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를 잊고, 갈매기와 벗하다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800001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조세형

[정의]

오늘날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동명(洞名)의 유래가 된 조선 전기 문신 한명회의 호(號)이자 그가 지은 정자의 이름.

[개설]

압구정(狎鷗亭)은 강남의 대표적 지명 가운데 하나인 압구정동(狎鷗亭洞)의 유래가 된 정자의 이름이다. ‘압구(狎鷗)’, 곧 ‘갈매기와 벗하다’라는 말은 정치 현실에서 물러난다는 의미를 함축하는 관습적인 표현으로 이 정자의 주인이었던 한명회(韓明澮)의 정치적 진퇴(進退) 문제를 상징적이고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한명회의 생애로부터 압구정의 역사적 의미를 짚어보고, 압구정이 있던 곳이자 그 이름을 물려받은 행정구역 압구정동의 변천 과정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명회의 생애와 압구정의 역사적 의미]

압구정이란 이름은 사신으로 중국을 찾은 한명회가 전부터 알고 있던 명나라 한림학사(翰林學士) 예겸(倪謙)에게 부탁해서 그 기(記)와 함께 받아온 것이라 한다.[이와 달리 정자 이름은 한명회 스스로 정하고 그 기만 예겸이 지었다는 주장도 있다.] 세상일 다 버리고 강가에서 살며 갈매기와 아주 친하게 지낸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그 뒤 압구정철종의 딸인 영혜옹주와 결혼하여 금릉위(錦陵慰)가 된 박영효(朴泳孝)에게 하사되었으나, 갑신정변 때 역적으로 몰려 한 때 몰수되었다가 고종 말년에 다시 찾았으며 언제 철폐되었는지 확실치 않다. 정자의 주인 한명회의 생애로부터 압구정의 건립 및 그곳에 담겨 있는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면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1. 한명회의 생애

한명회[1415~1487]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준(子濬), 호는 압구정(狎鷗亭)·사우당(四友堂)이다.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 수(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문관제학 상질(尙質), 아버지는 감찰 기(起), 어머니는 예문관대제학 이적(李逖)의 딸이었으며, 예종의 왕비 장순왕후(章順王后)성종의 왕비 공혜왕후(恭惠王后)의 아버지였다.

젊어서 여러 번 과거에 응시했지만 번번 히 낙방하자 나이 40세가 다되어 1452년(문종 2) 음보(蔭補)로 경덕궁직(敬德宮直)을 얻었다. 어린 단종이 즉위해 김종서(金宗瑞) 등 대신이 집권하자 친구인 교리(校理) 권람(權擥)의 주선으로 수양대군의 무리에 가담, 1453년(단종 1)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을 도와 큰 공을 세워 군기녹사(軍器錄事)가 되고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으로 사복시소윤(司僕寺少尹)에 올랐다. 이듬 해 동부승지(同副承旨), 1455년 세조가 즉위하자 좌부승지(左副承旨)에 승진, 그해 가을 좌익공신(佐翼功臣) 1등으로 우승지(右承旨)가 되었으며 1456년 성삼문(成三問) 등 사육신의 단종 복위운동을 좌절시키고 그들의 주살(誅殺)에 적극 가담하여 좌승지를 거쳐 도승지에 승진하였다. 이후 이조판서, 평조판서, 좌의정, 우의정을 거쳐 1466년 영의정이 되어 병으로 한때 물러났다.

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신숙주와 함께 반역을 도모한 혐의로 체포되었으나 혐의가 없어 풀려났다. 세조가 죽은 다음해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1등에 올랐고, 1469년(예종 1) 영의정에 복직하였다. 예종이 죽고 막내사위인 성종이 즉위하자 어린 왕을 대신하여 정무를 맡아보는 원상(院相)이 되어 서정(庶政)을 결재하고 병조판서를 겸임하였다. 이에 그의 세도는 절정에 이르렀다. 하지만 그러한 세도는 영원할 수 없었다. 1471년 좌리공신(佐理功臣) 1등이 되고, 그 해 춘추관영사(春秋館嶺事)에 이르렀으나 평소 몸이 쇠약했던 공혜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그의 권세도 추락하기 시작했다. 1474년(성종 5)에 영의정과 병조판서에서 해임되었고 자신의 정자인 압구정에서 명나라 사신을 사사로이 접대한 일로 탄핵되어 모든 관직에서 삭탈되었다. 이후 압구정에서 노년을 보내다 1487년 사망하였다. 세조의 묘정에 배향되고,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윤비(尹妃) 사사(賜死) 사건에 관련됐다 하여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했으나, 후에 중종반정이 일어나 신원됐다.

