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가갸 타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1770
이칭/별칭 가가 타령,가갸거겨 타령,한글풀이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집필자 이윤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유희요
기능 구분 유희요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한글풀이를 위한 유희요.

[개설]

「가갸 타령」은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영암군에서는 ‘가가 타령’, ‘가갸거겨 타령’, ‘한글풀이’ 등으로 불리지만 영암군의 지역 특색이 크게 드러나지는 않는다.

[채록/수집 상황]

영암군 시종면에서 이경엽, 김혜정, 최명림, 박정경에 의해 수집된 「가갸 타령」이 2003년 11월 1일자로 한국학 중앙 연구원 왕실 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의 한국 민요 대관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이경엽 외 조사자들에 의해 채록된 「가갸 타령」의 가사는 아래와 같다.

기억 니은/ 기억 당/ 기억자로/ 집을 지어// 천만년을/ 살잤더니/ 다만 일년도/ 못 살었네// 가갸거겨/ 가련하다고/ 가신 님이/ 금년 금년도/ 아니 오네// 고교구규/ 곱고 고운/ 우리 낭군/ 고운 정을/ 잊지 마소// 나냐너녀/ 너하고 나하고/ 사잤더니/ 니가 어찌/ 낫낫하냐// 다댜더뎌/ 다정하다고/ 삼삼으믄/ 더덧없이도/ 기다렸네// 도됴두듀/ 도하고/ 적막헌디/ 천연 일색/ 뿐이로다// 라랴러려/ 날아가는/ 저 기러기/ 훨훨훨히/ 신세로다// 로료루류/ 녹의홍상/ 바사들고/ 유리벽창/ 내다보니/ 낭군소식은/ 전혀 없네// 마먀머며/말 기 용마를/ 휘어타고/ 쉬어간들/ 내말까// 모묘무뮤/ 모듬 삼월/ 다 보내도/그저 한들/ 뿐이로세// 바뱌버벼/ 밥을 먹자고/ 지었건만/ 벗이 없어/ 못 먹겄네// 보뵤부뷰/ 복숭아는/ 붉었는데/ 뉘로 하여/ 맛을 볼까// 사샤서셔/ 사면자초/ 빈방 안에/ 호사하는/ 내 팔자라// 소쇼수슈/ 소식은/ 적막한디/ 소산남기/ 산장세라// 아야어여/ 아양 놓고/ 고소대 헌뜻 들었던/ 일광단초매를/ 뉠로 하야/ 입어 볼꼬// 오요우유/ 오동남기/ 처진데는/ 요내 눈물을/ 당할소냐// 자쟈저져/ 자이후유/ 야 이놈들아/ 주일 구경이/ 왜 멋이냐// 조죠주쥬/ 초향에/ 목동들아/ 깊이 든 잠을/ 깨지 마라// 카캬커켜/ 배매장도/ 드는 칼로/ 구일매장을/ 베일소냐// 코쿄쿠큐/ 콜콜무린/ 이내 마음/ 황새잡어/ 돌아갈 때/ 쿵쿵파도/ 불러주소// 파퍄퍼펴/ 팔십 노인이/ 늙어지면/ 저승길이/ 가까진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민요를 통해 한글을 학습한다는 점에서 실생활과 관련된 학습 기능을 갖춘 노래라고 할 수 있다.

[현황]

현재는 전승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 왕실 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한국 민요 대관(http:/yoks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