어 병을 고친다는 이야기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전해 오는 효행담의 한 종류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금정면 아천리에 만석이라는 효자가 살았다. 만석은 어머니가 쌍계사에 지성스럽게 불공을 드려 쉰 살...
-
전라남도 영암군에 전해지는 호박꽃과 박꽃에 얽힌 설화. 박꽃과 호박꽃에 대해서 영암군에는 아름다운 설화 한 편이 전해진다. 사이 나쁜 쌍둥이 자매가 뒤늦게 잘못을 깨닫고 서로를 많이 그리워하더니 죽어서 호박꽃과 박꽃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아이들이 부르는 노래로도 연행되어 전승되었다. 1998년 펴낸 『영암군지』에 「단꽃 설화」와 이야기에 얽힌 노래가 같이 실려 있다. 아주 오랜...
-
전라남도 영암군 월출산에 전해 오는 달 각시와 관련된 설화. 월출산 인근에 살던 칠뜨기라는 어수룩한 총각이 달 각시를 맞이하여 즐겁게 지내다 늙은 어머니 때문에 아내를 잃는다는 이야기이다. 달 각시는 달나라로 돌아가지 못하고 풀벌레로 변하였다. 「달 각시 설화」와 관련된 노래도 함께 전하고 있다. 월출산 달밤의 풀벌레 소리를 서정적으로 승화시킨 설화이자 노래로 지역의 특성과 사람들...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마산리 오산 마을에 있는 칼바위에 얽힌 이야기. 「닭과 지네 싸움을 막은 칼바위」는 동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동물담으로, 지네와 닭이 백 년을 주기로 서로 싸움을 벌이고 이 싸움을 막기 위해 마을 사람들이 처방을 하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군서면 마산리(馬山里) 오산(伍山) 마을에는 지네가 많이...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덕진리 교번 마을 덕진교에 얽힌 이야기. 주막을 운영하는 덕진이라는 여인이 죽어서 새로 부임한 원님의 꿈에 나타나 자신이 모은 돈으로 다리를 놓아 달라 부탁하는 이야기이다. 원님은 덕진의 부탁대로 다리를 놓고 다리에 덕진의 이름을 붙였다. 변남주가 덕진면 덕진리 교변 마을 주민 서동열에게서 2012년 12월 11일 인터뷰 채록하였다. 덕진면 덕진리에 있는 덕...
-
전라남도 영암군 도포면 도포리에 전해 오는 줄다리기 시합의 유래에 관한 이야기. 「도포 줄다리기에 얽힌 전설」은 두 포수가 월출산 호랑이를 잡는 이야기인데, 이 이야기에서 도포면 줄다리기가 유래하였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강 포수와 김 포수는 설악산과 내장산을 두루 다니며 호랑이와 멧돼지 등을 잡았다. 암벽이 많은 월출산에 사는 호...