2. 압구정의 건립

압구정이라는 이름과 ‘압구정기(狎鷗亭記)’는 앞서 서술하였듯이 명나라 예겸에서 비롯되었다. 한명회는 그곳에서 서거정, 신숙주, 권람 등 젊은 시절의 벗들과 자주 시주(詩酒)를 즐겼는데, 성종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에 봉해진 이후 ‘압구정’이라는 현액을 달았다 하니 그 이름을 공표한 것은 훗날의 일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한명회가 지금의 여의도에 전장과 정자를 마련한 때는 계유정난 이후로 보인다. 이처럼 압구정은 본래 민간에서 화도(火島)라고 불리는, 마포 서쪽에 있는 언덕 위에 지어졌었다고 한다. 화도는 잉화도(仍火島) 또는 여화도(汝火島)로 불렸는데 바로 지금의 여의도다. 한명회가 여의도의 압구정을 동호의 두모포(豆毛浦) 건너 강 남쪽 으로 옮긴 것은 1476년(성종 7)의 일이다. 당시 동호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던 곳으로 멀리 서쪽에서부터 강 남쪽으로 관악산, 청계산, 남한산, 대모산 등이 원경으로 보였다. 강 중앙에 있던 저자도(楮子島)무동도(舞童島)라고도 하는데, 이곳에는 강호를 소유하고자 하는 자들이 다투어 세운 정자가 늘어서 있었다. 뚝섬 동쪽 옥수동 일대의 두모포에서도 뱃길을 이용할 수 있었는데, 특히 그 일대가 동호로 불리며 당대의 명승으로 크게 이름을 떨쳤다. 한명회는 이처럼 아름다운 동호가 바라다 보이는 강 남쪽에 압구정을 세웠던 것이다. 그리고 명나라로 가서 중국 문인들이 지은 압구정 시축(詩軸)을 받아와 성종에게 바쳤다. 이듬해 11월 성종은 칠언율시와 칠언절구를 두 수씩 짓고 직접 편지를 써서 한명회에게 내렸고, 한명회는 이를 기리기 위하여 화려하게 현판에 새기고 푸른빛과 금빛으로 장식을 한 다음 정자의 벽에 걸었다. 이때 여의도에 있던 압구정의 현판을 떼어 새로 지은 정자에 옮겨단 것으로 보인다.

그곳을 그린 그림 외에 당시의 압구정이 얼마나 컸으며 어떤 규모의 별장이었는지를 소상하게 알려주는 사료는 없다. 다만 명나라에 까지 소문이 나서 조선에 온 중국 사신들이면 누구나 압구정에서 연회를 베풀어주기를 갈망하였다고 하니, 그 화려함과 아름다움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압구정은 훗날 성종한명회 사이에서 빚어진 극심한 갈등의 진앙지로서 역사적 사건의 전면에 등장하게 된다. 단순 휴양처에서 벗어나 특정의 함의를 갖게 된 것이다. 이제 그 실상과 의미를 다음 항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3. 압구정의 역사적 의미

‘압구정(狎鷗亭)’은 한명회의 호이기도 하고 그가 지은 정자의 이름이기도 하다. 압구정이 처음 있던 자리는 지금의 여의도 일대라고 하는데, 아무튼 현재 전하는 위치에 따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狎鷗亭洞)이라는 지명이 생기게 되었다. 지금도 정자가 있던 자리에는 압구정비(狎鷗亭碑)가 남아 있다.

당대 최고의 권력을 구가하던 한명회. 어떤 사람은 그가 “갈매기와 더불어 여생을 보내고자 압구정(狎鷗亭)을 지었으나 그것이 정치에서 물러나는 계기가 되었다.”라고도 한다. 압구(狎鷗), 곧 갈매기와 벗하다라는 말은 정치 현실에서 물러난다는 의미를 함축하는 관습적인 표현이며 이 정자의 주인이었던 한명회의 정치적 진퇴(進退) 문제와 긴밀하게 연관되는 것은 의심할 바 없다. 그러나 과연 그가 정말로 여생을 유유자적하며 보내기 위해, 글자의 뜻 그대로 갈매기를 벗 삼으며 노닐기 위해 이 정자를 지었을까?

