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1484
이칭/별칭 비짜락,비짜루,비짜리,비찌락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명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청소 도구

[정의]

살림집에서 먼지나 쓰레기를 쓸어내는 데에 쓰이는 청소 도구.

[개설]

는 먼지나 쓰레기를 쓸어내는 살림 도구의 하나이다. 의 옛말은 뷔이며, 지역에 따라서는 비짜락·비짜루·비짜리 따위로 부르고 있으나 영암 지역에서는 비찌락이라 부른다.

만드는 모양도 여러 가지이고 재료 또한 다양해서 짚·띠·싸리·수수·소나무뿌리털·동물 꼬리털·청올치·대[竹] 등으로 만든다. 그래서 재료에 따라 장목수수비·장목비·댑싸리비·개꼬리비·청올치비·솔뿌리비·띠비·개꼬리비·소나무뿌리털비 따위의 이름이 있다. 또 쓰이는 용도에 따라서도 방비·마당비·부엌비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는 비틀을 이용해 만든다. 비틀은 를 단단히 동여서 맬 때 도구로 쓰이는 끈을 가리켜 이르는 말이다. 흔히 ‘비틀’이라 부르지만, 『민족 생활어 사전』에서는 ‘조르개끈’이라고 표현했다. 틀이란 ‘간단한 구조로 된 기계나 장치’의 뜻이 담겨 있기 때문에, ‘비틀’이라기보다는 ‘조르개끈’이나 또는 ‘비맬끈’이라고 명칭을 바꿔 표현하는 것이 좀 더 합리적일 것 같다.

[연원 및 변천]

의 기원은 초기 철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광주광역시 신창동 저습지 유적에서 빗자루를 비롯한 새끼 등 근대·현대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민구(民具)와 유사한 유물들이 다량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 유적은 초기 철기 시대 말에서 원삼국 시대에 이르는 시기의 여러 유구가 복합된 거대한 유적으로, 당시의 생활 문화를 복원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나일론 섬유나 플라스틱 재질의 빗자루 및 진공청소기 등이 보급되면서 의 사용 빈도가 갈수록 줄어들어 옛 방식에 의한 제작이 이루어지 않기 때문에 예전의 는 이제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게 되었다.

[형태]

영암 지역에서 주로 사용했던 의 재료는 볏짚목과 수수 또는 싸리와 대를 이용했다. 볏짚목은 방비, 수수는 부엌비, 싸리나 대는 주로 마당비의 재료로 쓰였다. 크기는 일정하지 않지만 방비와 부엌비의 경우는 대체로 손잡이 부분이 한 손으로 쥘 수 있을 정도로 둥근 일자형이며, 밑 부분은 부채를 펴놓은 것 같은데 전체적인 형태는 L자형이다. 그리고 마당비는 싸리나 대나무 가지를 한 움큼 가지런히 모아 그 속에 손잡이로 쓰일 긴 대를 박아 넣고 이것이 빠지지 않도록 서너 군데를 단단히 묶었는데 요즘도 흔히 볼 수 있는 대비의 형태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우리 민담에는 부엌비가 도깨비로 변하는 내용의 것이 많다. 도깨비를 잡아서 묶어놓고 이튿날 보면 에 피가 묻어 있더라는 따위의 이야기는 어떤 농촌에나 퍼져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여인네가 를 깔고 앉아 일하는 경우, 이때 달거리가 묻는 것을 경계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 부엌비의 주요 재료였던 수수는 민속신앙의 소재로 쓰였는데, 색이 붉어 아이들의 돌 때 못된 귀신을 막아 준다고 하여 붉은 수수팥떡을 만들어 먹었다. 그리고 수수대로 빗자루를 만들었던 것도 그 로 쓰레기에 숨어 있을 잡귀를 쓸어내려고 했던 게 아닌가 싶다.

우리 속담에 “가을마당에 빗자루 몽당이를 들고 춤을 추어도 농사 밑이 어둑하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가을에 타작을 끝낸 후 줄 것을 주고 갚을 것을 갚고 나니 빈손이 된 듯해도 그래도 어딘가에 먹을 것이 남아 있다는 뜻으로, 그만큼 농사일은 실속 있고 든든한 것이라는 생각이 깃들어 있는 말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