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801855 |
---|---|
한자 | 流頭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서울특별시 강남구 |
집필자 | 김순주 |
의례 장소 | 가정, 부엌, 대문간, 광, 마루, 장독대 등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 일대 |
---|---|
성격 | 음력 6월 15일에 행하는 의례와 세시풍속 |
의례 시기/일시 | 조선 시대~현대|음력 6월 15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매년 음력 6월 15일에 맞는 명절 및 이와 관련된 풍속.
유두 는 여름철 과일이 새로 수확되는 시기이므로 국수, 떡과 함께 사당에 제를 지내는 유두천신(流頭薦新)을 행했다. 또한 유두가 들 무렵은 매우 덥기 때문에 여러 음식으로 보양하였다.
『동국세시기』에는 유둣날 만드는 시절음식인 수단(水團)과 건단(乾團)을 소개하고 있다. 수단은 멥쌀가루를 쪄서 가래떡으로 만들어 구슬처럼 잘게 썰어 꿀물에 담갔다가 얼음을 채운 음식을 말한다. 건단은 물에 넣지 않고 찬 경단처럼 만들어 먹은 음식이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서는 참외와 수박을 많이 재배하였다. 5~6월 사이 참외와 수박이 처음 열리면 이를 터주와 부엌, 광에 한 접시씩 갖다 놓았다. 이는 천신(薦新)과 관련된 풍습이다.
대치동에서는 밀을 많이 재배하였다. 유둣날에는 밀전병을 만들어 먹었는데, 먹기 전에 부엌, 대문간, 마루, 장독대에 막걸리 한 잔과 함께 밀전병을 차려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