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0년 서울특별시 강남의 애정 풍속도를 그린 가수 문희옥의 정규음반 3집 수록곡. 「강남멋쟁이」는 가수 문희옥이 1990년 발표한 곡으로 서울특별시 강남의 애정 풍속도를 담아냈으며 장르는 트로트이다. 이 노래는 지난해 서울특별시 유흥가의 세태를 다룬 「사랑의 거리」에 이은 ‘강남시리즈 Ⅱ’에 해당한다. 작사는 정은이, 작곡은 남국인이다. 지난해 「사랑의 거리」에 이어 1990년...
-
서울특별시 강남 지역을 소재로 다룬 대중가요. 2012년 최고의 노래가 된 싸이의 「강남스타일」 덕분에 서울의 강남은 전 세계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외국인들이 노래의 후렴구 ‘오빤 강남스타일’을 전혀 다른 의미로 읽어낸 것이 화제가 되었던 것처럼, 이 노래에서 강남은 특정 지명으로서가 아니라 ‘[kaŋnam]’이라는 소리로서 더 의미 있다고 보는 것이 옳다. 즉 ‘오빤’...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교육 문제를 소재로 2007년 서울방송에서 방영했던 TV 드라마. 「강남엄마 따라잡기」는 총 18부작 TV 드라마로 2007년 6월 25일부터 8월 21일까지 서울방송[SBS]에서 매주 월, 화요일 밤 9시 55분에 방영됐다. 드라마가 동시대의 규범과 사상을 반영하는 문화적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기획의도 하에 대한민국 현실에서 가장 민감한 이슈인 교육...
-
2001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을 노래한 양동근의 첫 번째 정규앨범 수록곡. 「구리뱅뱅」은 배우 양동근이 가수로서 2001년 발표한 첫 번째 정규앨범 『Yangdonggeun AKA Madman』의 타이틀곡으로 장르는 힙합이다. 작사는 양동근과 1 Kyne가, 작곡은 이제이가 했다. 양동근의 1집은 선정적인 가사들로 세간의 이슈가 되었다. 결국 대부분의 곡이 방송심의를 통과하...
-
2003년 서울특별시 강남을 배경으로 제작되었던 코미디 영화. 스승과 제자로 만난 동갑내기 남녀의 연애담을 유쾌하게 풀어낸 「동갑내기 과외하기」는 김경형 감독의 첫 번째 장편영화다. 아버지의 실직으로 학비 마련에 나선 여대생과 벼락부자 아버지 덕분에 풍족하게, 나아가 방탕하게 살아가는 남고생의 대비되는 남녀가 과외를 매개로 만나는 흥미로운 상황을 담은 이 작품은 입시 열풍이 몰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을 비판적으로 조명한 1993년 가수 신성우의 정규 2집 수록곡. 「로큰롤과 압구정동, 공주병」은 1993년 가수 신성우의 정규 2집 『Eight Smiles Of Klein』의 8번 트랙에 수록된 곡으로 이근형이 작사·작곡했다. 데뷔곡 「내일을 향해」가 수록된 1집의 상업적 성공 이후, ‘기존 문명을 향한 신세대의 반항을 담았다’는 그의 표현처럼 2집 『...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을 배경으로 한 2004년 김지영 감독의 첫 번째 장편영화. 「맹부삼천지교」는 아들의 명문대 합격을 위해 강남 대치동으로 이사한 아버지와 이웃집 건달의 이야기를 다룬 코미디 영화로 「첫사랑 사수 궐기대회」·「영어완정정복」의 시나리오 작업에 참여한 김지영 감독의 데뷔작이다. 강남이라는 공간을 통해 우리의 교육문제를 조명하였다. 각본은 김지영·서동성, 감독은 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를 소재로 한 2011년 강유가람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강유가람 감독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를 졸업했고, 「선물」, 「그냥 치우친 건 아니야」 등의 단편을 제작했다. 「모래」는 강남의 재건축 예정지인 은마아파트에 사는 자신의 가족과 아버지의 일상을 심층적으로 담아 강남 부동산 신화와 중산층 가족의 정치의식을 밀도 있게 탐구한 작품이다....
-
서울특별시 강남이 사건 장소로 드러나는 2005년 장진 감독의 영화. 「박수칠 때 떠나라」는 2000년에 선보인 연극 「박수칠 때 떠나라」를 영화한 것으로 당시 희곡을 쓰고 직접 연출했던 장진이 다시 감독을 맡았다. 강남 최고급 호텔에서 칼에 찔려 살해된 미모의 카피라이터의 수사과정이 TV를 통해 전국적으로 생중계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연출·각본 장진, 촬영 김준영,...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모습을 그린 1990년 이기영 감독의 영화. 연출 이기영, 각본 오광재, 촬영 박건복, 음악 강인구, 편집 김희수, 제작사는 양전흥업이며, 이재학, 이미나, 정혜선, 최불암 등이 출연했다. 입시 지옥의 경쟁에서 한눈을 팔면 낙오된다는 보이지 않는 쇠사슬 때문에 항상 긴장하고 있는 장여인은 강북의 집을 팔고 강남에 아파트 전세를 얻어가면서까지 아들 남철을 전학시킨...
-
서울특별시 강남의 모습을 그린 1980년 임권택 감독의 영화. 「복부인」은 2012년 현재 101편의 영화를 연출한 임권택 감독의 1980년대 작품으로 그의 영화 가운데 특히 동시대의 사회현상에 대해 드러내 놓고 비판한 작품으로 꼽힌다. 연출 임권택, 각본 윤삼육, 촬영 서정민, 조명 김강일, 음악 정민섭, 편집 김희수, 제작사는 세경흥업이다. 한혜숙, 박원숙, 윤양하 등이 출연했...
-
1985년 서울특별시 강남의 모습을 그린 가수 주현미의 노래. 「비 내리는 영동교」는 메들리 테이프로 인기를 얻던 주현미가 85년 발표한 공식데뷔곡으로 작사는 정은이, 작곡은 남국인이 했다. 점차 화려한 향략가의 분위기를 풍기던 80년대 강남의 모습을 반영한 곡으로 장르는 트로트다. 큰 대중적 성공을 거두며 그녀를 일약 트로트계의 신데렐라로 만들어준 출세작이다. 「비 내리는 영동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을 배경으로 2002년 2인조 그룹 브라운 아이즈가 발표한 노래. 「비오는 압구정」은 나얼과 윤건의 남성 2인조 그룹 브라운 아이즈(Brown Eyes)가 2002년 발표한 두 번째 정규앨범 『Reason 4 Breathing?』의 3번 트랙에 수록된 곡이다. 윤건이 작사, 작곡, 편곡을 했다. 비오는 압구정 골목길에서 떠난 사람을 기다리는 애타는 심정을...
-
서울특별시 강남을 배경으로 한 1989년 가수 문희옥의 2집 앨범 수록곡. 「사랑의 거리」는 당시 서울예술전문대학 2학년이었던 가수 문희옥이 1989년에 발표한 곡으로 정통트로트 리듬을 경쾌하게 현대화한 폭스 트로트를 표방한다. 작사는 정은이, 작곡은 남국인이다. 은광여자고등학교 3학년 재학 당시 ‘팔도 사투리 메들리’로 데뷔해 앨범 발매 1주일 만에 360만장이라는 전무후무한 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을 배경으로 한 1988년 가수 주현미의 2집 음반 수록곡. 「신사동 그 사람」은 가수 주현미가 1988년 그의 두 번째 음반을 통해 발표한 트로트곡이다. 작사는 정은이가, 작곡은 남국인이 했으며 지구레코드에서 발매됐다. ‘신사동’이라는 지명을 명시하며, 지난밤 사랑했던 이와의 재회의 소망을 담고 있는 노래이다. 이전의 단조 발라드에서 다소 빠른 템포와 활기...
-
강남의 도시민들이 거주하는 아파트를 배경으로 회색 도시 속 젊은이의 사랑과 고독을 흥겨운 씨티 뮤직. 윤수일의 아파트는 당시 강남 아파트 건설 붐이라는 시대상에 따라 개발과 성장이라는 당대 모습을 반영한 노래이다. 막이 오른 아파트 시대의 회색빛 도시의 쓸쓸함을 대변하는 노래라 할 수 있다. 노래는 1982년 6월 30일 발매한 앨범 『아파트』는 록 장르로 4분 5초 간 재생되는...
-
강남을 배경으로 하여 피 끊는 청춘들의 성장통을 그린 액션과 드라마 장르의 영화. 단편 「장마」, 「어떤 여행의 기록」으로 국내외 주요한 단편영화제의 상을 휩쓸며 충무로 초미의 관심으로 떠올랐던 조범구 감독. 그 가능성과 재능은 그를 다른 또래 감독들을 제치고 충무로 입봉 1순위 감독으로 올려놓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데뷔를 준비하던 박기형, 민규동, 황병국 감독 등이...
-
서울특별시 영동을 배경으로 한 나훈아 노래. 1984년 서울특별시 영동을 배경으로 한 나훈아의 노래 「영동부르스」가 발표되었다. 당시 영동의 화려한 밤 문화를 찾아볼 수 있는 사랑 노래이다. 가수 나훈아가 새로운 환락가로 변모한 서울 영동을 주제로 한 「영동부르스」라는 앨범을 발표하였다. 중견 작곡가 안치행이 작사와 작곡을 하였다. 「영동부르스」가 크게 주목을 받자 일본의 데이지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과 한강을 두고 바라보는 성동구 옥수동을 배경으로 서민들의 애환을 다루고 있고 사실주의적이고 희·비극적인 서민극. 「옥수동에 서면 압구정동이 보인다」라는 연극은 1998년 김태수가 제16회 전국연극제에 출품한 작품으로 서민극이라 구분되고 있다. 옥수동 주민인 등장인물을 내세워 불우하고 가난하지만 인간애와 인간의 의지가 가득한 그들의 모습을 통해 다수의 관객...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에서 일어난 사고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시작되는 액션, 범죄 영화. 「코리안 커넥션」은 신성일이 제작, 주연 배우를 맡아 1990년 개봉된 영화이다. 장르는 액션과 범죄물이다. ‘한국의 백색전쟁, 부정과 부패, 환락과 탐욕에 찢겨진 치욕의 현대’라고 부제를 정하여 영화의 성격을 강하게 드러냈다. 영화의 주된 사고가 일어난 배경이 된 강남구 테헤란로는 1977...
-
서울특별시 강남 한복판, 높이 솟은 타워팰리스 바로 옆에 무허가 집들이 즐비한 판자촌을 배경으로 진행되는 영화. 강남의 타워팰리스 옆 판자촌이 「특별시 사람들」의 공간적 배경으로 박철웅 감독의 첫 장편 영화이다. 이 영화는 2006년에 제작되어 실제로 극장에서 개봉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2009년 부산 국제영화제에서 세 번의 상영기회를 얻었고 많은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배경으로 2005년 실천문학사에서 발간된 신장현의 소설집. 『강남 개그』는 희망 없이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 소외된 이웃들의 이야기를 연민과 분노를 토대로 작성한 8편의 소설이 담겨있다. 9개의 삽화에 장면 번호를 붙여 모자이크 식으로 구성한 표제작 「강남 개그」를 비롯해 1980년대 사북사태 직전 일어난 갱내 사고를 묘사한 「카지노 가는 길」, 명예퇴직 후 카드...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다양한 사회 현상을 통해 한국의 문화를 읽어내고 있는 사회 비평서. 『강남, 낯선 대한민국의 자화상』은 1960년대부터 2006년까지 강남의 역사를 정리하면서 강남과 아파트를 둘러싼 사건과 논쟁, 분석을 밀도 있게 다루고 있다. 『강남, 낯선 대한민국의 자화상』은 강남의 역사와 함께 강남에 대한 세간의 복잡 미묘한 시선을 들여다보고 강남문화 속에 비치는 우리 자...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편찬한 강남구의 역사·자연환경·정치·사회 등을 수록한 향토지. 『강남구지』는 강남구의 역사와 자연환경을 비롯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현황 자료를 종합적으로 수록하여 편찬한 방대한 책이다. 구지의 발간은 조선 초기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하여 조선 후기에 각 지역별로 발간되었던 읍지를 계승한 편찬 사업이며, 현재 상황을 후...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삼풍백화점 붕괴 사건을 소재로 2010년 출간된 황석영의 장편소설. 『강남몽』은 소설가 황석영이 인터넷에 8개월간 연재하였다가 한 권으로 출간한 장편소설이다. 일제 강점기부터 1990년대 중반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삼풍백화점 붕괴 사건까지의 역사적 시간을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풀어간다. 삼풍백화점 붕괴현장에 있는 다양한 인물들의 삶을 병행하여 보여...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강남신문사에서 발행하는 주간 신문. 『강남신문』은 1989년 5월 18일에 창간된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지역주간신문으로, 충청남도의 『홍성신문』과 더불어 우리나라 순수 지역사회신문의 효시이다. 창간정신[국익우선보도, 정확한보도/공정한 논평, 지방자치제 선도, 지역사회신문의 이상적 모델 구현]과 지역언론 매체로서의 독자적인 철학을 가지고 양심에 따라 원칙과 정...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고 지역 문화의 이해를 돕는 향토문화지. 선사시대부터 광복 이후에 이르는 강남구의 시대별 변천사를 개설하고, 강남구의 자연환경과 동(洞), 세시풍속과 놀이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강남구에 소재하고 있는 문화재와 문화유산, 관련 인물 등도 포함되어 있어 특히 강남구 지역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강남문화원은 강남 지역을 폭 넓게 이해할...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포털사이트. 비전코리아솔루션즈는 뉴스, 여론조사 등의 언론정보와 다양한 생활 정보 서비스가 여러 기관과 매체로 분산되어 있어 정보생활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고 이들을 한 곳에서 편하게 볼 수 있게 하는 250개 지역의 포털 사이트를 제작하였다. 2012년 현재 강남포털 인터넷사이트를 시험 운영 중에 있으며 무가지 지역포털신문 발행...