그러한 질문은 압구정을 짓기 이전 한명회의 삶과, 명나라 사신 접대의 일로 삭탈관직을 당하기까지의 경과를 통해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한명회가 명나라 사신을 사사로이 압구정에서 접대한 일로 탄핵되어 모든 관직을 삭탈당한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사신 접대에 대한 한명회의 허락이 거듭되는 요청에 의한 어쩔 수 없는 것이었는지는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사건의 경과를 따라가 보자.

1476년(성종 7) 한명회한강 가에 정자를 지었다. 압구정이라는 정자 이름은 한명회가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을 때 문객 예겸과 시로써 응대하던 차에 부탁하여 얻은 것이다. 예겸은 그 이름을 ‘압구(狎鷗)’라 하고 기(記)도 지어 주었다. 압구정이 완성된 날 성종이 이를 기려 ‘압구정시’를 직접 지어 내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당시 젊은 관료들의 반발로 철거되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압구정이 원래 세워졌던 자리는 지금의 여의도 일대였으며 이후에 지금 자리로 옮겨졌다고 한다. 자세한 경과는 알 수 없지만, 아마도 그처럼 훈구파와 신진관료 사이에 있었음직한 갈등이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명나라에서도 저명했던 당대의 문객이 이름을 지어준 동국의 어느 정자와, 그를 둘러싼 온갖 사연들은 명나라에까지 알려져 흥미를 끌었음에 틀림없다. 명나라의 사신이 오면 반드시 거치는 곳이 되었던 것이다.

1481년(성종 12), 역시 명나라 사신이 와서 압구정 방문을 청하였다. 한명회는 좁다는 이유를 들어 사신의 방문을 거절하였으나, 계속되는 요구에 허락하였다. 그리고 압구정이 좁아서 사신의 방문에도 잔치를 열수 없다는 것을 구실로 국왕이 사용하는 차일을 청하였다. “신의 정자는 본래 좁으므로 지금 더운 때를 당하여 잔치를 차리기 어려우니, 담당 관서를 시켜 정자 곁의 평평한 곳에 큰 장막을 치게 하소서.” 성종은 이를 허가하지 않고 매우 불편한 기색을 드러내며 답하였다. “경(卿)이 이미 중국 사신에게 정자가 좁다고 말하였는데, 이제 다시 무엇을 혐의하는가? 좁다고 여긴다면 제천정(濟川亭)에서 잔치를 차려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한명회는 여기서 포기하지 않고 보첨만(補簷幔)[처마에 잇대는 장막]을 청하였으며, 성종은 다시 제천정에서 잔치를 치르도록 하고 이를 불허하였다. 그러자 한명회도 굴하지 않고 심지어는 자기 아내가 아파서 잔치에 나갈 수 없다는 핑계를 대며 자신의 의사를 관철하려고 하였다. 이에 진노한 성종이 승정원에 지시하였다. “우리나라 제천정의 풍경은 중국 사람들이 예전부터 알고, 희우정(喜雨亭)은 세종께서 큰 가뭄 때 이 정자에 우연히 거둥하였다가 마침 신령스러운 비를 만났으므로 이름을 내리고 기문(記文)을 지었으니, 이 두 정자는 헐어버릴 수 없으나, 그 나머지 새로 꾸민 정자는 일체 헐어 없애어 뒷날의 폐단을 막으라.”

여기서 논란이 그치지는 않았다. 승지나 대간의 비난이 한명회에게로 쏟아졌던 것이다. 이때마다 성종한명회의 잘못을 꾸짖는 선에서 일을 매듭지으려고 하였으나, 반발이 계속되자 결국 성종한명회의 국문을 지시할 수밖에 없었다. 실상 한명회의 권세는 그 직전부터 추락하고 있었다. 두 차례 일등공신에 올랐고 영의정 겸 병조판서이자 어린 임금 성종의 장인이었던 한명회. 그러나 평소 몸이 쇠약했던 공혜왕후가 세상을 떠난 후, 사신 접대 사건 직전인 성종 5년에 영의정과 병조판서에서 해임된 터였다. 나중에 갑자사화 때, 윤비(尹妃) 사사(賜死) 사건에 관련되었다 하여 무덤을 파헤쳐 시체를 토막 내고 목을 잘라 한양 네거리에 거는 일까지 당하였다. 중종반정이 일어나 신원되기는 하였으나 한명회의 삶은 부침과 무상의 본보기라 할 것인 바, 그 상징적이고 역설적인 상관물이 바로 압구정이다.

