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0390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채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2년 11월 16일연표보기 - 수리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2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수리부엉이 천연기념물 재지정
지역 출현 장소 월출산 국립 공원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성격 조류
학명 Bubo bubo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척색동물문〉조강〉올빼미목〉올빼미과
서식지 암벽 지대|바위산
몸길이 70㎝
새끼(알) 낳는 시기 3~5월
문화재 지정 번호 천연기념물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일원에서 소수의 개체가 확인되는 올빼미과의 텃새.

[개설]

수리부엉이 는 아프카니스탄·오스트리아·덴마크·독일·홍콩·인도·일본 등 구북구(舊北區) 전역과 북아프리카에서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전 세계 개체 수는 약 25만 개이다.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올빼미과 조류 중 가장 큰 종으로 사계절 관찰되는 텃새이다. 1982년 11월 16일 천연기념물 제324-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몸길이는 약 70㎝이며, 올빼미과의 조류 중 몸이 가장 크고 귀깃도 길다. 눈은 주황색을 띤 노란색이다. 머리 꼭대기에서 목 뒤까지 그리고 등과 날개덮깃은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과 진한 갈색의 세로 줄무늬가 있다. 가슴과 배의 세로 줄무늬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다리와 발가락은 연한 갈색 깃털로 덮여 있다.

[생태 및 사육법]

수리부엉이 는 산림만으로 이루어진 산지보다는 개활지(開豁地)가 인접한 암벽 지대나 바위산을 서식지로 선호하며, 전국적으로 많은 번식지가 있다. 산림 지역으로는 남양주시 진전읍에 위치한 국립 수목원과 강원도 속초시 정동진읍의 야산이 있고, 개활지로는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의 야산과 경기도 화성시 신외동 인근의 시화호 주변 등이 있다. 저지대에서 고지대에 이르기까지 바위산과 하천을 끼고 있는 절벽에 서식하며, 산림과 개활지에서 먹이를 포획한다.

무리를 짓지 않고 단독으로 생활하며, 낮에도 활동한다. 둥지를 만들지 않고 암벽의 선반처럼 생긴 곳, 바위의 평평한 곳, 바위 틈 사이를 이용해 알을 낳는다. 3~5월경에 한배에 흰색의 알을 2~3개 낳는다. 34~36일 동안 암컷이 전담해서 알을 품고,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공급한다. 쥐, 두더지, 토끼, 개구리, 뱀, 비둘기, 꿩 등을 먹는다.

[현황]

숲 가장자리 개발과 도로 건설, 골프장 건설, 골재 채취 등으로 숲 면적이 감소하면서 수리부엉이의 서식 환경이 변화되었고, 먹이 자원 선택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또한 먹이 확보를 위해 익숙하지 않은 장소나 먼 거리까지 이동하게 되면서 차량 충돌 등 재난에 노출되고 있다. 예전에는 약용으로 잘못 알려져서 개체 수가 급감하기도 했다.

수리부엉이 는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에서 1999년 2개체, 2000~2004년 각 0개체, 2005년 3개체, 2006년 3개체, 2007년 4개체, 2008년 5개체, 2009년 8개체, 2010년 3개체 등 8개체 이하가 관찰되었다. 전국의 암벽이 있는 산림과 개활지에서 1~5개체가 관찰되고 있으며, 겨울철에는 강원도 철원 평야·경기도 연천·한강 하구·경상남도 진주시 진양호·경상남도 창녕군 우포늪·경기도 안산시 시화호 등에서 소수가 관찰되고 있다.

월출산 국립 공원 ‘자원 모니터링’에서 2010년 1개체가 확인되어, 월출산 국립 공원 일원에 적은 수의 개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