-
2002년 이경 시인이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길 이름을 소재로 창작, 발간한 시집. 이경 시인은 길 이름을 시로 노래하는 시인이다. 그가 거리의 이름을 소재로 시를 쓰게 된 것은 2001년 러시아 모스크바 방문 시 대문호가 살던 고장의 길마다 이름이 붙여진 것에 감명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귀국한 후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길 이름을 소재로 시를 쓰기 시작했고 이 시들을 모아 『꿈꾸...
-
서울특별시 강남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강남부자들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제3자의 시선에서 강남을 이해하고자 한 책 『대한민국 강남특별시』는 한국 사회의 경제, 교육, 문화를 주도하고 있는 강남을 조명하고 있는 책이다. 이른바 강남부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직접 취재하고 조사하여 강남 경제의 단면, 교육문화의 실체, 소비문화의 양상 등을 가감 없이 드러내고 평가한다. 이로써 기존에 간과했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을 소재로 시인이자 영화감독인 유하가 1991년 민음사에서 발간한 시집.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한다』는 유하 시인의 두 번째 시집이다. 정치적 욕망과 물질적 욕망, 성적 욕망이 뒤엉켜 타락한 산업사회의 모순이 집약된 곳으로 강남구의 압구정동을 명시하고 그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줌과 동시에 비틀고 희화화시켜 날카롭게 풍자하고 있다. 『바람부는 날이...
-
한국의 대표적인 부촌인 압구정동과 그 곳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재로 2008년 정수현이 발표한 소설. 한국사회의 첨단 트렌드를 이끄는 압구정의 문화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그린 소설로 시트콤 「논스톱5」의 작가로 활동한 정수현의 소설이다. 보통 소설과 달리 젊은 여성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내용에 각주를 달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독자들이 압구정동과 청담동을 제...
-
이재익이 2010년 발표한 1990년대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 청소년들의 성장소설. 『압구정 소년들』은 SBS 라디오 PD이자 작가인 이재익이 자신의 자전적 경험을 반영하여 발표한 반자전적 장편소설이다. 1990년대 초반 대한민국 부촌의 상징인 압구정동에서 경제적으로 윤택하면서도 남다른 청소년기를 보내고 엘리트 코스를 밟아 사회의 특권층으로 성장한 30대 중반의 남성 5명의 성장담...
-
1990년대 소비문화를 주도한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의 문화비평서 『압구정동 : 유토피아 디스토피아』는 1990년대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의 모든 것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의 측면에서 전문가들이 분석한 문화비평서이다. 경희대학교 도정일, 연세대학교 조혜정 교수, 시인 김정환, 건축가 고(故) 정기용, 미술평론가 엄혁 등이 참여하여 압구정의 본질을 살펴 90년대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과 압구정동 사람들의 부패와 타락을 그린 1993년 발표된 이순원의 장편소설. 『압구정동엔 무지개가 뜨지 않는다』는 『압구정동에는 비상구가 없다』의 속편 격이다. 전편에서는 압구정동으로 상징되는 남한 천민자본주의의 성적 부패와 타락상을 고발하였다면, 이 작품에서는 성적 타락을 부추기는 우리 사회의 권력과 금력의 중심을 철저히 해부하고 있다. 작가의 관심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에 있는 와이드 커버리지가 발행하는 인터넷 신문 와이드 커버리지는 사실에 충실한 뉴스, 삶을 윤택하게 하는 다양한 정보, 세계 속의 다양하고 재미있는 화재, 소외된 이들을 살피는 좋은 뉴스를 세상에 전하고 더 좋은 세상을 만들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와이드 커버리지는 일간 신문으로 인터넷상에서만 발행한다. 와이드 커버리지는 5항목[전체기사, 시사일반, 스...
-
서울특별시 강남 지역의 지역뉴스와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지역사회신문 우리동네뉴스 서울강남은 우리동네뉴스가 운영·제작하고 있는 우리동네뉴스 가운데 하나로, 온·오프라인으로 운영되고 있다. 우리동네뉴스 서울강남은 온·오프라인으로 지역의 뉴스와 생활정보를 보다 다양하고 빠르고 정직하고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창간되었다. 우리동네뉴스 서울강남은 2012년 현재 인터넷 사이트로 운영하고 있...
-
강남 일대[영동지구]를 서울의 3개 주요 부도심의 하나로 지정하여 업무 및 상업지역으로 개발하고자 했던 계획. 서울 최초의 근대적 의미의 도시계획이 수립된 것은 일제강점기였던 1930년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실제로 시행되지 못했다. 1934년에 이르러서 「조선시가지계획령」이 제정됨으로서 경성부는 1936년에 ‘경성시가지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 계획이 우리나라 근대 도시계획의...
-
서울특별시가 영동지구 건물 부지의 최소면적을 165㎡[50평]로 제한한 조치. 서울특별시는 1972년 11월 15일 강남구획정리지역인 영동지구를 이상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영동지구 내 토지는 주택지라할지라도 165㎡[50평]이하로 분할하지 못하는 ‘50평 이하 토지분할 금지조치’를 시행하였다. 당시 「건축법 시행령」상의 최소 대지면적은 90㎡[27평]이었는데, 영동지구에서는 토지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까지 벌어진 민족 내부의 전쟁이자 국제전. 6.25전쟁 중 당시 수도 서울과 한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던 현재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는 공산군 및 국군과 유엔군 양측 간 서울 공방 작전의 주요 무대 중 하나이자 피난민 이동의 중심 경로였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을 눈앞에 둔 1945년...
-
서울특별시강남교육지원청의 관할지역인 강남구와 서초구. 서울 시내 고등학교 학군제도는 1998년에 와서 부분적으로 변화되었다. 1998년 2~5개 구씩에 걸쳐 있는 9개의 학군을 지역교육청 관할지역을 중심으로 2~3개 구에 걸친 11개 학군으로 조정함으로써 11개 학군체제로 정착하게 되었다. 조정내용을 살펴보면 동부교육청 지역[동대문구, 중랑구 전역]이 1학군으로 개편되는 것을 비롯...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시민사회 단체. 가정을 건강하게 하는 시민의 모임은 가정의 기능을 유지하고 가정의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제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2003년 10월 설립되었다. 가정을 건강하게 하는 시민의 모임은 2003년 10월 창립총회를 열고, 2003년 12월에 보건복지부로부터 사단법인 설립허가를 받았다. 2004년 10월 제1회 가정을 건강하게 하는 시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480에 있는 근린공원. 갈매기공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의 현대 아파트 내에 위치한 공원으로 풍부한 녹음과 운동 시설이 배치되어 있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갈매기공원은 1982년 5월 2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8년 5월 2일에 개장하였다. 갈매기공원의 면적은 7,732㎡이며, 녹지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서울특별시가 운영하는 공공도서관. 1956년 2월 4일 서울특별시 시립도서관설치조례 제정 이래 서울시내에 설치한 지역도서관 가운데 하나이다. 강남도서관은 각 분야의 정보 및 지식을 제공하고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강남구 삼성동 주민의 지적 수준을 향상하고 건전한 시민의 문화공간으로 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강남도서관은 다양한 장서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세곡동·율현동 일원의 94만㎡에 무주택 서민을 위하여 정부가 공공부문을 통해 직접 공급하는 주택. 보금자리주택은 「보금자리주택 건설 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대한주택공사, 한국토지공사, 주택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지방공사 등이 서민의 주거안정과 주거수준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건설하는 국민주택규모[전용면적 85㎡] 이하의 분양주택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강남구 관할 세무 행정 기관. 강남세무서는 세법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집행하여 시민의 성실한 납세 의무를 이행하도록 지원하고, 국세 수입의 원활한 확보로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강남세무서는 1979년 3월 신설되었으며, 1980년 12월 현 청사[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 425]로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이후 2012년 11월 1...
-
서울특별시 강남구청 강남문화재단 소속의 교향악단. 강남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1997년 창단된 우리나라 최초의 기초 자치단체 소속 교향악단이다. 60회의 정기연주회와 활발한 음반제작, 다양한 음악행사를 개최하였으며 2003년 강남구 자매도시인 미국 리버사이드시의 초청으로 한인 미주 이민 100주년 기념 축하공연을 리버사이드와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하였고 2013년 시카고한인문...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사회단체. 강남 YMCA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대표적인 사회단체로 각종 사회 운동과 문화 운동, 다양한 학습 및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과 지역 사회 발전에 봉사하는 단체이다.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사회의 올바른 발전을 위한 지역 운동체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아름답고 선한 공동체를 이루고자 하는 YMCA 운동 본연의 목적을 다하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율현동 108-9에 위치한 강남 지역의 중고차 매매단지 강남 자동차 매매 단지의 생성 배경은 강남 지역의 도시 발달사와 관련이 있다. 초기 중고차 매매단지는 1986년에 삼릉공원 후면인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43-1에 33개 업체가 입주한 모습으로 개장하였다. 1990년대에는 중고차 수요가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삼성동 무역센터 후면 지역에 무계획적으로 자동차...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건물. 강남 장애인 복지관은 단아건축사사무소의 조민석이 설계를 맡고, 신호종합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알루미늄 복합 판넬과 고밀도 합성목재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686㎡, 건축면적은 408.87㎡이다. 용적률은 194.05%, 건폐율은 59.60%로 지하 3층, 지상 4층으로 되어 있다....
-
장례문화의 정착과 주민 복지를 위해 강남구청이 충청북도 음성군 예은추모공원 내에 마련한 봉안시설. 강남구청은 강남구 주민의 장례복지 증진을 위해 2005년에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예은추모공원의 봉안시설 중 일부인 5,248기를 매입하였다. 개인 봉안당은 개방형, 폐쇄형으로 구분하여 설치하였고, 부부형 봉안당은 부부가 함께 봉안당에 안치 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다. 강남구는 지금까지...
-
1990년대 이후에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에서 태어나 어머니가 짜놓은 인생계획에 따라 자라나는 아이들. 강남 키즈는 1990년대 이후에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에서 태어나서 어머니가 짜놓은 인생계획을 따라 자라나는 아이들이다. 과거 강남구 일대에 강남 8학군 아이들이 성장했다면 2000년 이후로는 강남 키즈가 성장한 것이다. 이들은 강남의 교육여건이 좋아지면서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나...
-
강남과 강북 지역의 격차 완화를 위해 1990년 1월 서울특별시가 추진한 균형발전 시책. 1970년대 서울특별시 행정에 최대 과제는 도심부를 포함한 강북 지역의 인구집중을 억제하고 강남 지역으로 분산시키는 인구분산정책이었다. 이를 위해 강북 지역, 특히 도심부에 각종시설의 입지를 제한하거나 건축행위를 제한하고 건물높이와 밀도 등을 차등 적용하였다. 또한, 강북 지역에 밀집해 있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서울지방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강남경찰서는 강남구 관내의 치안 유지 및 구민의 생명·재산 보호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1976년 12월 20일 대통령령 제8307호에 의거 강남경찰서를 개서[강남구 대치3동 998]하였다. 1978년 10월 5일 강동경찰서가 신설되어 관할을 분리하였다. 1985년 12월 2일에는 서초경찰서가 신설되어 관할 분리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강남교회는 강남 지역사회를 품고 복음 사역을 감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강남교회는 1976년 강남구 신사동 292 한신아파트 A동 101호에서 기도처를 세우며 시작되었다. 1976년 강남구 논현동 1071-1에 있는 대지 667.76㎡[202평]를 교회부지로 구매하였고, 이후 같은 해 6월에 강남구 논현동 253-1의...