김시습(金時習)이 언젠가 서강(西江)을 여행하다가 한명회의 시를 인용해 그를 비난했다고 전한다. 한명회의 시에 “젊어서 사직을 떠받치고, 늙어서 강호에 누웠네[靑春扶社稷, 白首臥江湖].”라는 구절이 있었다. 김시습이 거기서 부(扶)를 망(亡)으로, 와(臥)를 오(汚)로 각각 고쳐 써넣었다. 곧 “젊어서는 사직을 망치고, 늙어서는 강호를 더럽혔네[靑春亡社稷, 白首汚江湖].”라는 뜻으로 바꾼 것이다. 이 이야기는 한명회 대신 같은 시대의 심정(沈貞)이 대상이 되기도 하는데, 주제가 같고 전승의식도 같다.

원래 강호가도(江湖歌道)란 우리 문학사에서 맹사성(孟思誠), 이현보(李賢輔), 송순(宋純), 이황(李滉), 권호문(權好文), 윤선도(尹善道) 등으로 이어지는 한 흐름을 이르는 말이다. 그들은 산수 자연을 예찬하고 그 속에 묻힌 삶의 즐거움을 노래하며 나아가 도학적인 이념까지 문학작품에 싣고자 하였다. 그것은 “도의를 기뻐하고 심성을 기르는 [悅道義頤心性]” 즐거움이 강호자연을 매개로 한다고 보았던 도학자들이 당연히 강호를 동경했던 것, 그리고 후대에 사화(士禍)와 당쟁(黨爭)이 심해지자 벼슬길로 나섰다가 자칫 일신과 가문을 위기로 몰고 가기보다 고향의 자연에 귀의하여 유유자적한 생활을 하려 했던 경향 등과 관련이 있다.

이렇게 볼 때, 한명회의 삶은 와강호(臥江湖)와는 분명 거리가 멀다. 벼슬에서 물러나기보다 오히려 거기에 머무르며 권력을 농단했고, 정치현실의 풍파에 놀란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러한 풍파를 앞서 일으킨 그였기 때문이다. 그는 강호에 묻혀 유유자적하는 삶의 가장 기본적인 태도인 안빈낙도(安貧樂道)와도 거리가 멀었다. 그의 삶은 김시습이 말한 것처럼 ‘오강호(汚江湖)’에 분명하다. 다음 어느 선비가 남긴 시를 보자.

    廢君破天七朔童  임금을 폐하고 하늘을 부순 칠삭둥이,

    狎鷗四友得富貴  갈매기 벗하고 친구가 넷인데 부귀를 얻었는가.

    未踏百年汚名千  백년도 못 살면서 더러운 이름은 천년을 가니,

    上黨韓門大閥輝  상당부원군 한씨 대머리라네.

우리가 압구정을 둘러싼 역사적 사실에서 얻을 수 있는 바는 많을 것이다. 그러나 누군가 전해지는 이야기처럼 글자를 바꾸어 압구정은 ‘압구(狎鷗)’가 아닌 ‘압구(押鷗)’라고 비난했던 말을 되새겨봄직하다. 유유자적함의 상징인 갈매기와 벗하지 않고 그를 눌러버리는 일을 오늘날 우리가 하고 있지는 않는가.