-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채지리에서 전해 오는 독천 우시장의 유래담. 「독천 우시장 유래」는 명당을 찾은 경주 이씨 가문이 명당 때문에 어려움을 겪다가 결국 풍수의 조언으로 어려움을 해결하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시대 영암읍에 경주 이씨들이 살고 있었다. 고려 후기 대문장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1287~1367...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이천리에 전해 오는 부부 이야기. 「마누라 은공으로 살아난 황 진사 아들」은 황 진사 부부가 덕이 부족한 아들의 성격을 알고 이를 덮어줄 현명하고 덕 많은여자와 결혼시켜 뒷날 이 며느리 덕에 아들이 위기에서 벗어나는 이야기이다. 권선징악의 교훈담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마을 동편에 골짜기가 있어서 유달리...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에서 전승되는 도갑사 대웅전 서까래 양식에 얽힌 이야기. 「며느리의 도움으로 완성된 도갑사 대웅전」은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에 있는 대웅전의 서까래 양식에 관련된 전설로, 시아버지가 저지른 실수를 며느리의 기지로 해결하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도갑사는 영암군 월출산(月出山) 자락에 위치한 유명한...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월평리에서 전해 오는 지소(池沼)에 얽힌 이야기. 「명숫돌이 나온 여석산」은 왕건이 후백제를 토벌하러 와서 영특한 처녀를 만나 결혼하고 그 부인의 도움으로 무사히 공을 세웠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영암군 신북면 월평리(月坪里) 야산에는 명주실 세 꾸리가 들어갈 만큼 깊고 가뭄이 들면 관개용수로 이...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에서 전해 오는 약수와 관련된 이야기. 「문둥병을 고친 용수등 약물」은 병에 걸려 떠돌던 어머니와 아들이 약물을 발견하여 병을 고치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허름한 옷을 입고 얼굴에 땟국이 흐르는 한 여인이 어린 아들을 업고 길을 가고 있었다. 이 여인은 원래 양갓집 며느리였으나 문둥병에 걸려...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 광암 마을에서 미륵비에 지내는 제사에 얽힌 이야기. 「미륵비에 제사 부탁한 정 고자」는 대를 잇지 못한 것을 한탄한 정 부자의 아들이 세상을 떠나면서 미륵비에 제사를 지내 달라고 부탁하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선조(宣祖) 때 광암 마을에 정 부자가 살았다. 정 부자는 자식이 없다가 늘그...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에 전해오는 최지몽에 얽힌 이야기. 「별을 보고 천기를 점친 최지몽」은 최지몽의 일대기에 대한 이야기이다. 천기를 읽을 줄 아는 최지몽은 그 덕분에 벼슬을 하지만 겸손하지 못해 왕의 미움을 산다. 하지만 다시 중용되어 정부의 요직에 오른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907년 최상흔(崔相昕)의 아들로 태어난...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승되는 바위 이름에 얽힌 이야기. 세속적인 부귀와 권세를 버린 정씨가 자신을 따르는 무리와 함께 이상향을 뜻하는 ‘별천지’를 월출산의 정천대에서 찾는다는 이야기이다. 별천지가 월출산에 있다는 점에서 당시 사람들의 월출산에 대한 경외의 마음을 알 수 있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된 내용을 보완하였다. 옛날 정씨 성을 가진 사람...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제비의 이름과 관련된 설화. 제비가 지지배배 울게 된 유래가 담긴 이야기이다. 풍기문란으로 붙잡힌 원님의 딸과 총각이 ‘보리 서 되’, ‘쌀 서 되’라 실랑이를 하였을 뿐이라며 억울함을 호소하였지만 끝내 죽게 된 이야기이다. 딸과 총각은 죽어서 제비가 되었다. 「보리 서 되 쌀 서 되 설화」와 관련된 노래도 전해진다. 1998년 펴낸 『영암군지』에 「보...