-
서울특별시 동남부에 위치한 구. 강남구는 서울특별시의 동남부에 위치하는 무역·금융·첨단사업·패션·예술·행정·교통의 중심지이다. 강남구의 지리좌표는 동경 127°0′~128°1′, 북위 37°54′~37°59′이다. 동쪽으로는 송파구의 잠실동·삼전동·가락동·문정동 등과 접하며, 서쪽으로는 서초구의 잠원동·반포동·서초동·양재동 등과 마주한다. 남쪽은 서초구의 염곡동·내곡동 및 경기도...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건강가정지원센터. 강남구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가족 상담, 가족 교육, 가족 문화, 가족 돌봄, 가족 지원, 조사연구 등을 통해 가족의 문제를 예방·해결하고 가정의 건강성을 증진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행복한 가정이 기반이 되는 건강한 지역 사회를 조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강남구 건강가정지원센터는 1999년 강남구 가정 복지센터로 개관하였다. 「...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의약인 단체와 강남구 보건소로 구성된 봉사단. 강남구 나눔의료봉사단은 강남구 내 의사회, 치과의사회, 한의사회, 약사회, 간호사회 등 의약인 단체와 강남구 보건소가 재난지역 긴급의료지원 등의 봉사활동을 하기 위해 설립한 봉사단체이다. 강남구 나눔의료봉사단은 2011년 5월 11일 경상남도 산청군에서 한의사 20여 명이 무료 한방진료를 실시하면서 첫 봉사활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에 위치한 강남구의 체육시설, 주차관리 시설 등을 전문적으로 관리·운영하는 지방공기업. 강남구 도시관리공단은 강남구청장이 지정하는 시설 및 사업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함으로써 구민생활의 편익과 복지증진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자치적인 구행정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9년 9월 1일 창립하여 노상·노외주차장, 거주자 우선주차 및...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강남구의 선거 총괄 기관. 선거관리위원회는 헌법 제114조의 규정에 의하여 설치되어 헌법, 「공직선거법」,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등에 근거하여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시·도지사, 시장·군수·자치구청장], 지방의회의원 선거[시·도의원, 시의원·군의원·자치구의원], 교육위원·교육감 선거와 관련된 후보자 등록 및 투·개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소재한 기업으로 한국의 증권업협회에 등록된 코스닥 기업. 코스닥[KOSDAQ]상장기업이란 코스닥에 등록한 기업을 말한다, 보통 코스닥은 증권업협회에 등록된 주식을 대상으로 거래하는 시장이고 거래소는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을 대상으로 거래하는 시장을 말하지만 보통 상장과 등록을 구분하지 않고 구분 없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코스닥(kosdaq) 기업...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근거를 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2011년 말 현재 전국의 한국증권거래소 상장사 수는 790개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 49%인 387개가 서울에 입지하고 있다. 서울 소재 상장사들이 전체 상장사들의 시가 총액 1,076조 6천여억 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59%로 서울의 상장기업들이 전국 평균 보다 규모 면에서 크다. 강남구에 서울 전체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약사 회원들의 권익보호와 교류활성화를 위한 단체. 강남구 약사회는 지역 내 약사들의 권익 신장과 상호 간의 친목 도모, 약국 업 및 판매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1976년 11월에 설립되었다. 강남구 약사회는 회원들의 권익 신장과 의료보장 시대에 맞는 약국의 위상을 확립하는 일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주요 활동사항으로는 2012년 2월 회원들의 취미생활을 위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여성 교육기관. 강남구 여성능력개발센터는 강남구청이 세운 평생교육기관으로 지역사회 전반의 삶의 질 향상과 여성의 경제적 자립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민간단체이다. 강남구 여성능력개발센터는 1997년 9월 강남구청에서 사단법인 대한어머니회 중앙연합회에 위탁하여 강남구 여성센터로 개관하였다. 2008년 1월 평생학습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영유아 관련 사회 보육 기관. 강남구 육아종합지원센터는 강남구청이 설립하여 어린이집, 영유아 및 부모, 보육교직원, 강남주민들에게 보육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보육지원기관이다. 강남구 육아종합지원센터는 지역적 특성에 기초하여 일반 가정의 육아를 지원하고 다양한 영유아의 보육에 관한 정보와 서비스를 지역 주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6...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 의사 회원들의 권익보호와 교류활성화를 위한 단체. 강남구 의사회는 사회복지 증진을 위해 의도의 양양, 의학의 발전보급, 국민보건의 향상 및 회원 권익의 옹호와 친목을 도모하게 위해 설립되었다. 강남구 의사회는 1976년 3월 서울시 의사회 산하 12번째 구의사회로 성동구 의사회에서 분구되면서 성립하였다. 1980년 3월 강동구 의사회를 분구했고, 1988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자원봉사센터. 강남구 자원봉사센터는 강남구청에서 강남구 자원봉사활동 지원조례에 근거하여 설립하였다. 강남구 주민들의 자원봉사활동 자발적인 참여 정신과 협동심을 길러 자기 계발 및 연대감을 형성하고 강남구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문제와 욕구 해결을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강남구 자원봉사센터는 2001년 6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원봉사활동 지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건물. 강남구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에이앤에이종합건축사사무소의 이태영, 임동호가 설계를 맡고, 건림원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다. 대지면적은 3079.70㎡이고, 건축면적은 1539.07㎡이다. 용적률은 90.97%, 건폐율은 49.97%로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되어 있다. 주민 참여 공간을 두었고, 건물...
-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전자책 도서관. 강남구 전자도서관은 강남구의 핵심문화시설인 관내 구립도서관 및 작은 도서관과 더불어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부응하여 구축한 웹·앱 기반의 도서관이다. 강남구 전자도서관은 강남구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독서 진흥을 위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편리하게 도서를 읽을 수 있도록 하였고 이로써 독서문화의 또 다른 장을 마련하였다. 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강남구 직업재활센터는 강남구청이 장애인들의 재활복지와 자립생활능력 향상을 위해 밀알복지재단에 위탁운영하고 있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이다. 강남구 직업재활센터는 장애인이 생산적 국민으로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장애인의 직업재활과 지역사회재활 통합 서비스체계를 구축하고 중증 장애인의 보호 고용과 사회 적응 훈련, 직업 적응...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청소년 단기 보호 시설. 강남구 청소년 쉼터는 강남구청이 위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단기 보호 및 각종 사회 복지 전문기술을 활용한 통합서비스를 제공하여 사회구성원으로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 기독교 대한감리회 태화복지재단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 보호 시설이다. 1998년 1월 강남구 청소년 쉼터를 강남구 삼성 1동에 개소하였다. 1999년 5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체육단체. 강남구 체육회는 회장 1명, 부회장 2명, 사무총장 1명, 간사 1명, 감사 1명 이사 19명으로 구성되었다. 강남구 체육회는 국민체육진흥법 제23조 4항, 대한체육회 규정 제52조 1항, 대한체육회 시, 도지부에 관한 규정 제5장 제16조, 서울시체육회 구약 제47조에 근거하여 설치되었고 그 대표자로 강남구청장이 활동하고 있다. 강남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평생학습기관. 강남구 평생학습센터는 강남구를 평생학습도시를 조성하려는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강남구민의 평생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별 허브(Hub)로 육성되었다. 강남구 평생학습센터는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가 실시하는 평생학습도시 조성 계획의 일환으로 2007년 9월 강남구 평생학습마스터플랜 계획을 수립하였다. 강남구청은 2007년 11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노인복지시설. 강남구립 강남노인종합복지관은 지역 노인의 복지증진을 위해 강남구청에서 설립하여 기아대책이 위탁운영하고 있는 노인종합복지관이다. 2004년 11월 강남구청과 사회복지법인 기아대책 간에 운영수탁 계약을 맺고 초대 관장으로 금동창 관장이 취임하였다. 2005년 1월 10일 강남구 노인복지관으로 개관하였다. 2008년 1월 강남구 노인복지관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이 설립한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리버사이드 캠퍼스에서 운영하는 구립 국제교육원. 강남구립 국제교육원은 강남구청이 설립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리버사이드 캠퍼스[UC Riverside]가 운영하는 국내 최초 어학연수 기관이다. 수업방식과 학사관리가 캘리포니아대학 리버사이드 캠퍼스 교과 과정과 동일하게 운영되고 있어서, 강남구립 국제교육원 입학생들은 유학을 가지 않고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노인복지시설. 강남구립 대치노인복지센터는 강남구청에서 대한불교 조계종 산하 봉은에 위탁해서 운영하고 있는 노인전문사회복지시설이다. 강남구립 대치노인복지센터는 강남구 지역 노인들에게 문화시설과 요양시설을 제공하여 노인들이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강남구청에서 설립하였다. 강남구립 대치노인복지센터는 2011년 8월 1일 강남구청에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노인복지센터. 강남구립 역삼노인복지센터는 지역 노인들에게 여가 문화와 복지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노인들에게는 기능회복서비스와 전문적인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강남구립 역삼노인복지센터의 주요 사업으로는 첫째 상담 사업이 있다. 지역 노인들의 각종 문제들에 대한 생활 상담과 전문자원연계를 통한 전문상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청소년수련관. 강남구립 역삼청소년수련관은 2004년 3월 강남구청에서 청소년의 복지증진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한 청소년수련관이다. 강남구립 역삼청소년수련관은 수련활동을 통한 청소년의 복지 증진과 건전한 청소년 육성을 위해 설립하였다. 강남구립 역삼청소년수련관은 2004년 3월 개관하였다. 2004년 2월 초대 한성우 관장이 취임하였다. 2005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1동에 있는 구립도서관 강남구청이 운영하는 14개 구립도서관 가운데 한 곳이다. 강남구립 역삼푸른솔도서관은 지역주민의 독서진흥과 학습장소 제공을 위해 설치·운영하는 도서관으로, 강남구청이 통합·관리하고 있다. 강남구립 역삼푸른솔도서관은 2009년 6월 12일 도서관 개관 이래 오늘에 이른다. 강남구립 역삼푸른솔도서관에서는 주로 도서 대출과 열람실 이용 서비스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강남구민을 대상으로 하는 종합스포츠센터. 강남구민체육관은 생활체육의 활성화를 통한 시민의식 함양과 심신단련을 목표로 건립되었다. 강남구민체육관은 개포동 달터근린공원에 위치하여 소나무, 잣나무, 각종 수림이 우거진 숲속에 둘러싸여 있어, 주변경관은 물론 공기도 좋아 운동하기에 매우 적합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이 다양하여 웨이트트레이닝, 에어...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매년 5월에 개최하는 구민체육대회. 강남구민체육대회는 강남구청이 강남구민과 강남구에 거주하는 외국인 모두가 한자리에 모여 화합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2008년 5월 31일에 강남구 개포동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운동장에서 시작한 체육대회이다. 이후로 매년 5월 강남구 개포동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운동장에서 강남구민체육대회가 열리고 있다. 강남구민체육대회는 제1회부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복지시설. 강남구민회관은 1996년 9월 18일에 개관한 강남구민의 종합문화예술 공간으로 연극, 음악, 무용, 영상물 등의 공연과 예술품 및 상공품 등을 전시 및 강연회, 토론회, 교양강좌, 생활체육강좌, 어린이집 운영 등 다양한 주민편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같은 건물에 강남구의회도 입주해 있다. 강남구민회관은 1992년 6월에 착공하여 1996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강남구보건소 소속 분소. 강남구보건분소는 2005년 1월 강남구민들의 의료 수요를 충족하고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강남구보건분소는 일원동, 수서동, 개포동, 세곡동 지역 77,000명에 이르는 복지대상자들의 공공의료 접근성을 높이고자 1차진료실, 물리치료실, 장애인치과, 예방접종실, 임상병리검사실을 운영하고 있다. 1차진료실은 만성질환(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공공 보건 의료 기관. 강남구보건소는 강남구 주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위생 관리와 질병 예방, 보건 교육, 건강 검진 등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지역 중심 보건 의료 기관이다. 강남구보건소는 강남 지역 주민 구민의 건강을 관리하는 1차 의료 기관으로서 구민의 다양한 보건 의료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
한강·평야·구릉지가 조화를 이루는 강남구의 자연환경은 거주에 적합한 조건을 제공하여 오래 전부터 문화의 집산지를 이루는 바탕이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재 강남구는 무역·금융·패션·예술·문화 등 첨단 문화 산업과 부를 상징하는 서울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 강남구가 건강하고 아름다운 문화 도시 이미지를 가지게 된 데에는 현대적 면모를 자랑하는 도시 조경이 기여한 바가 크다. 강남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소재하는 상시근로자 300인 미만, 자본금 30억 이하, 매출액 300억 원 이하의 기업체. 서울특별시 강남구에는 총 58,371개의 중소기업이 있는데 이는 서울시 전체의 15%에 달하는 비중이다.[2012년 초 현재] 그 중 업종별로 도소매업이 총14,876개 업체로 강남구 전체 중소기업의 25.49%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도소매업 다음으로 많은 기업체 수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강남구의 의회. 강남구의회는 1990년 지방자치에 대한 법률의 개정 공포와 더불어 기초 의회 의원 선거에 의해 강남구 22개동에서 선출된 21명의 구의원으로 구성된 강남구의 의사결정 기관이다. 강남구의회는 「지방자치법」에 의거, 구민의 의견을 반영하여 강남구의 의사를 결정하고 집행 기관을 감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8년 4월 6일 법률 제 40...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회가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강남구의회가 내세우는 ‘열린의회’를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강남구민은 물론 대한민국 국민에게 강남구의회 활동을 알림으로써 의회 활동을 이해하고 의견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강남구의회 인터넷 방송국은 2005년 10월 개국하여 오늘에 이른다. 강남구의회 인터넷 방송국에서는 의회 정례회, 임시회 등의 의사일정과 개회일정을 안내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있는 정신 보건 기관. 강남구정신보건센터는 강남구 주민들의 정신건강 증진 및 상담 예방사업을 실행하고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와 정신장애인 가족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건강한 마음·스마일 강남은 강남구정신보건센터 CI[Corporate Identity]로 강남구민 누구나 건강한 마음으로 함께 웃을 수 있도록 하겠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강남구의 행정 사무를 담당하는 기관. 강남구청은 1975년 성동구에서 분리되어 새롭게 신설된 강남구 행정의 민주성 및 능률성 도모와 함께 강남구의 행정 업무를 총괄하고 주민의 복지 증진과 지역 발전을 추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5년 10월 1일 대통령령 제7816호[1975년 9월 23일]에 의거 영동출장소가 강남구청으로 승격[3국 1실 14과...
