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950 |
---|---|
한자 | 崔忠成 |
이칭/별칭 | 필경(弼卿),산당(山堂)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박선미 |
출생 시기/일시 | 1458년 - 최충성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487년 - 최충성, 김굉필·정여창의 제자가 됨 |
시기/일시 | 1488년 - 최충성, 영암에서 학문을 닦음 |
몰년 시기/일시 | 1491년 - 최충성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665년 - 최충성 영암 녹동 서원에 배향 |
출생지 | 최충성 출생지 - 광주광역시 |
거주|이주지 | 최충성 거주지 - 전라남도 영암군 |
묘소|단소 | 최충성 묘소 - 전라남도 나주시 세지면 성산리 |
사당|배향지 | 녹동 서원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 356 |
성격 | 문인 |
성별 | 남 |
본관 | 전주(全州) |
[정의]
조선 전기 영암의 녹동 서원에 배향된 학자.
[가계]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필경(弼卿), 호는 산당(山堂)이며 광주[현 광주광역시]에서 출생했다.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1384~1455]의 손자로, 아버지는 사용(司勇)[조선 시대 오위(五衛)의 정구품 군직] 최별(崔潎), 어머니는 밀양 박씨이다. 부인은 참의 이약수(李若水)의 딸인 전의 이씨이다.
[활동 사항]
최충성(崔忠成)[1458~1491]은 1487년(성종 18)에 김굉필(金宏弼)[1454~1504]의 문하로 들어가 『소학(小學)』을 배웠으며, 뒤에 정여창(鄭汝昌)[1450~1504]의 제자가 되었다. 김안국(金安國)[1478~1543], 남효온(南孝溫)[1454~1492]과는 동문(同門) 사이였다. 그리고 김종직(金宗直)[1431~1492]이 전라도 관찰사로 부임하자 글을 올려 불무(佛巫)의 폐단을 물리칠 것을 청하였다. 1488년에는 김건(金鍵) 등과 함께 전라도 영암에서 학문을 닦았다. 1489년 겨울에 중풍에 걸려 1491년에 34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학문과 저술]
최충성의 저서로는 『산당집(山堂集)』 전 5권이 있다.
[묘소]
최충성의 묘소는 선산이 있는 전라남도 나주시 세지면 성산리 가지동에 있다.
[상훈과 추모]
1665년(현종 6)에 영암의 녹동 서원(鹿洞書院)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