[압구정동의 변천 과정]

오늘날 우리가 아는 행정지명 압구정동은 바로 이 압구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압구정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으로 그 동명은 이곳에 조선 세조 때 권신 한명회가 지은 압구정이라는 정자가 있던 데서 유래하였다. 압구정에 대한 흔적은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72동과 74동 사이 표지석으로 남아있다. 우선 압구정동이 오늘날의 행정구역으로 편입되기까지의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조선 시대 말까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彦州面) 압구정리에 속하였으며 1914년 경기도 구역 획정 때 자연마을인 옥골을 병합하여 압구정리로 되었다. 1963년 1월 1일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압구정리가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성동구 압구정동이 되고, 논현동·신사동·학동과 더불어 언주출장소 사평동(砂坪洞) 관할이 되었다. 1970년 5월 5일 관할 법정동과 행정동명을 일치시키면서 사평동은 신사동으로 개칭하였다. 1973년 7월 1일 언주출장소가 폐지되어 영동출장소 관할이 되었으며, 1975년 10월 1일 강남구가 성동구에서 분구·신설됨에 따라 신사동은 강남구 관할이 되었다. 이후 1977년 9월 1일에는 신사동에서 논현동이 분동·신설되었다. 이어 1980년 7월 1일에는 압구정동신사동에서 분동·신설되었다. 이때 압구정동압구정동·신사동·학동도산로·남3로·한강, 남1로[882블록 18의 2를 기점으로 755블록 315의 1로 연결되는 도로]와 755블록 315의 1에서 57블록 336으로 이어지는 소도로 및 57블록 336에서 한강 중심선으로 연결되는 직선에 포위된 지역을 관할하였다. 이후 1988년 7월 1일 압구정제1동과 압구정제2동으로 분동되었다. 그리고 2009년 3월 1일에 행정동[압구정 제1,2동] 조정으로 강남구 압구정동으로 통합되었다. 2011년 8월 17일 기준으로 2.53㎢[구 전체의 6.1%]의 면적에 인구 11,316세대/29,494명[남 13,781 여 15,713], 건물 792동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를 겪은 압구정동은 그 시간만큼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이제 그 변화의 흐름에 따라 압구정동의 모습, 성격, 그곳이 상징하는 바를 간략하게 점검해 볼 것이다.

압구정은 그것이 있던 곳에서 북쪽의 옥수동과 금호동 일대를 바라보면 닥나무가 무성했던 저자도가 펼쳐지고, 멀리 북한산 봉우리들까지 한눈에 들어와 중국 사신들의 접대자리로도 이용되었다고 한다. 조선 시대 압구정동의 자연부락으로는 뒤주니, 먼오금, 옥골, 장자말 등이 있었다. 뒤주니는 압구정 밑에, 먼오금은 압구정 구내에 있었던 마을이었고 옥골한강 물이 마을 앞을 흘러 붙여진 이름으로 옥골 뒷산에서는 석기 시대 돌도끼가 출토되기도 했었으며, 장자말은 옛날 큰 부자가 살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장자울이라고도 불렀고 기와집이 많았다고 한다.

강변에 위치한 전형적인 농촌 지역으로 일제하에서는 배 밭 등 과수원을 주 농업으로 해왔다고 하는데 6·25 전쟁 이후 피난민들이 정착하면서 상업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60~1970년대 정부의 경제정책에 의해 서울 근교의 농촌 마을이었던 이곳의 주택을 비롯한 벌판의 야산과 전답이 모두 개발되었고, 그로부터 신흥 주택가 및 사업지역으로 탈바꿈하는 일대 변화를 맞게 되었다.

1980년대 들불처럼 번진 아파트 투기 붐의 중심에 있던 단지가 바로 압구정동 현대아파트였다. 아파트와 쇼핑센터가 들어서고 사람들이 강남으로 몰려들면서 땅값이 치솟았고 1980년대 중반엔 이른바 압구정 로데오거리를 중심으로 소비와 놀이 생활을 영위하는 압구정동 문화가 형성되었다. 1990년대 초, 하룻밤에 수백만 원의 용돈을 쓰며 흥청거리는 졸부 2세들로 이러한 새로운 소비문화를 주도한 오렌지족, 야타족이 사회문제로 대두하면서 압구정동은 소비·향락·유흥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얻기도 하였다. 올림픽대로논현로, 언주로, 도산대로, 압구정로 등 많은 도로가 있어 교통이 편리하고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유흥거리로 유명하며, 압구정로 북쪽의 한강변은 아파트촌이, 남쪽은 대부분 고급주택가가 자리하고 있다. 이처럼 사통팔달 교통의 요지에 자리 잡아 강남과 강북에 손쉽게 닿을 수 있으며 고밀도 아파트와 증권빌딩 및 금융기간 밀집지역인 압구정동은 현재까지도 부촌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시대의 유행을 이끌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