-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강남구청에서는 2004년 6월 인터넷 방송국을 개국하고 구정 소식과 주요 정책 등을 지역사회에 신속하게 알리고 있으며 개국 당시 인터넷 방송국에서 함께 운영하던 인터넷 수능강의는 현재 강남 인터넷 수능방송으로 별도 운영하고 있다. 강남구청 인터넷 수능방송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유일의 수능 및 내신 전문 인터넷 교육 사이트로 공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제2동 1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7호선 지하철역. 강남구청역의 명칭은 인근에 위치한 강남구청에서 유래하였다. 강남구청역은 지하철7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강남구청역은 2000년 8월 개통되었으며, 2012년 분당선 연장구간이 환승개통 되었다. 강남구청역은 시설규모 3층, 총 면적 10,359㎡이며 1~4번...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2동에 위치한 노인복지센터. 강남논현데이케어센터는 지역사회 노인들의 노후생활 안정과 심신기능의 유지 및 향상을 도모하며 부양가족의 경제적, 신체적, 심리적 부담을 감소시켜 약화된 가족기능의 회복을 돕고 나아가 지역사회 전체에 대한 복지 증진을 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강남논현데이케어센터는 2008년 3월 13일 한마음노인복지센터로 개관하였다. 2010년 3월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한남대교 남단에서 서초구 양재동 양재대로에 이르는 도로. 강남대로는 강남구와 서초구의 경계를 이루며 남북으로 관통한다. 강남대로는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구명(區名)에서 유래하였다. 강남대로는 연장 6.9㎞, 폭 50m, 왕복10차선 도로이다. 강남대로는 강남구와 서초구 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강남대로는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 공...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서 1982년에 설립된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의 교회. 강남동산교회는 가족과 이웃, 그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교회, 1%의 변화를 만들어가는 교회를 목표로 설립하였다. 강남동산교회는 1982년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 81-6 양서아파트 5-406에서 조춘익 목사 외 11인과 그들의 자녀 15명이 모여 시작됐다. 그 후 강남구 방배동 260 한동빌딩 3...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지역문화단체. 강남문화원은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거 서울특별시장의 인가를 받아 1998년 4월 개원한 특수법인이다. 다양한 문화예술 강좌를 개최하는 한편 전국 규모의 전통예술 경연대회 및 명사의 강연, 지역축제와 문화유적 탐방 등 강남구만을 위한 사업을 넘어서 활발한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강남문화원은 향토문화 선양사업에 앞장설 뿐만 아니라 강남구민...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지역문화재단. 강남문화재단은 강남구민의 문화 예술적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건립된 재단으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강남문화예술단인 강남심포니 오케스트라와 강남합창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경영기획실, 문화예술팀, 문화센터팀, 관광사업팀, 도서관운영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영기획실은 문화사업의 기획, 홍보, 재무, 감사, 시설관리를 담당...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있는 환경운동 시민단체. 강남서초 환경운동연합은 생태계의 오염에 대한 인식을 함께 하고 환경운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전 세계를 안전하고 평화롭게 가꾸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강남서초 환경운동연합의 주요사업으로는 환경운동을 위한 실천사업, 환경문제에 대한 주민의 관심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사업, 환경문제에 대한 조사 및 연구, 정책제시사업, 환경...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대학 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은 연세의료원의 의료 확충 사업과 거점 적 의료 전달 체계 확립 및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에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전인적인 진료와 선진화된 연세의학을 전파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은 1975년 8월 영동지구 종합 의료 확충 사업 계획서가 경제기획원에 제출되면서 시작되었다. 1983년 4월 연세대학교 부속 영...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강남구를 관할하는 소방 행정 기관. 강남구 지역의 화재를 예방·경계·진압하기 위하여 행정자치부장관 소속하에 설치된 행정 기관이다. 강남소방서는 강남구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 보호를 통해 공공의 안녕 및 질서 유지와 사회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6년 12월 20일 서울특별시조례 제1102호에 의거 강남소방서가 설치되었다. 1979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양재동에 위치한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산하 수도 사업소. 강남수도사업소는 강남구, 서초구 등 2개구 44개동의 상수도를 관리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9년 11월 3일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설치 조례[제2507호]의 제정 이후 그해 11월 21일 강남구청과 서초구청, 서흥빌딩 3개소에 나누어 강남수도사업소로 개청되었다. 1990년 10월 15일 서초구청...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자리한 종합스포츠센터. 강남구도시관리공단이 2005년 3월 2일에 개관한 강남스포츠문화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강남스포츠문화센터는 강남구 구민들에게 문화 및 스포츠 서비스를 제공하여 구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돕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강남스포츠문화센터는 골프, 단전, 댄스[한국무용, 재즈댄스, 벨리댄스, 댄스스포츠, 나이트댄스], 문화/취미[수채화, 서예, 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상설재래시장.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강남시장은 1974년에 개설한 상설재래시장이다. 과거 200여개의 점포가 성업을 이루었으나 최근 재래시장의 침체로 80여개의 점포만이 주로 음식점과 편의시설 위주로 상업활동을 하고 있다. 강남시장은 1974년에 주상복합형태 건물 안의 상설재래시장으로 개설되었다. 과거 200여개의 점포가 현재 80여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척추관절 전문병원. 강남안세병원은 국내 최고의 척추관절전문병원을 목표로 의술과 인술의 실천을 위해 설립되었다. 강남안세병원의 모체인 안세병원은 1984년 5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개원하였다. 1998년에는 인공관절센터를 개설하였다. 1999년에는 척추센터와 척추건강연구소를 개설하였다. 2006년에는 비 수술전문 척추센터를 개설하였다. 200...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21-1 일대에 위치한 2호선·신분당선 지하철역. 강남역이 위치한 역삼동은 역촌(驛村)의 세 마을인 말죽거리, 하방하교, 상방하교를 병합하여 역삼리(驛三里)라 하였고 그 뜻을 따서 동리 명칭으로 삼았다. 강남역은 강남구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강남역으로 이름을 지었다. 강남역은 지하철2호선·신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신분당선의 환승역인 강남역 주변 사거리. 강남역 사거리의 중심인 강남역은 현재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신분당선의 환승역인 동시에 신분당선의 기점이다. 이때 강남역 사거리는 일반적으로 강남역 또는 강남역 주변에 형성된 상권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과거 강남역 주변 상권은 한강 이북의 명동과 함께 서울의 양대 번화가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무허가 집단거주지. 개포동 구룡마을은 1983년 88올림픽 준비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개포동개발계획에 의해 개포동에서 밀려난 주민들이 구룡산 북사면에 거주하면서 형성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영농 비닐하우스에서 시작되었으나,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을 거치면서 무허가 집단거주지로 그 성격이 바뀌었으며, 최근에는 서울시가 공영개발...
-
압구정동은 조선시대 권신이었던 한명회가 지은 압구정이라는 정자에서 위치했던 곳이라는 사실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압구정동의 가장 오래된 모습은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 시대 겸재 정선의 경교명승첩 속에 있다. 1741년(영조 17년)에 비단 위에 그려진 31×20㎝ 크기의 그림이다. 최완수 간송미술관장에 따르면 지금의 잠실 쪽에서 배를 타고 오면서 본 시각이기 때문에 압구정동...
-
1970년대 본격화된 강남개발로 건축된 강남 전역의 아파트단지와 공공시설들이 경제적 가치의 제고를 위한 재건축과 재개발에 직면해 있다. 재개발은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재건축은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데 일시에 몰린 재개발과 재건축으로 인해 야기된 주택시장의 과열과 왜곡을 해결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주택공급량 부족 문제와 주택정책의 공공성을 확보하는 현안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종합 사회 복지 시설. 강남종합사회복지관은 강남구청에서 지역 복지증진을 위해 강남학원에 위탁해서 운영하고 있는 종합사회복지관이다. 강남종합사회복지관은 인간 존엄성을 옹호하고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과 지역 주민들의 행복한 삶을 위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강남구 지역 주민에 대한 교육과 문화 보급을 통해 지역 사회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강...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기독교한국침례회 소속 교회. 강남중앙침례교회는 예배와 기도를 통한 영혼의 구원과 선교를 통한 복음 전파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감격 있는 예배를 드리는 교회’, ‘성령의 인도 따라 변화하는 교회’, ‘사랑과 나눔의 사역을 통해 민족과 지역을 섬기는 교회’를 목표로 하고 있다. 강남중앙침례교회는 1976년 2월 1일 김충기 목사에 의해 강남구 청담...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자활지원센터. 강남지역자활센터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16조」에 의거해 강남구 지역 내에 있는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자활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자활을 도모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강남지역자활센터는 2006년 4월 강남구 개포동에 숭실공생복지재단에서 설립하였다. 2007년 홈페이지를 개설하였다. 2011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여성 전문 모자병원. 강남차병원은 인간존중의 생명사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차산부인과를 모태로 여성종합병원을 개원하여 불임치료 등에 있어 세계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설립되었다. 강남차병원의 모체인 차산부인과는 1960년 4월 서울특별시 중구에 개원되었다. 차산부인과를 기반으로 1984년 1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병상 200실 규모의 종...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청소년 수련관. 강남청소년수련관은 강남구청에서 청소년의 복지증진을 위해 설립하여 서울YWCA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청소년수련관이다 강남청소년수련관은 강남구청에서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 강화와 위기 청소년의 성장 지원, 청소년 성장 환경 조성을 위해 설립하였다. 강남청소년수련관은 1993년 1월 강남구 청소년회관으로 개관하였다. 2004년 1월 강남청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강남청소년수련관 내 구립 도서관. 강남청소년수련관 열린책방은 강남구청이 건립하고 서울YMCA가 위탁 운영하는 강남구의 대표적인 청소년 프로그램 센터이다. 강남청소년수련관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주로 청소년의 독서 학습 공간으로 사용된다. 강남청소년수련관은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을 강화시키고 청소년 성장을 돕는 지역환경을 만들며 위기 청소년의 건강한...
