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조선 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행해져 온 다양한 놀이. 민속놀이에는 농경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특정한 세시나 절기에 행해지는 놀이가 있지만, 보다 현대에 이르러서 놀이의 개념과 형태는 특정한 때에 관계없이 일상적으로 쉽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정착되었다. 현대 도시에서 민속놀이는 대부분 그 자취를 감춘 것이 사실이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고무줄을 사용해 행하던 놀이 고무줄놀이는 초등학생 정도의 여자 아이들이 여럿이서 노래에 맞춰 고무줄 사이를 뛰며 노는 놀이이다. 고무줄놀이는 긴 검은 고무줄로 운동장이나 야외 공터에서 쉽게 할 수 있다. 우선 고무줄놀이는 직선으로 할 수 있다. 두 사람이 양쪽에서 고무줄을 잡고 있으면 다른 한 사람이 노래에 맞춰 고무줄 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남녀 아이들이 행하던 놀이. 구슬치기는 남녀 아이들이 유리나 사기로 된 구슬로 내기를 하는 놀이이다. 구슬은 문방구에서 구입할 수 있었는데, 재료, 크기, 색깔, 무늬에 따라 매우 다양하였다. 구슬치기는 흙으로 된 고른 땅에서 했다. 구슬치기는 앞에 놓인 상대편 구슬을 맞추어야 이긴다. 구슬을 맞추지 못하면 상대편에게 기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섣달그믐이나 정초에 부녀자들이 행하던 놀이. 널뛰기는 섣달그믐이나 설날에 부녀자들이나 여자 아이들이 널을 뛰며 노는 놀이이다. 널은 나이 많은 어른들이 만들어 주는 경우가 많았다. 『동국세시기』에서는 널뛰기를 섣달그믐의 세시풍속으로 소개하고 있다. “항간의 부녀들은 색칠하지 않은 맨 널빤지를 짚단 위에 가로로 올려놓고 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돈치기는 동전으로 내기를 한다. 평소에도 하지만 정초에 받은 세뱃돈으로 많이 한다. 돈치기는 동전을 사용해 야외나 공터에서 쉽게 할 수 있다. 돈치기는 두 가지 방식으로 할 수 있다. 하나는 벽을 향해 동전을 던지는 것이다. 벽 위에 선을 그어 놓고 일정한 거리에서 선을 향해 동전을 던진다. 이때 가장 멀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따니는 따니치기 또는 산치기라고도 한다. 놀이 방식은 돈치기와 유사하다. 따니[산치기]돈이나 못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야외에서 쉽게 할 수 있다. 돈을 벽에 쳐서 가능한 한 멀리 튕겨나가게 한다. 그런 다음 가장 멀리 돈을 튕겨나가게 한 사람이 상대의 돈을 맞힌다. 돈을 맞히면 그 돈을 따먹을 수 있다. 동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딱지치기는 아이들이 하는 놀이로, 상대의 딱지를 넘겨 승부를 가린다. 단단한 종이를 사용해 사각형 모양으로 딱지를 접는다. 종이는 마분지, 공책 겉표지 등을 많이 사용했다. 평평한 땅 위에서 쉽게 할 수 있다. 상대의 딱지를 세게 직접 치거나 아니면 바닥을 세게 쳐 바람의 힘으로 딱지를 넘긴다. 상대 딱지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일정한 구역을 설정하여 그 안에서 자기 땅을 넓혀가는 놀이이다. 땅따먹기는 흙으로 된 평평한 땅에서 특별한 도구 없이 쉽게 할 수 있다. 땅에 사각형이나 둥근 원모양의 넓은 구역을 설정한다.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자의 근거지를 정한다. 가위·바위·보를 해서 이기는 사람이 자신의 근거지로부터 손 한 뼘을 뻗어 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말타기는 8~10명의 아이들이 편을 갈라 한쪽은 말이 되고 다른 쪽은 말을 타서 승부를 내는 놀이이다. 말타기는 특별한 도구 없이 야외 공터에서 쉽게 할 수 있다. 말타기는 우선 편을 둘로 가른 다음 가위·바위·보를 해서 말을 타는 쪽과 말이 되는 쪽을 결정한다. 진편이 말이 된다. 먼저 한 아이가 벽을 뒤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목치는 일종의 돈놀이이다. 놀이를 이끄는 쪽[물주]과 놀이에 참가하는 쪽이 서로의 돈을 따먹는 놀이이다. 목치 놀이의 주요 도구는 목치와 온돈이다. 목치란 원모양으로 된 납으로, 가운데에 동자라고 불리는 신주가 있다. 신주는 구리로 되어 있다. 한편, 온돈은 구멍에 던지는 돈을 말한다. 온돈은 일곱 개다. 목...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옛 소속 지역인 경기도 과천에서 행하던 놀이. 무동답교(舞童踏橋)놀이는 무동놀이와 답교놀이를 함께 행하는 놀이이다. 현재의 강남구가 일부 속한 과천 지역에서 행해졌으며, 조선조 22대 임금인 정조가 부친 사도세자의 묘소로 화성 능행을 할 때 과천 사람들이 임금의 행차를 반기며 행했다는 데서 그 유래를 찾고 있다. 1980년대 초에 이르러 복원되면서 그 후 다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비석치기는 아이들이 몇 단계에 걸쳐 돌을 가지고 앞에 있는 다른 돌을 쓰러뜨리는 놀이이다. 발로 옮길 수 있을 정도의 돌을 가지고 야외 공터에서 쉽게 할 수 있다. 비석치기의 놀이 방법은 우선 선을 그어 놓는다. 이 선으로부터 약 다섯 발자국 앞에 돌을 세워 놓는다. 