-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안노리에서 전해 오는 당산나무에 얽힌 이야기. 당산나무와 관련된 금기를 지키지 않아 마을에 불행한 일이 생기다가 정성스럽게 당산제를 지냄으로써 화를 면하였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금정면 안노리(安老里)에는 신통한 당산나무가 전해 오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집안에 어떤 일이 생기면 꼭 마을 앞 당산...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개신리에 전해 오는 영험한 미륵불에 관련된 이야기. 「불공 드려 힘 얻은 천하장사」는 몸이 약한 머슴이 미륵불에게 백일 기도를 올려 천하장사가 된다는 이야기이다. 주인공 머슴은 착한 성품 덕분에 복을 받는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영암읍에 최씨라는 한 부자가 장씨라는 유순하고 착한 청년을 머슴으로 두었는데, 장...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소산리 장재동 마을에서 전해 오는 효자의 이야기. 「산삼을 구한 효자와 원한 푼 여인」은 효자가 병든 어머니를 낫게 하기 위해 노승이 알려 준 산속으로 산삼을 캐러 갔다가 여인의 원혼을 만나는 이야기이다. 효자는 산삼을 캐다 어머니의 병을 낫게 하고 고을 사또가 되어 여인의 원한도 풀어 준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
-
전라남도 영암군 도포면 수산리 선불 마을에서 전승되는 사찰 건립과 지명에 얽힌 이야기. 「생불이 있었던 선불사와 선불리」는 영암군 도포면 수산리(水山里)에 있는 자연 부락인 선불 마을과 지금은 절터만 남아 있는 선불사(仙佛寺)가 생겨난 유래를 담고 있다. 효성이 지극한 청년이 부처와 관세음보살을 만나기를 간절히 바라다 생불이 된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간한 『영암...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학리 우암 마을에 있는 바위 이름에 얽힌 이야기. 「소가 죽어서 된 소바위」는 성품이 나쁜 주인에게 학대받은 소가 죽어서 변한 바위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 난폭하고 성품이 좋지 않은 한 부자가 있었다. 부자의 집에는 복동이라는 어린 머슴이 있었다. 마음씨가 착하고 효심이 깊은 복동이는...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송정 마을에 전해 오는 소나무와 우물에 올리는 당제의 유래와 관련된 이야기. 「소나무를 지킨 호랑이와 처녀」는 마을이 여자가 누워 있는 형상인 이유와 마을에서 소나무와 우물에 대한 당제를 오랫동안 올리게 된 유래를 뒷받침하는 이야기이다. 당제는 1589년(선조 34)경부터 매년 정월 대보름을 기하여 지낸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양장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지명 유래담. 「스님을 넣고 막은 진남제」는 제방 물막이 공사를 계속 실패하다가 승려의 희생으로 공사를 성공한다는 이야기이다. 향토 문화 진흥원에서 발행한 『왕인과 도선의 마을 구림(鳩林)』에 수록된 「지남제를 막은 임구령」을 바탕으로 『영암 신문』에 수록된 내용과 영암군의 전 문화재 전문 위원 박정웅에게 제보를 받은 내용을 재구성하...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학리에서 전승되는 우물 자리에 얽힌 이야기. 「스님이 알려 준 우물 자리」는 물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다가 스님의 도움으로 물이 풍부한 우물 자리를 찾는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시종면 신학리 마을 사람들은 소나무가 울창한 둔덕에 집을 짓고 살았는데, 그동안 이용하던 우물이 말라 새 우물을 파야 했...
-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연소리에서 전해 오는 말 무덤에 얽힌 이야기. 「실수로 용마를 베어 버린 정 장군」은 용맹스러운 의병장 정마돌이 현감에게 하사받은 훌륭한 말을 자신의 착각으로 죽이는 이야기이다. 신중하지 못한 행동을 경계하는 교훈담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정마돌은 어려서부터 칼싸움과 사냥 놀이를 좋아하였는데 가끔 활성산(活...
-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춘동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녀 이야기. 「아버지 병을 고치고 손가락 잃은 효녀」는 어머니를 일찍 여의고 아버지 손에서 자란 소녀가 산신 덕분에 아버지의 병을 낫게 하지만 그 대신 손가락을 잃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황 영감에게는 딸이 하나 있었다. 부인은 오래전 딸을 낳다가 세상을 떠났다. 황 영감...