-
매년 가을 서울특별시 강남구 코엑스 광장을 중심으로 열리는 패션축제. 강남패션페스티벌은 ‘청담동과 압구정동 일대를 한국 패션의 중심지’로 만들고 ‘한국의 패션산업 활성화’를 위해 2007년에 시작한 패션·문화축제이다. 제1회는 ‘청담·압구정 패션 페스티벌[CAFF·Cheongdam Apgujeong Fashion Festival]’이라는 이름으로 2007년 10월 13일부터 19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청 강남문화재단 소속의 합창단. 강남합창단은 1989년 설립된 최초의 지방자치단체 소속 합창단이다. 연 2회의 정기공연과 민간문화예술 행사 사절단 활동 및 강남문화 축제 등 강남구 내의 크고 작은 문화축제에 참여하여 강남구의 문화적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강남합창단은 강남구 예술발전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고 음악을 찾는 관객에게 고품격의 공연을 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율현동에 위치한 강남구의 생활쓰레기 처리시설. 강남구청은 1998년에 부지를 매입하여 총 사업비 321억7100만원을 투입하여 연면적 1만1012㎡ 규모로 지하 2, 지상 1층 규모의 ‘강남환경자원센터을 짓고, 2013년 12월 4일 준공식을 열었다. 강남환경자원센터는 청소 관련 모든 시설은 지하화하고 지상은 홍보관, 경비실 등 최소시설을 빼고는 모두 녹지로 조성...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 2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소속의 교회. 강변교회는 예배와 기도를 통한 영혼의 구원과 선교를 통한 복음 전파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예배가 생동하는 교회’,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교회’, ‘연합운동을 펴나가는 교회’, ‘북한동포를 돕고 선교하는 교회, ‘청소년을 육성하여 미래를 준비하는 교회’를 목표로 하고 있다. 강변교회는 1979년 강남구 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공동주택단지 개나리 아파트는 1~6차까지 1,840가구로 1970년대 영동[강남]택지개발사업 당시 지어져 강남 일대가 주거중심으로 도약하는데 일조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11-1번지의 대지 43,365㎡에 5층 건물 27개동, 12층 건물 10개동, 13층 건물 3개동으로 총 40개동의 대단지를 형성하고 있다. 단위세대는 19평형 90가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가톨릭 교회 및 동방정교회와 함께 기독교의 3대 전통에 속하는 기독교의 분파. 개신교는 16세기 초 로마가톨릭 교회 내부에서 교회 개혁을 주장하는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종교 개혁으로 알려진 이 운동의 주창자들은 로마가톨릭 교회의 ‘부패와 ‘타락’을 고발하면서 교회의 전통과 권위에 저항하였기 때문에 프로테스탄트(protestants)라는 별명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구룡산 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개암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산 53-40에 있으며 1988년도에 개발되었다. 개암약수터는 달터공원 후면과 구룡산 북서쪽 산기슭에 위치한 강남구 소유의 약수터로 이용면적은 500㎡이다. 1일 취수량은 9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900명으로 활발한 이용을 보인다. 사각정자 안에 약수터가 조성되어 있으며, 주변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공립중학교. 개원중학교는 미래를 준비하는 행복한 사람, 문제해결력을 지닌 창의적인 사람,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자주적인 사람을 육성하여, 나를 찾는 학교, 꿈을 가꾸는 학교, 행복한 학교가 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상, 학생상, 교사상, 학부모상을 통한 학교교육방침을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상은 협동과 배려가 함께 커가는 꿈...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서울특별시가 사업주체로 건설한 공동주택 단지. 개포 시영아파트는 강남구 개포동 656의 대지면적 11만 3,663㎡에 5층 국민주택규모로 30개동이 일자 배치로 건설되었다. 단위세대는 31㎡[방 1개, 욕실 1개] 300가구, 44㎡[방 2개, 욕실 1개] 1,000가구, 56㎡[방 2개, 욕실 1개] 480가구, 63㎡[방 3개, 욕실 1개] 190가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육아종합지원센터. 강남구 개포 지역 주민들이 육아를 위해 도서와 장난감을 대여하고, 보육전문가로 하여금 상담과 육아 정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주요사업으로는 장난감 및 도서대여, 자유놀이실 및 책놀이터 제공, 부모 까페와 상담실 운영 등이다. 자유놀이실 프로그램으로 ‘내 맘대로 탐색 놀이’가 있으며, 개발관찰 양육...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대한주택공사가 건립한 대단위 공동주택 단지. 1980년대 초반의 정부의 주택정책의 목표는 주택공급확대와 주택가격 안정에 있었다. 이에 따라 1980년 정부는 1981년부터 1991년까지 11년간 주택 500만호를 건설하여 주택보급률을 90% 이상 제고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500만호 건설은 실현되지 않았지만 정부는 이를 계기로 주택난 완화...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개포1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개포1동 주민센터는 강남구 개포1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개포1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개포1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개포1동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개포 2, 3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 2, 3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개포2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개포 2, 3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건물 개포2문화센터는 2009년 12월에 개관했다. 12월 1일 오픈하여 최신식 시설과 장비를 갖추고 있다. 개포2문화센터는 지하 3층, 지상 4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당[카페테리아], 예비군동대, 여직원 휴게실[4층], 헬스장, 취미문화교실, 사무실[3층], 동장실, 주민등록실/동서고, 회의실, 숙직실, MDF실, 주민생활팀[2층], 민원행정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개포4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4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개포4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개포4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개포1동은 1914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501에 위치한 근린공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삼성타워팰리스 전면에 위치한 공원으로 다양한 구기 종목을 할 수 있는 운동장과 휴게 시설을 갖춘 공원이다. 개포5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7년 5월 21일에 개장하였다. 개포5공원의 면적은 19,812㎡이며, 녹음이 우...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립고등학교. 개포고등학교의 교육목표는 참되고 슬기로우며 글로벌 리더의 자질을 갖춘 한국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개포고등학교의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게’이다. 개포고등학교는 1987년 1월 12일 설립인가를 받고 3월 1일 초대 교장이 취임하였다. 1988년 5월 12일 개교식을 하였다. 1987년 제1회 입학식에서 남녀 각각 428명이 입학하였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공무원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급한 임대주택. 1980년대 정부의 주택 500만호 건설계획에 따라 새로이 등장한 신규아파트 단지가 일원동이다. 1983년에 일원현대아파트를 비롯해 개포 대우아파트, 개포공무원아파트, 개포 한신아파트 등 4개단지에 3,309가구가 건립되었다. 개포공무원아파트는 1984년 4월 무주택 공무원의 주거 공간 개선을 위해 건설한 것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39에 위치한 근린공원. 개포공원은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의 개포주공아파트 2단지와 3단지 사이 구릉지에 위치하고 있다. 공원 주변이 주택가 밀집지역으로 주민들의 휴식 공간에 대한 이용도가 높다. 개포공원은 1984년 9월 2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2년 12월 15일에 개장하였다. 2008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1동에 위치한 기독교 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개포교회는 1985년 안성옥 목사가 대신교회 개포동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1동에서 시작하였다. 이후 1985년 강남구 일원1동 677-1[지하 132.23㎡]로 이전, 1986년에 강남구 일원1동 678[지하 297.52㎡]로 이전, 1999년에는 강남구 일원1동 647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공공도서관. 1956년 2월 4일 서울특별시 시립도서관설치조례 제정 이래 서울시 내에 설치한 지역도서관 가운데 하나이다. 개포도서관은 강남구 개포동 주민의 지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시민의 문화공간으로 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다양한 장서와 연속간행물, 비도서자료, 인터넷 환경을 주민에게 제공하고, 주민생활 향상을 위한 문화강좌 등...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개포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행정동인 개포 1,2,4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법정동이며,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이 고루 갖춰진 아늑하고 쾌적한 주거지역이다. 인접한 대모산은 표고 293m이며 산모양이 늙은 할미와 같다고 하여 옛날에는 할미산이라 불렀다. 조선 시대 제3대 태종 대왕의 헌릉을 모신 후 어명에 의하여 대모산으로 고쳤다고 한다. 서편...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현대건설에서 건설한 공동주택 단지. 1980년대 초반의 정부의 주택정책의 목표는 주택공급확대와 주택가격 안정에 있었다. 이에 따라 1980년 정부는 1981년부터 1991년까지 11년간 주택 500만호를 건설하여 주택보급률을 90% 이상 제고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500만호 건설은 실현되지 않았지만 정부는 이를 계기로 주택난 완화를 위해...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82-1에 위치한 근린공원. 개포동공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령대가 즐길 수 있는 시설물이 조성되어 있다. 개포동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8년 12월 23일에 개장하였다. 개포동공원의 면적은 9,706㎡이며, 공원의 중심부에는 우레탄 포...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개포동교회는 예배와 기도를 통한 영혼의 구원과 선교를 통한 복음 전파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예배의 감격이 있는 교회’, ‘사랑으로 세상을 섬기는 교회’, ‘땅 끝까지 복음을 전하는 교회’, ‘인재를 키우는 교회’, ‘3, 4대가 함께 하는 교회’를 비전으로 하고 있다. 개포동교회는 1923년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소재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 성당 개포동성당은 1985년 대치동 성당에서 분리 설립되었다. 개포동성당은 지역 신앙공동체 설립과 그리스도의 복음 전파를 위해 설립되었다. 개포동의 인구증가에 따라 1985년 도시공소가 설정되었으며, 당시 1천여세대 4,135명이었다. 개포동 상업지역 2-5번지에 있는 개포종합상가 6층 소재의 건물을 임대하여 사용하였으며,...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95 일대에 위치한 분당선 지하철역. 개포동역의 유래가 되는 개포동 동명은 이 마을에 있던 갯벌을 개펄이라고 부르다가 그것이 변하여 ‘개패’ 또는 한자명으로 ‘개포(開浦)’로 불렸던 데서 유래하였다. 개포동역은 지하철 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개통]되었다. 개포동역은 2003년 9월 개통되었다. 개포동역은 시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과 서초구 양재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개포동길은 1993년 7월 23일 가로명 제정 때 개포길·매헌로 등과 같이 상정되었다가 개포로로 결정되었다. 개포로는 이 길이 지나는 개포동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개포동길은 연장 4.4㎞, 폭 20m, 4차선 도로이다. 개포동길은 강남구와 서초동의 동·서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2012년 현재 개포로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80에 위치한 근린공원. 개포서공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청소년을 위한 운동 시설과 주민을 위한 휴게 시설이 풍부한 공원이다. 개포서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8년 12월 30일에 개장하였다. 개포서공원의 면적은 11,219㎡이며, 공원의 중심부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근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개포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39에 있으며, 강남구가 1992년 개발한 약수터이다. 개포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서울시립개포도서관 후면에 있는 약수터로 이용면적은 100㎡이다. 1일 취수량은 5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500명으로 활발한 이용을 보이고 있다. 사각정자 안에 약수터가 있으며, 주변은 산책로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개포중학교는 인성교육을 강화하여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 탐구력과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과활동을 통하여 세계화에 대비한 미래지향적이고 창조적인 선진 국민을 육성한다는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문화시민으로서 더불어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티켓과 질서의식을 갖추고, 학업에 정진함은 물론 다양한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여 체력을 겸비한...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일대 택지개발을 위한 택지개발촉진 사업. 택지개발촉진지구는 서민주택의 집단적인 공급과 개발이익의 환수를 목적으로 1981년 제정된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하여 지정되었다. 개포택지개발지구는 1981년 4월 11일 지구로 지정되어 같은 해 수립한 개포택지개발지구도시개발기본계획은 도시지역의 시급한 주택난 해소라는 국가시책에 의한 택지의 대량공급과 충분한 공공용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개포우성6차아파트 앞 도시고속도로의 일부를 이루는 도로시설물. 이 차도가 접하는 개포동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230m, 폭 16.8m, 왕복4차선 지하차도이다. 양재대로와 영동대로의 교차점을 지하로 횡단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8년 6월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개포지하차도는 강남구 개포동 개포우성6차아파트 앞 도시고속도로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갤러리 가인로[설립자, 운영자 원현정]는 1999년에 개관한 상업화랑이다. 갤러리 가인로는 1999년에 청담동에 국내 유일의 장신구 전문갤러리로 개관했다. 압구정동으로 이전하여 회화, 조각 등 다양한 분야 작가들의 개인전과 기획전을 열어왔다. 전시 외에도 전문 공예마켓 SOFA[The international exposition of s...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갤러리 미[운영자 이난영]는 상업적인 미술품 전시판매장으로서 1977년 개관하였다. 동서양화가 작가 초대전과 다양한 국제 미술전에 참여하고 있다. 갤러리 미의 규모는 175.21㎡ 정도이다.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갤러리 미[운영자 이난영]는 1977년 9월 ‘미화랑’으로 개관하였다. 미화랑은 개관 기념전으로 1977년 12월에 동양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갤러리 서림은 1984년 시인 김성옥이 인사동에 서림화랑으로 처음 개관한 상업미술 전시판매장이다. 서림화랑의 대표 시인 김성옥은 인사동 시절인 1991년에 당시 문화의 불모지였던 강남에 박여숙화랑과 함께 ‘청담미술제’를 개최하는 주역으로 강남구 청담동 일대가 문화예술적인 지역성을 갖게 된데 역할을 하기도 했다. 2008년 4월에는 인사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1990년에 개관했던 상업미술 전시판매장. 