첫 단계에는 머리 위에 돌을 얹어놓은 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아이들이 행하던 놀이. 사방치기는 돌이나 사기그릇 조각을 사용해 일정한 구역을 통과하면 이기는 놀이이다. 흙으로 된 땅이나 야외 공터에서 돌이나 사기그릇 조각을 사용해 쉽게 할 수 있다. 땅 위에 큰 네모 칸을 설정한 후 네모 칸을 다시 여덟 개로 나눈다. 한쪽 발을 든 채 다른 한쪽 발로는 앞으로 돌을 치면서 시계 방향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새잡기는 아이들이 주로 겨울철에 행하는 놀이이다. 초가 추녀 속으로 새가 들어가면 기다렸다가 새를 잡거나 눈 위에서 도구를 이용해 잡기도 했다. 초가 추녀에서 새를 잡을 때에는 나뭇가지를 사용한다. 눈 위에서 잡을 때는 새덫을 사용한다. 새덫으로는 소쿠리에 막대기를 걸쳐 소쿠리가 비스듬하게 서 있도록 하고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숨바꼭질은 한 명의 술래를 정해놓고 열을 셀 때까지 숨은 후 찾는 놀이이다. 특별한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 야외 공터, 집 안마당 등 숨을 만한 있는 곳에서는 쉽게 할 수 있다. 가위·바위·보를 해서 술래 한 명을 정한다. 술래는 벽이나 나무에 손을 대고 서서 열을 센다. 이때 숫자로 열을 세기도 하고, 때로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썰매타기는 겨울철에 얼음이 언 논바닥에서 남녀 아이들이 썰매를 타고 노는 놀이이다. 썰매는 네모반듯한 두터운 나무판 아래에 각목을 양쪽에 박고 그 아래에 철을 둘러 만든다. 썰매를 앞으로 밀 쇠꼬챙이도 두 개 만든다. 쇠꼬챙이는 양손으로 움켜쥘 만한 둘레의 각목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 끝자락에 날카로운 못을 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정초에 행하던 민속놀이. 연날리기는 정초에 어른 남자나 아이들이 널리 행하는 놀이였다. 정초에 연날리기를 시작하여 정월 보름에는 연을 날려 보낸다. 『동국세시기』에는 정월보름의 세시풍속으로 연날리기를 소개하면서 “얼레를 만들어 연줄을 붙들어 맨 다음 공중에 띄워 바람 부는 대로 날리며 노는 것”을 연날리기, 즉 풍쟁(風錚)...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우물고니는 고니 놀이의 일종으로, 우물 모양으로 된 말판에 말을 이동시키며 노는 놀이이다. 말판과 말로 쉽게 할 수 있다. 말판은 땅이나 종이 위에 그리고, 말은 돌이나 나뭇가지 등으로 만든다. 말판을 그린다. 우물고니의 말판은 가운데에 우물 모양의 판이 있다. 두 사람이 각각 세 개의 말을 가지고 논다. 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정초에 행하는 민속놀이 윷놀이는 정초의 민속놀이로 네 개의 윷을 던져 노는 놀이이다. 『동국세시기』에는 윷놀이를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붉은 싸리나무 두 토막을 각각 반으로 쪼개어 네 쪽으로 만든 것을 윷이라고 하고 한자로는 사(柶)라고 쓴다 … 윷을 던져 내기하는 놀이를 윷놀이[柶戲]라고 한다 … 이 놀이는 정초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자치기는 짧은 자[막대]와 긴 자[막대]를 사용해서 자가 날아간 거리를 재서 승부를 내는 놀이이다. 자는 나무 막대로 만든다. 야외 공터에서 쉽게 할 수 있다. 자치기는 긴 자와 짧은 자로 한다. 먼저 땅 위에 구멍을 파놓고 그 위에 짧은 자를 올려놓은 다음 긴 자로 짧은 자를 쳐 올린다. 이때 상대방이 짧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장기와 바둑은 실내외에서 쉽게 할 수 있다. 장기는 판과 말, 바둑은 판과 알이 필요하다. 장기와 바둑은 일상적인 놀이이다. 장기는 빨간 말[16개]과 푸른 말[16개]이 장군을 중심으로 각 패가 되어 상대 패에게 공격과 수비를 하면서 상대 말을 따먹는 놀이이다. 바둑은 흰 알과 검은 알로 점을 놓아가며 집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제기차기는 계절에 관계없이 일상적으로 할 수 있는 놀이이다. 엽전과 종이를 사용해 만든 제기를 땅에 떨어뜨리지 않은 채 발로 많은 수를 차서 승부를 내는 놀이이다. 제기는 직접 만들거나 문방구 같은 가게에서 구입한다. 창호지나 얇은 비닐 수 겹을 포개어 가늘게 잘라 엽전 구멍에 넣고 머리 부분을 고정시켜 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는 놀이. 줄넘기는 발에 줄이 걸리지 않도록 뛰며 줄을 넘는 놀이이다. 줄은 새끼줄이나 기타 튼튼한 줄을 사용하거나 가게에서 운동용으로 파는 줄넘기용 줄을 구입할 수 있다. 장애물이 없는 야외 공터에서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줄넘기는 혼자 하기도 하지만 여럿이서 할 때는 승부 놀이로 한다. 새끼줄이나 기타 튼튼한 줄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행하던 놀이. 평편한 땅이나 얼음판 위에서 팽이채로 팽이를 돌리며 노는 놀이이다. 팽이와 팽이채가 필요하다. 팽이는 박달나무와 같이 무겁고 단단한 나무를 달팽이 모양으로 깎고 맨 아래 끝부분에 못이나 쇠구슬을 박아 만든다. 팽이채는 막대기 끝에 길고 탄력 있는 천이나 끈을 달아 만든다. 팽이돌리기는 어느 계절이든 평편한 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