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암문화대전 > 영암향토문화백과 > 삶의 방식(생활·민속) > 생활 > 의생활
-
전라남도 영암 지역 사람들이 입었던 의복 및 이와 관련된 생활 풍속. 옷은 인간 생활을 영위하고 필수적으로 몸을 보호하며 예의를 갖추는 데 필요한 것으로 오랜 세월과 더불어 고유한 현상을 지니면서 변천 발전해 왔다. 우리나라는 고대로부터 조선 시대까지 남자는 바지·저고리, 여자는 치마·저고리를 기본으로 하는 복식이 이어져 왔다. 개항기 이후에 외래 문물의 유입과 서구화로 급격한 사...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삼을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 신던 신. 미투리는 삼이나 모시 껍질 또는 실, 헝겊, 종이 따위로 가늘게 꼰 노끈을 이용하여 삼은 신을 말한다. 마혜(麻鞋)·망혜(芒鞋)·마구(麻屨)·승혜(繩鞋)·삼신이라고도 불렀다. 미투리는 보통 여섯 개의 날에 50~60개의 총을 세워 정교하고 날씬하게 만드는데, 만든 재료나 만듦새 또는 만든 곳에 따라서 왕골신[菅履], 청올치신...
-
전라남도 영암 지역에서 각종 의례 때에 특별히 갖추어 입는 예복. 의례복은 혼례나 상례 등 각종 의례 때 예를 갖추기 위해서 입는 옷이다. 영암 지역에서 입었던 의례복에는 혼례복, 제복(祭服), 상복(喪服), 돌복 등이 있다. 관복은 고대 관리들의 예복이었으나 조선 시대 이후에는 혼례복으로 사용되었다. 도복은 도학자나 유학자들이 입는 예복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제례복으로 통용되고 있다...
-
전라남도 영암에서 생산한 빗살이 아주 가늘고 촘촘한 대빗. 참빗은 머리를 정갈하게 다듬는데 주로 사용하는 빗으로, 대쪽을 잘게 쪼개서 살을 만들고 앞뒤로 대쪽이나 목제·우골(牛骨)을 대어 굳힌 아주 가늘고 촘촘한 빗이다. 진소(眞梳)라고도 한다. 낙랑 유적에서 목제 머리빗이 발견된 일이 있고, 삼국 시대 고분에서도 대모로 만든 빗이 발견되었다. 또 통일 신라의 것으로서 특이한 형태...
-
전라남도 영암 지역 사람들이 일상적인 활동을 할 때 입는 옷. 영암 지역 사람들이 일상적인 활동을 할 때 입는 평상복은 우리나라 다른 지역과 크게 다르지 않다. 대게 전통 시대에는 바지, 저고리 등의 남자 복식과 치마, 저고리 등의 여자 복식을 기본으로 하여 자가 제작 혹은 바느질하는 사람들에게 맡겨 제작하다가, 해방 이후부터 급속하게 기성품으로 대체되는 변화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