갤러리아미[대표 김영석]는 외국 작품을 위주로 전시·판매하는 화랑으로, 휴관 중이었다가 2016년 현재 종로구 인사동에 재개관한 상태이다. 갤러리아미는 자체적인 미술품 전시판매 외에도 매년 1회씩 예술의 전당에서도 기획 전시를 해왔다. 개관 첫 해에는 개관 기념으로 ‘4인의 침묵의 소리전’을 열었다. 국내 작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상업화랑.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갤러리 S.P는 1989년 4월 15일 국내 최초의 판화공방인 서울판화공방 설립으로 시작된 갤러리이다. 개관 초기에는 주로 자체기획으로 제작한 판화를 보급하는 활동 위주였다. 1989년에는 서울올림픽 1주년 기념 이만익 판화모음집을 제작하였다. 1990년에는 중진 판화작가 19인 전 제작 및 전시를 했다. 1992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갤러리 LVS는 L[Long-term]·V[Valuable]·S[Satisfaction]의 약자로 전시, 공연, 이벤트 등 다양한 종류의 전시와 행사가 가능한 다목적 공간으로 회화, 공예, 설치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의 작품을 전시할 수 있다. 2006년 ‘에스파스 솔(Espace Sol)’을 모태로 하여 2008년 ‘갤러리LVS’로 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갤러리. 갤러리 LGF[엘지패션 대표 신홍순]는 1997년에 개관한 상업미술 전시관이다. 회화, 조각 등 순수미술을 전시하는 일반 화랑과 달리 패션디자인 계통의 전시와 신인작가들을 위한 전시가 주로 열리는 곳이다. 의상 디자인전이나 일러스트레이션, 플라워전 같이 특색 있는 전시가 많이 있었다. 그리고 의상과 패션을 전공한 대학생들의 졸업작품전을 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강남구 청담동 청담초등학교 후문 옆에 위치하고 있는 갤러리 원은 1978년 인사동에서 ‘신사실파’ 작가들의 작품으로 첫 전시를 선보이며 개관한 후 1994년에 청담동으로 이전하여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갤러리 원은 개관이래 한국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인 박종배, 김환기, 황호섭, 백남준, 노은님, 구본창, 임태규, 존배, 김종영,...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아워 갤러리 인데코(Our Gallery Indeco)는 1988년 문화예술 창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시작된 ‘갤러리 인데코’로 시작하여 최근 2011년에 인데코[대표 백정란] ‘아워 플레이스(Our Place)’의 갤러리인 ‘아워 갤러리 인데코(Our Gallery Indeco)’로 새롭게 개관한 상업 미술전시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서 위치한 상업화랑. 갤러리 현대강남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간동에 위치한 ‘갤러리 현대’의 분관으로 2008년 9월에 강남구 신사동에서 개관한 상업 미술 전시판매장이다.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총 4개 층으로 전시장이 꾸며져 있다. 330㎡가 넘는 복층 구조의 전시장으로, 전시 면적이 1,320㎡로 단일 화랑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이다. 지하 1층에서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한화그룹 계열의 도소매 전문업체 한화갤러리아가 운영하는 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은 한화그룹 계열의 도소매 전문업체 한화갤러리아가 운영하는 백화점으로, 갤러리아백화점의 운영 주체인 한화갤러리아의 본사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 7-17에 위치해 있으며 본점인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건물. 갤러리아 패션관 파사드리노베이션은 RAC건축사사무소의 나우천이 설계를 맡고, 한화건설에서 시공을 맡아 2004년 9월 5개월에 걸친 리노베이션 공사가 완공되었다.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에 지름 83cm의 유리디스크 4,330개를 부착하여 낮 동안은 은은한 pearl느낌의 파사드를 연출하고 밤에는 LED조명을 통해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한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스포츠 판권사업 및 스포츠마케팅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 갤럭시아 에스엠은 스포츠 마케팅 전문회사를 목표로 설립했다. 갤럭시아 에스엠의 전신인 상림피혁은 1975년 5월 설립되어 1989년 11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설립 때는 피혁사업을 주로 영위하였으나, 2005년부터 스포츠마케팅 사업을 시작하였고 2007년 5월 상림피혁을 매각하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유통업체. 갤럭시아 커뮤니케이션즈는 멀티미디어 이용자의 자유와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갤럭시아 커뮤니케이션즈의 모체인 바로비젼은 1994년 10월 설립되었고, 2007년 7월 장외주식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8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1002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966-5로 본사를 이전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이 구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행하고 있는 제반의 활동. 강남구청의 구민을 위한 건강관리 정책은 보건의료 정책의 하위 정책으로 실행되고 있다. 강남구청에서는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창출하며, 지역사회의 자원을 증대시킴으로써 구성원들이 개개인의 능력을 모두 발휘하고 잠재능력을 최대한 개발하며 서로 상부상조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도시 개념을 도입하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건설조합원의 경제활동과 경제적 지위향상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 건설공제조합은 조합원의 자주적인 경제활동과 경제적 지위향상을 도모하며, 건설업의 발전을 위한 건설보증기관이다. 건설공제조합은 조합원에게 필요한 보증과 자금의 융자, 공제 사업 등을 수행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건설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건설공제조...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지반공사, 각종 건물 및 구축물을 신축 및 설치, 증축·재축·개축·수리 및 보수·해체 등을 수행하는 산업활동. 건설업은 「건설산업기본법」에서 종합공사를 시공하는 업종과 전문공사를 시공하는 업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종합공사를 시공하는 업종은 다시 토목공사업, 건축공사업, 토목건축공사업, 산업·환경설비 공사업, 조경공사업 등 5종류로 나누어지며, 전문공사를 시공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에 만들어진 건물이나 구조물. 1960년대, 상업화, 도시화로 서울시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자 심각한 주택부족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새로운 택지수요를 충족할 곳으로 한강 이남으로의 진출이 불가피해졌다. 이런 움직임 속에 1966년 ‘남서울계획’과 ‘새서울백지계획’ 등으로 강남개발에 대한 구상들이 발표되었다. 1968년 착수된 영동지구구획정리사업과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건축기술 서비스, 공학적 전문기술 서비스, 지질 또는 지구물리학적 조사 서비스, 과학기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산업 활동. 건축기술·엔지니어링 및 기타과학기술서비스업은 표준산업분류상 다시 건축기술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과 기타과학기술서비스업으로 세분할 수 있다. 그리고 건축기술·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은 건축 및 조경설계서비스업과 엔지니어링서비스업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건축가 박성준[건축사사무소 우리공간]에 의해 설계된 건축문화 사옥은 출판사 에이엔씨 빌딩으로 2010년 5월 31일 준공되었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이고 드라이비트 마감을 하였다. 좁은 대지에서 정면을 확보하기 위해 코어 부분을 배면에 설치하고 내부 공간에는 기둥을 외벽 쪽으로만 계획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공립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의 교육목표는 창조적 지식과 전인적 품성을 겸비한 자유인(自由人)·문화인(文化人)·평화인(平和人)의 육성이다. 교훈은 자유인(自由人), 문화인(文化人), 평화인(平和人)이다. 교훈은 1955년 조재호 교장이 만들었다. 첫째, 자유인이다. 자유란 남의 구속을 받지 않는 자체로서 존귀한 것이다. 나아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자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에 있는 경기여자고등학교 내 박물관.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은 2003년 4월15일 개관하여, 경기여자고등학교 동창회인 경운회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박물관이다. 경기여자고등학교 졸업생이 기증한 소장품과 수집된 유물을 통해 전통 문화를 알린다. 그리고 고등학교 동문들이 주체가 되어 박물관을 운영함으로써 세대의 벽을 넘고 소통하는 창조적 공간을 마련한다.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경기여자고등학교는 목표성취를 향해 도전하는 인간 육성, 글로벌 시대에 맞는 능력 있는 인간 육성,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인간 육성, 미래의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따뜻한 보금자리 구축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생상, 교사상, 학부모상을 통한 학교교육방침을 설정하였다. 첫째 학생상은 올바른 판단력과 건전한 시민의식을 가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지방은행. 경남은행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 지원과 육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경남은행은 1970년 4월 지방금융 활성화를 목적으로 세워졌다. 1967년 이후 정부의 1도 1행 원칙에 따라 총 10개의 지방은행이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 자본금 3억 원으로 업무를 시작했다. 1972년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 1983년 5월 신탁업무,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한남IC와 연결되는 서울에서 부산을 잇는 고속도로. 고속도로(高速道路)는 간선도로의 일종으로 고속교통을 위한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따라서 자동차 이외의 교통수단이나 보행자 등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고속도로는 입체교차로[인터체인지]를 통하여 진입할 수 있다. 경부고속도로는 서울과 부산을 잇는 고속도로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경부고속도로는 연장416㎞, 왕...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다른 사업체에게 사업경영 문제에 관하여 자문 및 지원하는 산업 활동. 경영컨설팅이란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다른 사업체에게 일반경영 자문, 전략기획자문, 특정부문 경영자문, 시장관리 자문, 생산관리 자문, 재정관리 자문, 인력관리 자문 등의 일을 의미한다. 강남구의 2009년 기준 경영컨설팅업 사업체 수는 총 541개이며, 종사자 수는 5,645명이다. 강남...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용역의 생산·분배·소비와 관련된 전반적인 산업 활동 강남구에서 농업, 임업, 어업과 광업 등 1차 산업은 거의 무시할 정도의 비중을 가지고 있다. 강남구의 산업경제는 2차 산업에서도 탈피하여 서비스업 집중도가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다. 강남구 제조업의 사업체 수는 1,482개에 달하지만 종업원 수는 17,057명에 불과하여 상대적으로 열...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경제 활동 기반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시설들. 경제기반시설이란 일반적으로 경제 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시설들로서, 도로나 다리, 하천, 항만, 공항 등과 같이 경제 활동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지탱하는 사회자본을 말한다. 흔히 인프라(infra)라고도 부르며, 최근에는 학교나 병원, 공원과 같은 사회 복지, 생활환경과 관련된 시설 등도 포함시키기도 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소재한 경제관련 단체. 경제단체는 일반적으로 재계의 이익을 대변하고, 관련기업들 간의 협력 및 정부 부처에 대한 압력을 행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경우가 많다. 이중에서도 특히 두드러진 경제단체는 경제 4단체, 경제 5단체, 경제 6단체이다. 경제 4단체는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를 지칭한다. 그중 전국경제인연합회...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아동도서를 주로 펴내는 출판사. (주)계몽사는 1946년 대구에서 서점으로 개업한 이후, 출판사업으로 사업을 확대하면서 출범한 출판사이다. 주로 아동 도서를 출판해왔고 최근에는 아동들을 위한 교육문화 사업도 수행하고 있다. (주)계몽사는 초기에 도서 판매를 위해 설립되었으나, 이후 아동 도서를 전문으로 하여 출판 및 판매 사업을 진행하였고, 현재에는 아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전동 공구·자동차 부품 전문 제조업체. 계양전기 주식회사는 불모지였던 전동 공구 산업을 개척하여 국내 시장의 필요에 부응하고자 설립되었다. 1977년 4월 27일 설립되어 1984년 반월공업단지에 공장을 준공하여 이전하였고, 1988년 주식을 상장하였다. 1989년 부설 중앙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995년 천안공장을 준공하였다. 2001년 중국 장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고등 보통 교육 및 실업 전문 교육 기관. 우리나라 교육법에 규정된 고등학교 수준의 교육기관은 일반계 고등학교, 실업계 고등학교, 방송통신고등학교, 산업체부설 고등학교 등으로 구분한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는 일반계[인문계 고등학교]와 실업계[농업고등학교·공업고등학교·상업고등학교·수산고등학교·해양고등학교·실업고등학교·종합고등학교]로 나눌 수 있다. 교육과정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종합비철금속제련회사. 고려아연은 대한민국 기초 소재 산업의 밑거름이 되는 세계적인 종합 비철금속 제련회사를 목표로 설립되었다. 고려아연은 1974년 8월 1일 설립되었다. 1990년 7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1년 12월 온산제련소 전용부두를 준공했다. 1993년 5월에 열병합발전소를 준공했다. 고려아연은 아연, 연, 금, 은, 동 등...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유연성 산업용 포장재의 판매사업 업체. 고려포리머는 1974년 4월 제일포리머로 설립되어 1980년 고려포리머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8년 8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고 2007년 4월 학원사업부를 신설했다. 고려포리머는 합성수지를 원료로 방사, 제직, 봉제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 유연성 산업용 포장재[FIBC]의 판매 사업과 예식장을 운영하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감독 아래 공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기관. 공공기관이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국가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기타 공공단체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으로서 「초·중등교육법」 및 「고등교육법」, 기타 법률에 의하여 설치된 각급 학교, 「정부투자기관기본관리법」제2조의 규정에 의한 정부 투자 기관, 특별법에 의하여 설립...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여 음악연주, 무용, 연극 등의 각종 예술 공연을 하는 장소. 강남구에는 민간과 공공이 설립한 72곳의 공연장이 운영되고 있다. 이 가운데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된 공연장은 26개소[전국 755개소, 서울 지역 257개소]이다. 2012년 3월 1일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발표한 ‘서울시 공공 공연장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공원. 강남구의 공원은 2011년 현재 96개소로 이중 자연공원은 3개소 5,632,162㎡, 근린공원은 32개소 1,806,482.5㎡, 어린이공원 61개소 94,171.8㎡이다. 이는 강남구 전체 면적의 19%를 차지하고 있다. 강남구의 공원 중 자연공원은 대부분 구의 남쪽인 수서동과 일원동에 속해 있으며, 각각 서초구와 성남시 등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북측 지역에 한강과 면하여 도로를 건설하고, 아파트지구를 형성하기 위해 한강 유역의 공유수면을 매립하여 택지를 조성한 사업. 공유수면매립사업은 1962년 1월 20일자 법률 제 986호 「공유수면매립법」제정으로 시작된 바다, 하천 등 수면을 매립하여 육지화하는 사업이다. 한강변에서 공유수면 매립사업이 본격화된 것은 1967년 12월에 시작된 여의도 윤중제 공사에...
