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첩 장가가는 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1727
이칭/별칭 첩 장개가는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집필자 이윤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 「첩 장가가는 노래」, 『낭주골의 옛 노래』에 「첩 장개가는 노래」의 사설 수록
성격 민요|유희요|부녀요
기능 구분 유희요
형식 구분 독창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첩 장가가는 내용을 소재로 한 유희요.

[채록/수집 상황]

전 영암 문화원장이던 김희규가 1997년에 편찬한 『낭주골의 옛 노래』에 정길순[영암군 시종면 봉소리]이 구술한 사설이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첩 장가가는 소리」의 사설을 살펴보면 남편에 대한 원망이 직설적으로 토로되어 있다. 음원 자료가 없기 때문에 음악적 면모를 살피기는 어렵지만 ‘한다리 만다리’류의 매우 단순한 선율과 장단으로 구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시종면 봉소리에 사는 정길순이 구술한 「첩 장가가는 소리」의 사설은 아래와 같다.

방죽 밑에 돋는 풀아 첩의 장개가는 놈아/ 하늘 같은 부모 두고 머시 서러 장개갔냐/ 반달 같은 본처 두고 세 해 된 아들 두고/ 샛별 같은 딸을 두고 머시 걸려 장개갔냐/ 한 모퉁이 돌아가다 급살이나 마져 죽고/ 두 모퉁이 돌아가다 벼락이나 마져 죽고/ 시 모퉁이 막 돌아가다 급살 배락탕 마져 죽고/ 다래청에 들어서면 다래도 한둥 만둥/ 각씨님네 웃저고리 동전배나 되어 주고/ 각씨님네 웃치매는 어장데나 떼어 주고/ 태풍넘에 홍상금이 천년 과수나 되어 주소/ 첩의 장개 가지 마소.

[현황]

현재는 전승되지 않는다.

[의의와 평가]

「첩 장가가는 소리」는 영암 지역에서 전승되었던 유희요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