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정 잽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1565
이칭/별칭 동토 잽이,동토경,동토 잡기,동정 맥이,동티 잽이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집필자 선영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의례|민간요법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동정을 맞아 생긴 병을 치료하려고 행하던 주술적 치병 의례.

[개설]

동정이란 일반적으로 동토(動土) 또는 동티라 하며, 흙이나 나무 등을 잘못 다루거나 집안에 물건을 잘못 들였을 때 지신(地神)이 노하여 가족에게 병을 앓게 하는 재앙을 일컫는다. 동정 잽이는 동정이 났을 때 이를 이겨내기 위한 처방으로 행하는 민간 의례인데, 이를 동티 잽이, 동정 맥이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동정을 맞아 사람이 아프면 동티가 난 곳에 고추로 불을 피워 매운 연기가 나도록 하는데, 동티에 걸리면 매운 냄새가 나지 않는다고 한다. 또 동티 난 곳 앞에 홍두깨를 세우는데, 동티가 나면 홍두깨가 선다고 한다. 이렇게 동티가 난 것이 확실해지면 각기 해당되는 부적을 써서 거꾸로 붙이고 동정 잽이를 한다.

동정 잽이 를 할 때에는 부엌에 콩·소금 등을 놓고, 도끼를 자귀로 두드리며 쇳소리를 낸다. 그러면서 동티를 쫓는 말을 스물한 번 하는데, “오작[까마귀, 까치]도 동서남북을 모른디, 어찌 내가 동서남북을 알고 했겠소!”라고 하면서, 물건을 들인 일에 대하여 잘못을 빌며 선처를 구한다. 부엌의 부뚜막에 동티 부적을 거꾸로 써 붙이고, 물을 떠 놓는다. 또 도끼날을 놓고 자귀로 두드리며 동정 잽이를 한다. 아픈 사람이 나을 때까지 몇 번이고 지속하면 귀신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였다.

몸에 객귀가 붙어서 아프면 쪽박에 물을 뜨고 밥을 담은 후 칼을 담갔다가 아픈 사람의 몸에 댄 다음 대문 쪽으로 던진다. 칼끝이 바닥에 꽂히면 객귀가 물러간 것으로 여긴다. 만일 젊어서 죽은 귀신이 붙은 것이라면 굿을 하여 빈 병에 가두고 나서 인적이 드문 곳에다가 깊이 묻는다. 동티가 나면 좋지 않다고 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꺼렸다고 한다.

[절차]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행하던 동정 잽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1. 영암읍 춘양 1구 사례

동정이 나면 부엌 앞에서 쑥과 고추로 불을 피운 후에, 도끼를 밑에 놓고 망치로 두드리면서 쇳소리를 내며 막이를 한다.

2. 영암읍 남풍리의 이수구 보살 사례

나무를 베어다가 집을 지을 때 사납고 좋지 않은 날에 하게 되면 집안에 좋지 않은 일이 생기거나 몸이 아프다. 이를 동정이라고 말하는데, 동정을 일으키는 물건은 나무뿐 아니라 돌, 쇠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때는 동정경(동정經)을 읽는데, 동정의 요인에 따라 읽는 경이 다르다. 예전에는 동정경을 써 놓은 책이 있어서 마을에서 글을 읽을 줄 아는 사람이 ‘동정 맥이’를 해주었다. 동정경을 읽을 때는 동정이 난 장소에 가서 쑥과 고춧가루, 소금을 넣어 불을 피우고 나서, 도끼를 놓고 자귀로 두드려 쇳소리를 내면서 경을 읽는데, 세 번이나 스물한 번 읽는다. 또 부적을 써서 동정이 난 자리에 거꾸로 붙인다.

3. 신북면 유곡리의 원유곡·옥정 마을 사례

동정 잽이 는 동토경(動土經)을 보고 읽는다. 부적을 동정이 난 곳에 써서 붙이고, 그 앞에 매운 고춧불을 피운다. 바닥에 도끼를 놓고, 자귀로 때리면서 쇳소리를 낸다.

원유곡 마을 주민 김양례 씨의 경우에는 집 뒤꼍에 변소를 파고 나서 머리가 너무 아파 오자, 집 뒤꼍 또는 장독대 등을 지키는 가신인 철륭을 잘못 건드린 탓에 동정이 났다고 생각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점쟁이를 부르라는 주위 사람들의 권유를 무시하고 몸소 동정 잽이를 베풀었다고 한다. 변소 앞에 쑥과 고추로 불을 피운 다음, 도끼를 놓고 자귀로 두드리며 계속 쇳소리를 냈는데, 그렇게 며칠간 간간히 가서 두드려 주었더니 괜찮아졌다고 한다.

주민 이점심 씨는 큰집 조카딸의 동생이 동정이 났었는데, 어딘가에서 흙을 가져다가 붙인 후에 그렇게 되었다고 한다. 이때는 동정 잽이를 해 주는 사람을 데려와 어느 묘에 가서 흙을 떠다가 동정이 난 자리에 붙이고, 도끼를 놓고 자귀로 두드려 쇳소리를 내니 괜찮아졌다고 한다.

4. 시종면월롱리 원월롱옥야리 옥야 1구 사례

집에 물건을 잘못 들였을 때 몸이 아프면 동정이 난 것으로 여긴다. 예전에 부엌이 있을 때는 아궁이나 굴뚝에다 흙을 많이 썼기 때문에 흙동정이 많이 났다고 한다.동정이 났을 때에는 마을 사람 중 글 읽는 사람이 와서 동정경을 읽어 ‘동정 맥이’를 해 준다. 동정이 나면 동정이 난 곳에 쑥과 마른고추를 넣어 불을 피운다. 동정을 맞으면 매운 냄새가 나지 않는다고 한다. 동정이 난 것이 확인되면 동정이 난 곳에 부적을 써서 거꾸로 붙이고, 그 앞에 도끼를 놓고 자귀로 두드려 쇳소리를 내면서 동정경을 스물한 번 외운다.

월롱 마을 주민 박대만 씨는 마을에 동정이 난 사람이 있으면 동정 맥이를 직접 주재해 주던 사람으로, 동정 맥이 하는 방법을 옛 어른들한테 배웠고 동정 책을 가지고 있다. 책은 한문으로 되어 있고 부적과 경문 등이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이렇게 다양하게 수록된 이유는 동정이 난 물건에 따라 경문과 부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5. 서호면 쌍풍리 영풍 마을 사례

방위가 좋지 않은 곳에 새로운 물건을 들여놓으면 몸이 아픈 경우가 있는데, 이를 동정 걸렸다고 한다. 그러면 마을에서 글을 읽는 어른을 불러 동정 맥이를 하는데, 이때는 책을 놓고 경을 읽는다. 동정 난 장소에 쑥불을 피우고 도끼를 놓은 다음, 자귀로 두드려 쇳소리를 내며 경을 읽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