-
서울특별시 강남 일대의 토지이용을 효율적으로 촉진할 목적으로 1971년 1월부터 미이용대지·공장용지·학교용지·잡용지에 대하여 부과하는 지방세. 공한지세는 1911년 독일에서 처음으로 제정되었다. 공한지세는 토지에 대한 투기를 억제하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촉진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대상지역은 전국의 전 시지역,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과 인접한 읍, 면 전 지역, 건설교통...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이루어지는 과학과 기술의 총칭 및 이와 관련한 제반 활동.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의 과학기술은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역사와 맞물려 있다. 해방 직후 답보상태에 머물렀던 우리나라 과학기술은 1960년대에 들어 경제번영의 국가 발전 목표와 함께 과학기술 진흥에 대한 관심도 크게 고조되었다. 제1차와 제2차 기술 진흥 5개년 계획이 정부 주도 하에 수립되었고, 과학기술...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관광 산업. 최근 서울특별시에서는 명동과 보조를 맞춘 첨단 고급 관광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강남구의 관광산업이 부각되었다. 강남구의 관광산업이 주목받는 이유는 첨단산업과 패션 등 볼거리의 풍부함, 강북과 차별화된 고급화 전략, 한류 스타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마케팅, 의료 관광, VIP 관광 등 적극적인 관광객 유치 기법 개발이 제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관세 관련 국립 박물관. 관세박물관은 관세 역사를 재조명하여 관람객들에게 세관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조명함과 동시에 관세행정의 홍보 및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또한 관람객들에게 한국 관세의 과거, 현재, 미래를 안내하여 관세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갖게 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관세청이 개청 30주년을 기념해 2000년 8월 27...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세관업무를 담당하는 행정기관. 서울 및 경기도, 강원도 지역의 수출입통관업무를 위해 관세청 산하 특별행정기관이다. 산하에 안양세관, 속초세관, 대전세관, 천안세관, 청주세관, 구로세관, 성남세관, 의정부세관, 고성세관, 동해세관, 대산세관, 충주세관, 파주세관, 원주세관을 두고 있다. 국가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수출입통관질서를 관리함으로써, 국가재정수...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광고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산업활동. 광고는 현대의 대량소비 사회에서 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소비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광고업은 전략정보산업으로 상품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국가이미지 제고와 해외시장 개척의 첨병 역할을 한다. 기업의 마케팅에 있어서 광고의 역할이 커지고 다양화 및 고도화 되고 있다. 광고주들은 광고회사를 마케팅 분야의 파트너로 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기독교 대한 감리회 소속의 교회. 구한말 개화파 지식인이었던 윤치호의 요청에 따라 한국에 선교사를 파송한 미국의 남감리회는 서울과 개성을 중심으로 선교활동을 전개하였는데, 그 중 서울에 세운 두 번째 교회가 광림교회의 모체가 되는 광희문 교회였다. 이후 광희문 교회의 지교회로 1953년 지금의 동북중고등학교 자리에 있었던 고야사 절간에서 ‘광희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과 송파구 문정2동을 연결하는 교량. 광평교는 대모산 기슭에 위치한 세종의 다섯 째 아들인 광평대군 묘역에 의해 명칭이 유래된 광평로와 연결되어 있어 광평교라 이름 지어졌다. 연장 325.5m, 폭 25m, 6차선 교량이다. 1996년 수서택지개발지구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광평터널, 일원지하차도 등과 같이 교통량증가에 대응하여 계획된 교통 간선시설로 강남구 수...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서 수서동까지 이어지는 도로. 광평로는 세종 대왕의 5남인 광평대군 묘역을 지나는데서 유래되었다. 연장 3.3㎞, 폭 30m, 6차선 도로이다. 강남구의 동·서간 원활한 교통을 위해 건설되었다. 1992년 12월 광평로로 명칭이 부여된 이후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2012년 현재 광평로는 강남구 개포동 산4904[양재대로]에서 수서동 228-1[탄천]...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교통시설 중 하나로 시내나 강을 사람이나 차량이 건널 수 있게 만든 다리. 1970년대 강남의 본격적인 개발[영동개발계획]에 앞서 건설된 교량인 제3한강교[한남대교]는 강남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이 다리가 착공될 때 서울 시민 대다수는 건설 사실을 거의 알지 못했으며,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 7월 7일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되자 제3한강...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증권사. 교보증권의 모체인 대한증권은 1949년 11월 22일 국내 1호 증권회사로 설립되었다. 1953년 11월 대한증권의 주도하에 증권업협회가 설립되었다. 1956년에는 대한증권의 주도하에 한국증권거래소가 설립되었다. 대한증권은 1962년 11월 1일 재무부 1호로 증권업 허가를 받았다. 1972년 9월 1일 본사를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
전근대부터 현대까지의 서울특별시 강남 지역의 교육. 중상류층이 많이 모여살고 있는 강남의 교육열풍은 ‘8학군’, ‘대치동 학원가’, ‘고액과외’, ‘조기유학’, ‘조기 영어교육 열품’ 등처럼 일간신물들의 헤드라인 글귀에서부터 ‘사교육비 경감대책’, ‘고교평준화 정책 제고’, ‘특목고 정책’, ‘공교육 내실화 정책’등의 교육정책의 단골메뉴까지, 교육특구로서의 강남의 힘과 그 흔적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의 학원가와 그 일대. 교육특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의 학원가와 도곡동을 비롯한 그 일대를 이르는 말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이 교육특구로 불리는 데에는 강남개발과 사교육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 1990년대 이전 1960년대 말부터 강남 일대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1975년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분양이 시작되며 강남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이루어지는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사람이 오고가거나, 짐을 실어 나르는 일. 강남구에서 분류할 수 있는 교통[시설]이나 관련시설로는 도로, 교량, 지하철, 터널, 보도육교, 지하보도, 지하차도, 주차장 등이 있다. 2010년을 기준으로 강남구에는 자동차 등록 수 386,450대, 주차면 수 386,450면, 도로 총 연장 423,124m, 보도육교 10개소, 지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신앙공동체. ‘교회’라는 말은 넓은 의미로 구교나 신교 모두를 포함해서 같은 종교를 믿는 신자의 집단 또는 집회소를 말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구교[가톨릭]의 경우 ‘천주교회’ 또는 ‘성당’ 이라고 하기 때문에 주로 개신교의 신앙공동체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교회라는 말은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는 그리스도인들의 가시적인 단체를 의미...
-
서울특별시 강남구 구룡산 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구룡산 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9년도에 개발되었다. 구룡산 약수터는 능인선원 측면의 구룡산 자락에 위치한 약수터로 이용면적은 300㎡이다. 1일 취수량은 1.5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150명 정도이다. 비교적 소박한 형태의 약수터로 주변에는 휴식을 위한 의자 5개소·체력 단련시설 6...
-
강남구 개포로 지하 403 일대에 위치한 분당선 지하철역. 구룡역은 구룡산에서 유래하였다. 구룡역은 지하철 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개통]되었다. 분당선 수서역~선릉역 구간은 2003년에 개통하였으나, 구룡역은 공사 지연으로 인하여 2004년에 개통되었다. 구룡역은 시설규모 5층, 1~4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2016년 현재 구룡역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구룡중학교는 진취적이고 자기 주도적으로 탐구하는 실력인[지(智)], 책임과 자율이 조화롭고 협동 봉사하는 성실인[덕(德)], 아름다운 심신과 올바른 품성을 가진 건강인[체(體)]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교육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교훈은 힘차고[체(體)] 슬기로우며[지(智)] 훈훈한 우리[덕(德)]이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모산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구룡천 약수터는 자연발생된 약수터로 1988년도 개발되었다. 구룡천 약수터는 개포동 주공아파트 2단지 후면과 대모산 북서쪽의 산기슭에 위치한 약수터로 이용면적은 500㎡이다. 1일 취수량은 10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1,000명으로 활발한 이용을 보이고 있다. 사각정자 안에 약수터가 조성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의자 4...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서 서초구 내곡동에 이르는 언주로의 연장구간을 이루는 터널 구룡터널은 구룡산을 직선으로 통과하는 터널로 터널 명칭의 유래가 되는 ‘구룡’은 구룡산에서 용 열 마리가 승천하는 것을 본 임신한 여인이 소리를 질러 한 마리가 떨어지고 아홉 마리만 승천하였다 하여 붙여진 마을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구룡터널은 강남구 개포제2동 방면에서 내곡동 방향 직선통과를 위하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구립 어린이집 건물. 구립 대치 어린이집은 단아건축사사무소의 조민석이 설계를 맡고, 자연종합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 이고 외부는 로이복층유리와 고밀도합성목재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661.30㎡이고, 건축면적은 330.51㎡이다. 용적률은 188.27%, 건폐율은 49.98%로 지하 1층, 지상 4층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있는 영·유아 보육시설. 구립 압구정 아람 어린이집은 강남구청에서 저 출산, 육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공보육시설 확충의 결과로 0~5세 영·유아 보육을 위해 설립되었다. 구립 압구정 아람 어린이집은 압구정1동과 압구정2동을 통합하면서 남게 된 압구정 2동 주민센터의 여유 공간을 리모델링하여 2011년 7월 13일 정원 99명으로 개원하였다. 구립 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보육시설. 구립 오르다 어린이집은 건축그룹 다이아몬드엔지니어링의 조원용이 설계를 맡고, 장웅종합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5년에 완공하였다. 전면 4m 도로사선제한과 북측인 후면의 일조권 사선제한을 디자인 요소로 도입하여 마름모꼴 매스를 끼워 놓은 토이 블럭과 같은 디자인으로 계획하였다. 전면이 남쪽이라 채광량의 극대화를 위해 커튼월과 온실을 도입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자연마을.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자연마을로 과거에는 구마을로 불렸으나 현재는 행정구역상 달터근린공원 구역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달터마을’로 불리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곳은 노후된 무허가 건물이 집중되어 있는 마을이다. 구마을[현 달터마을]이 있는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開浦洞)은 과거 양재천과 탄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전통문화 공연장.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은 국가무형문화재의 전승을 위해 1997년 문화재청이 건립하여 한국문화재재단이 관리·운영하고 있다. 2016년 4월 서울중요무형문화재전수회관에서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전통 무형문화의 전승과 발전을 위한 전승활동공간을 마련하여 국가무형문화재 기능, 예능 보유자 및 단체의 전수교육, 일반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한국 전통문화의 전승, 보급, 계승을 위해 설립된 특수법인. 한국문화재재단은 문화재청 산하 특수법인단체이다. 1980년 한국문화재보호협회로 발족하였다가 1992년 한국문화재보호재단으로 개칭하였고, 2014년 8월 29일 한국문화재재단으로 기관명을 재변경하였다. 한국전통문화의 전승과 보급, 계승을 위한 다양한 사업과 국제협력을 추진하는 전통문화전문...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태권도의 세계화와 무예태권도의 활성화에 선도역할을 하는 세계태권도본부. 태권도의 기원은 전통적 기원설, 가라데 유입설 등이 있다. 모두 일면 타당한 점이 있고, 받아들이기 어려운 애매성 또한 갖고 있다. 그러나 양자 간의 소모적인 논쟁보다 태권도의 저변 확대를 위한 생산적인 노력과 논쟁이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 민족의 무예 태권도는 전 세계 188개국...