-
전라남도 영암군에 전해 오는 재주 많은 여인에 관한 이야기. 「양 군수와 참한 소실」은 우연히 맺은 인연을 잊지 않고 혼인한 여자가 결국 남편의 사랑을 받고 훌륭한 아들을 낳아 키운다는 이야기이다. 1972년 영암군 향토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영암군 향토지』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성종(成宗)[1457~1494] 때 영암 군수로 부임한 양희수가 일행과 함께 장성의 한 마을을...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서남리에 전해 오는 샘 이름에 얽힌 이야기. 「양달사 장군과 장독골샘」은 조선 시대 무신인 양달사(梁達泗)[1519~1555]가 의병을 이끌고 왜적과 싸울 때 물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다가 군령기를 꽂은 장소에서 물이 솟아 대승하였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양달사는 1519년(중종 14) 영암군 도...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월평리 여석산에 있는 샘 이름에 얽힌 이야기. 「여석산 용궁샘과 거북」는 어이없는 사고로 죽은 승려가 거북으로 환생한 이야기이다. 승려가 환생한 거북은 용궁샘에 살다가 사람들에게 잡혀 죽을 위기에 처하였지만 젊은이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하고 마을의 가뭄을 해소하여 주었다. 1999년 우리 출판사에서 발행한 『한국 불교 전설』 99-전라도편에 수록되어 있다. 여...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용흥리 봉덕 마을에 전해 오는 밭에 얽힌 이야기. 영암군 영암읍 용흥리(龍興里) 봉덕 마을에 전해 오는 「영혼을 달래고 다시 농사지은 진산밭」은 일제 강점기에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과 그 영혼을 달래기 위해 제사를 지낸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영암 용흥리 봉덕 마을 문 영감네 집에는 500평 남짓한...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에 전해 내려오는 왕인의 출생지에 관한 이야기. 「왕인과 성기동」은 백제의 박사인 왕인이 태어난 성기동 마을과 그 주변의 유적들을 소개하고 있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 1995년 한국 교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발행한 『백제 왕인 박사 사적 연구』에 수록된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월출산의 정기를 받아 태어났다고 전해지는 왕인...
-
전라남도 영암군에 전해 오는 백제의 왕인 박사와 관련된 유적 이야기. 「왕인이 고향 집을 돌아보던 돌정 고개」는 왕인이 왜(倭)로 떠날 때 고향을 돌아보던 장소와 배를 타던 장소에 대한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간한 『영암의 전설집』과 1995년 한국 교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간한 『백제 왕인 박사 사적 연구』에 수록된 내용을 보완하였다. 수려하고 아름다운 월출산의...
-
전라남도 영암군에 전해 오는 백제의 왕인 박사와 관련된 유적 이야기. 「왕인이 동문수학하던 양사재」는 왕인이 공부하던 양사재의 위치, 왕인의 학문적 성취, 그리고 일본으로 가는 왕인에 대한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간한 『영암의 전설집』과 1995년 한국 교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간한 『백제 왕인 박사 사적 연구』에 수록된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왕인(王仁)[?~?]...
-
전라남도 영암군 월출산 기슭에 있는 동굴과 왕인에 관련된 이야기. 「왕인이 책을 읽던 책굴」은 백제의 학자 왕인이 학문을 연마하던 장소인 자연 동굴과 그 주변에 관한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간한 『영암의 전설집』과 1995년 한국 교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간한 『백제 왕인 박사 사적 연구』에 수록된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영암군을 병풍처럼 감싸고 있는 월출산(月出山...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와우리의 지명과 관련된 이야기. 「욕심으로 명당을 잃어버린 게명당」은 욕심 많은 부자가 명당을 차지하려다 명당을 훼손하게 되어 벌을 받는다는 이야기이다. 지나친 욕심을 경계해야만 복을 받는다는 교훈담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영암군 시종면의 바닷가 마을 와우리(臥牛里)에 처음 자리 잡은 임씨는 매우 부지런하여...
-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세류리 궁성산에서 전해 내려오는 굴 이름에 얽힌 유래담. 「욕심으로 잃어버린 쌀 나오던 천석굴」은 석굴에서 수도를 하던 승려들이 석벽에서 하루에 꼭 필요한 만큼의 쌀이 나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어느 날 한 승려가 욕심이 생겨 구멍을 쑤신 후로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는 이야기이다. 아무리 좋은 것도 욕심을 부리면 모두 잃게 된다는 교훈담이다. 1994년 영암...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삼포리에서 전해 오는 바위 이름에 얽힌 이야기. 「용녀에게 현혹되어 돌이 되어 버린 스님」은 깨달음을 얻기 위해 고행 정진을 마다하지 않던 승려가 용녀를 보고 현혹되어서 불도를 성취하지 못한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엄계산의 작은 암자에서 수도에 정진하고 있던 승려 지선은 원래 대흥사에서 큰스님을 부모...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월롱리에서 전해 오는 해나무 당산에 얽힌 이야기. 「용왕님의 딸이 깃든 해나무 당산」은 용신이 해나무 당산에 깃들어 해마다 제사를 받는데, 제사를 지낼 때 지켜야 할 금기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갈등이 일어난다는 이야기이다. 갈등은 마을 사람들의 사죄로 해소된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영암군 시종면 월롱리에 처...
-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청용리에 있는 용바위에 얽힌 이야기 「용이 승천하지 못하고 된 용바위」는 가난하지만 서로 사랑하는 남녀가 결혼하여 살다가 실수로 아내가 죽자 아내를 잊지 못한 남편이 용이 된 이야기이다. 결국 남편은 승천하지 못한다. 1994년에 영암 문화원에서 발간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금정면 청용 마을에 부지런하고 착한 총각이 살았다. 이 총각은 이웃에...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에서 전해 오는 승려 원도에 대한 이야기. 「원도 도사와 쌀 나오는 구멍」은 절 주변의 바위에 있는 구멍에서 쌀이 나왔는데, 상좌(上佐)의 욕심 때문에 아무것도 나오지 않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아무리 좋은 것도 욕심을 부리면 모두 잃게 된다는 교훈담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龍塘里...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구정봉과 신령암에 얽힌 이야기. 「월출산의 구정봉과 신령암」은 어릴 때부터 뛰어난 재주를 보이던 동차진이 자신의 교만함을 버리지 못하고 날뛰다가 하늘의 벌을 받는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월출산(月出山)[809m]의 최고봉은 천황봉(天皇峰)이고 그 아래 서북쪽에 있는 봉우리가 구정봉(九井...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에 명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신과 잃어버린 군왕지지 명당」은 서자로 설움을 받던 이신이 군왕지(君王地)에 어머니의 묏자리를 쓰려다 실패하는 이야기이다.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된 명당 획득에 실패하는 유형의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선조(宣祖)[1552~1608] 때 해남군 마산면 맹...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에 있는 비각에 전승되는 효자 이야기. 「장원 급제한 효자와 삼효각」에서는 영암읍 농덕리(農德里)에 있는 삼효각(三孝閣)의 유래를 밝히고 있다. 효자가 고난을 뚫고 효를 실천하는 모습이 드러나 옛사람의 효행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정조(正祖)[1752~1800] 때 지금의 영암군...
-
전라남도 영암군에 전해 오는 한석봉과 어머니에 관한 이야기. 영암군에서는 석봉 한호와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전승되고 있다. 「죽림 정사에서 한석봉을 길러 낸 어머니」는 한석봉의 교육을 위해 영암에 온 한석봉의 어머니가 떡을 팔며 아들을 뒷바라지한 이야기이다. 2007년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발행한 『영암 한석봉 관련 유적 조사』와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의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사전(h...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명동리에서 전해 오는 벼락 바위의 이름에 얽힌 이야기. 백 년 묵은 지네 때문에 괴로움을 당한 사람들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자 하늘에서 벼락을 내려 지네를 죽인다는 지명 유래담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영암의 오봉산[백룡산(白龍山)] 자락 아래에는 명동리(明洞里)라는 경관도 좋고 인심도 좋은 마을이 있었다. 그...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구림리에서 전승되는 도선 국사와 관련된 이야기. 「풍수지리의 대가 도선 국사」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재주가 남달랐던 도선 국사가 중국에서 풍수지리를 공부한 후 훗날 나라를 위해 큰일을 한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통일 신라 말엽, 성기동의 한 처녀가 겨울에 우물로 빨래를 하러 나왔다가 파란 오이가...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역리 1구에 전승되는 마을 이름에 얽힌 이야기. 「하늘로 승천한 백룡」은 영암읍 역리(驛里) 1구 백연동(白淵洞)이라는 작은 자연 부락에 전해 오는 전설이다. 마을 뒤에 깨진 바위에 용이 승천한 흔적이라는 전설이 전해 오고 있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된 내용을 보완하였다. 영암의 한 마을 뒤 작은 연못 옆에 오래전부터 이...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에 전해 오는 바위 이름에 얽힌 이야기. 「학이 알을 낳은 자리로 이사하여 자식 낳은 부인」은 자식을 못 낳던 부부가 학이 현몽한 꿈을 꾸고 그곳으로 이사하여 대가 끊이지 않고 집안이 번성하였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최씨 집안에 외아들을 둔 한 노부부가 있었다. 노부부는 자손을 많이 보아야...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옥야리 남해포에 있는 남해당에 얽힌 이야기. 「현종의 목숨을 구해 준 남해포 수신」은 고려 현종(顯宗)[992~1031]이 남해포(南海浦) 수신(水神)의 도움으로 전쟁에서 크게 이기자 보은하기 위해 남해당에 제각을 짓고 제사를 지내게 한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고려 현종 원년인 1010년, 고려의 친...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몽해리에서 전해 오는 김완 장군에 얽힌 이야기. 「호랑이 도와주고 명당 잡은 김완 장군」은 어린 시절 시련을 겪은 김완이 호랑이에게 도움을 주고 호랑이의 보은으로 명당을 잡아 복을 받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시대 무신으로 큰 활약을 한 김완(金完)[1577~1635]은 아버지 김극조(金克祧)와...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 호동 마을에서 전해 오는 바위 이름과 지명에 얽힌 이야기. 「호랑이의 횡포를 막은 황 포수」는 황 포수 때문에 사냥을 못해 굶주린 호랑이가 개와 친해져 사람에게는 더 이상 피해를 주지 않았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간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호동 마을의 황명달 포수는 지리산 근처에서 황소만한 호랑이를 잡은 적이 있는...
-
전라남도 영암군에 전해 내려오는 최경창과 홍랑의 사랑 이야기. 「홍랑과 고죽 최경창의 애틋한 사랑」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시인인 최경창과 기생 홍랑과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이다. 최경창은 북해평사로 함경도 경성에 부임하였을 때 기생 홍랑을 만나 사랑을 나누었다. 홍랑은 최경창이 죽은 후 3년 동안 시묘를 하는 등 뛰어난 절개를 보여 주었다. 2002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고죽...
-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묵동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마을 이름과 관련된 이야기. 「화기 피해 마을 이름 바꾼 묵동 마을」은 두 청년이 우연히 발견한 먹 덕분에 묵동 마을이 계속 번성하다가, 마을 이름을 바꾸고 나서 변란이 발생하자 마을 이름을 다시 원래대로 바꾼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고연규와 곽진영은 무척 친한 친구였는데...
-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와운리에 전해 오는 마을 이름과 관련된 이야기. 유공신이 어머니의 시묘를 한 후 어려서 못하였던 아버지의 시묘까지 할 때 임진왜란이 일어났으나 유공신의 효행에 감동한 하늘의 도움으로 무사했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의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선조(宣祖) 때 유공신(柳公信)이라는 효자가 살았다. 유공신은 어려서 아버지를...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나불리에 전해 오는 나불도, 계도, 목포 갓바위에 얽힌 이야기. 「후궁에게 하사한 나불도」는 고려 충렬왕(忠烈王)[1236~1308]이 후궁에게 나불도(羅佛島), 계도(鷄島), 문도(文島, 門島)를 선물한 이야기이다. 바다를 사이에 둔 이들 섬은 뱃길을 통해 왕래하던 시절에는 같은 이야기를 공유하던 공동 생활권이었다. 1994년 영암 문화원에서 발행한 『영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