-
서울특별시 강남구 포이동에 있는 국립 예능계 고등학교. 국립국악고등학교를 졸업한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 예능 보유자와 보유자 후보가 많다. 무형문화재 예능 보유자로는 학춤의 이흥구, 대취타·피리 정악의 정재국, 가곡의 김경배·김영기, 대금 정악의 김응서, 민요의 이춘목 등이 있다. 무형문화재 예능 보유자 후보로는 종묘제례악의 최충웅·구윤국, 처용무의 김중섭, 가곡의 이동규, 가사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국립 예능계 중학교. 국립국악학교는 주체의식과 올바른 가치관을 바탕으로 한국의 전통음악과 무용을 조기에 체계적으로 교육하여,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 전통예술인의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신념(信念), 정진(精進), 봉사(奉仕)이다. 국립국악학교는 1955년 4월1일 6년 과정인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 양성소로 개소하여 중학교과정을 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 정보서비스와 독서문화진흥을 담당하는 국립도서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어린이와 청소년에 특화된 도서관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 관장 소속하에 운영되는 국립도서관이다.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래를 열어가는 도서관’이라는 비전 아래, 어린이청소년도서관 발전을 선도하고 역량 있는 어린이청소년도서관 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지역본부 소속의 지사 국민건강보험공단 강남지사는 강남구 지역민들의 질병과 부상에 대한 예방·진단·치료·재활·출산·사망 등에 대한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준정부기관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강남지사는 보험 원리에 따라 국민들이 평소에 납부한 보험료를 기금화 하여 국민 상호간의 위험을 분담하고 질병과 부상에 대한 예방, 진단, 치료, 재활과 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예술전문대학교. 국제예술대학교는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하여 국가와 사회에 나아가 세계평화와 인류의 행복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를 야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교육목표는 융합형 예술인, 창의적인 세계인, 실천하는 신앙인이다. 융합형 예술인은 음악을 주축으로 하여, 다양한 분야를 아울러 탐구하고, 탁월한 시대적 감각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인류 평화와 화합을 기원하기 위해 매년 10월 3일 개최하는 국제 마라톤 대회. 국제평화마라톤대회는 강남구와 주한 미8군 사령부가 공동 주최하고 강남구 체육회가 주관하는 국제 마라톤 대회이다. 인류 평화와 화합을 기원하기 위해 2003년 10월 3일 처음으로 열렸다. 그동안 꾸준히 노력한 결과, 국제 규모의 행사로 자리 잡았으며 마라톤 동호인이 선호하는 명품...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국학운동을 위한 시민단체. 국학운동시민연합은 민족전통문화유산인 국학 정신을 계승하고 역사와 문화 철학을 정립하여 민족정신을 바로 세우고 지구촌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국학운동시민연합의 주요 활동 사항으로는 초·중·고교 국학강의 및 인성교육, 3·1절 태극기 몹 행사, 단군문화축제, 한민족 역사문화 청소년 글짓기 논술대회, 바른 역...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2동에 위치하는 국군종합 복지기관. 군인공제회는 군인 및 군무원에 대한 효율적인 공제제도를 확립하여 군인 및 군무원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도모하고 국군의 전력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군인공제회는 1984년 2월 1일 국군 종합 복지기관으로 창립하였다. 창립 당시 회원 6만 2천명, 자산 85억 원에서 2012년 현재, 회원 수 17만 여명,...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자연마을. 궁마을은 서울도시철도 3호선 수서역에서 개포동 방면의 광평로 인근에 있는 자연마을로 전주 이씨 집성촌이 있다. 궁마을의 유래를 보면 1470년(성종 원년)에 세종의 손자인 영순군(永順君)을 당시 경기도 광주 수토산(水土山)인 궁마을 앞의 대모산(大母山)[293m]에 예장(禮葬)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 1496년(연산군 2)에 무안...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1989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1급 관광호텔.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은 1989년 9월 18일 1급 호텔로 개관하여 1995년 11월에 특2급 호텔로 승격되었다. 이후 3년만인 1999년 6월에는 다시 특1급 호텔로 승격하였다. 2002년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은 대규모 증축 공사를 시행하여 로비, 컨벤션 센터, 최첨단 IT 시설을 갖춘 15...
-
1988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서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1급 관광호텔. 강남의 대표적 업무지구인 테헤란로 상에 위치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는 코엑스 컨벤션센터, 도심공항, 면세점, 코엑스몰 등과 함께 한국종합무역센터 단지를 구성하고 있다. 파르나스 호텔은 1985년 한무개발로 출범하여 1988년 서울올림픽 본부 호텔로써 인터컨티넨탈 호텔을 개관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카지노 및 카지노 부대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공기업. 그랜드코리아레저는 외국 관광객 유치증진, 외화획득 증대, 한국 카지노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이익금의 관광인프라 구축 및 주주 가치의 극대화와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그랜드코리아레저는 2005년 9월에 설립되었다. 2006년 1월 외국인 전용 카지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서 1989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1급 관광호텔. 강남구 삼성동 테헤란로에 위치한 그린그래스 관광호텔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올림픽대로를 통해서 약 1시간이면 도착하는 거리에 있다. 또한 삼성역 인근 한국도심공항터미널에서 택시로 5분, 도보로 15분이면 도착하고, 서울 도심까지는 30분이 소요된다. 잠실종합운동장과 코엑스 컨벤션센터에 인접해서 외국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글로벌 성형외과 빌딩은 서울디자인 건축사사무소의 김우섭이 설계를 맡고, 다우종합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다. 대지면적은 734.1㎡이고, 건축면적은 358.06㎡이다. 용적률은 296.66%, 건폐율은 48.78%로 지하 2층, 지상 8층으로 되어 있다. 현재 메디컬 센터로 사용되고 있다. 글로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우리나라 지급결제 전문기관으로 비영리 사단법인. 금융결제원은 1986년 금융결제관리원으로 설립되어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본부를 두고 있다. 지급 결제 시스템의 주 참가 기관인 은행 간의 자금 결제와 지급 결제 서비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으로서 어음 교환, 지로 제도의 원활한 운영, 국가 기간 전산망 사업의 일환인 금융 공동망의 구축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보험 또는 연금 이외의 목적으로 자금을 조성하고, 이를 재분배, 공급 및 중개하는 산업 활동. 금융업을 표준산업분류상으로는 다시 은행 및 저축기관, 투자기관, 기타 금융업으로 구분한다. 강남구의 2009년 기준 금융업 사업체 수는 총 751개이며, 이 중 은행 및 저축기관은 461개, 투자기관 79개, 기타금융업 211개이다. 그리고 금융업 종사자 수는 총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플랜트 건설 및 발전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한 경상정비업체. 금화피에스시는 플랜트 산업부문을 선도하는 신뢰받는 전문기업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금화피에스시의 모체인 금화기공은 1982년 2월 설립되었다. 1991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원동 280-4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61-8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9년 6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건축자재 판매업체. 기린건축은 각종 건축자재와 실내 장식품을 전시 판매하는 회사로 1979년에 설립되었으며, 국내외의 다양한 건축자재 및 제품들을 보급하고 있다. 1981년에 문을 연 건축자재장식백화점은 건축자재와 장식품을 한 자리에 모아 전시 판매하기 시작하였는데, 건축 내장에서부터 외장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의 다양한 고급 자재들을 판매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 23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중앙정부가 설립한 국책은행. 기업은행은 중소기업 금융의 지속적 선도와 내실 있는 자금조달 기반확충, 외환 및 글로벌 사업기반 강화, 그리고 환경 변화에 대응한 전략적 경영체제 구축과 자금력이 미약한 중소기업에 대해 효율적인 신용제도를 확립해 중소기업자의 경제활동을 돕고 경제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기업은행은 법...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활동. 기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을 좀 더 세분화해 보면, 수의업, 전문디자인업, 사진 촬영 및 처리업, 그외 기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있다. 강남구의 2009년 기준 기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사업체 수는 총 1,274개이며, 이 중 수의업 사업체 수는 55개, 전문디자인업 사업체수는 5...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빌딩. 까사아레떼는 알에이씨건축의 나우천이 설계를 맡고, 장학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6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로 외부를 THK24복층유리와 THK30지정석재로 마감하였다. 빌딩의 전면부는 도로변을 향한 커튼윌로 개방감을 주었고 채광이 용이하다. 대지면적은 339.40㎡이고, 건축면적은 348.67㎡이다. 용적률은 236.92%,...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상징하는 구조(區鳥)로 지정된 텃새. 까마귀과 조류는 지능이 가장 발달한 무리로 알려져 있으며, 까치는 일부 도서지역을 제외한 전국에 서식하는 참새목 까마귀과의 조류이다. 예전부터 기쁜 소식을 전해주는 길조로 인식되어 있는 까치를 강남구의 새로운 발전과 화합을 기약하며 구를 상징하는 새로 선정하였다. 까치의 머리, 목, 어깨 위꼬리덮깃, 턱밑, 멱, 윗 가슴,...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전자장비 개발 및 생산업체. 나노트로닉스는 자체적인 기술력 확보를 통해 가치창출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노트로닉스의 모체인 대양산업은 1975년 6월 설립되었고, 1993년 12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6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420-17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742-22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7년 3월 나...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스포츠 웨어 및 스포츠 용품 제조업체. 1986년에 한국 나이키로 출발하여 1989년에 이름을 바꾼 삼나 스포츠의 주식을 나이키 본사가 공개 매수하고, 1994년 6월 (주) 나이키 스포츠로 새롭게 출발하게 되었다. 이는 한국 스포츠용품 시장의 성장과 잠재성을 높게 평가한 나이키 본사가 회사를 직접 운영하기 위함이었다. 나이키 스포츠의 한국지사는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남강빌딩은 2009년 7월에 준공된 건물이다. 지상 6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이다. 오피스 건물로 다수의 사무실들이 빌딩에 자리 잡고 있다. 총 주차대수는 2대이다. 서울도시철도 7호선 학동역 근처에 위치해 접근성이 용이하다. 남강빌딩은 건물의 한 쪽 벽면이 사선으로 기울어있는 건물로 나란히 서있는 두 개의 직사각형 건물 중 하나가 사선으로 기...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통과하는 순환도로. 순환도로(循環道路)는 도시 외부나 도시중심부에서 외곽을 순환할 수 있게 만든 도로를 말한다. 남부순환로는 이 길이 서울특별시의 남부지역을 동서로 순환하는 데서 유래하였다. 연장36.3㎞, 폭40~50m, 왕복8~10차선 도로이다. 서울의 한강 남쪽 동~남~서를 잇는 매우 중요한 도로로, 지역 간 균형발전과 서울 도심지 교통량을 분산시키고자 건...
-
서울특별시가 1961년 박흥식이 제안한 강남개발계획을 바탕으로 1966년 1월 발표한 강남개발계획안. 1961년 5·16 군사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는 부정축재 혐의자로 박흥식 등을 긴급 구속하였다. 박흥식은 일제 강점기였던 1930년대 중반에 신도시 계획안을 제안했던 민간업자로 군사정권에 협력하겠다는 서약을 하고 석방되었다. 당시 최고회의는 박흥식에게 “장차 예상되는 수도 서...
-
영동지구[강남] 개발을 위해 1970년 11월 양택식 서울특별시장이 발표한 계획. 현재의 강남개발은 1970년 11월 양택식 서울특별시장이 발표한 남서울개발계획에 의해 그 윤곽이 잡혔다. 남서울개발계획은 영동지역에 인구 60만 명이 거주할 신시가지를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첫째, 과밀화되어 가고 있는 구시가지의 인구를 강남으로 분산하고, 서울특별시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합동] 소속의 교회. 남서울중앙교회는 성도들의 구원을 설립 목적으로 하며, "선교, 화평, 축복"의 3대 지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남서울중앙교회는 1968년 하나님의 크신 섭리를 따라 피종진 목사 내외와 5명의 신도로 중구 신당동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1978년 강남구 도곡동으로 이전하였고, 1986년 지금의 강남구 개포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소재한 한식 전문점. 2001년 강남구 논현동에서 개점한 남포면옥은 서울특별시 중구 다동에 위치한 남포면옥의 강남점이다. 남포면옥은 평안도 음식인 어북쟁반을 전문으로 한다. ‘어북[飫鍑]’은 편안한 가운데 배부르게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는 의미로, 어북쟁반은 얇게 썬 양지머리 고기와 소 젖가슴 부분인 유통을 주재료로 하여 소고기 육수에 끓이는 쟁반 음식이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건물 청담동에 위치한 네이처포엠은 여러 상업 화랑이 중심이 되어 입주해 있는 건물이다. 압구정동 갤러리아 백화점부터 청담동 사거리까지 도로를 따라서 많은 갤러리들이 자리 잡고 있는 지역에 위치해 있다. 네이처포엠은 이수건설주식회사가 건축주이면서 시공한 건물로 2005년 완공되었다. 건물의 규모는 총 1개동 34세대이며 최고 6층 건물이다. 원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던 게임소프트웨어 개발 및 퍼블리싱업체. 넥슨지티는 다양한 장르의 참신한 게임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넥슨지티는 게임하이로 2004년 설립되었다. 2008년 7월 15일 대유베스퍼와 합병되어 우회 상장되었다. 2010년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596-3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96-35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12년 11월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빌딩. Nefs 사옥은 NEED21의 유정한이 설계를 맡고, 두산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0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와 철골조이고, 외부는 복층유리, 개변월, 고흥석자연면마감으로 하였다. 대지면적은 747.8㎡이고, 건축면적은 373.61㎡이다. 용적률은 247.23%, 건폐율은 49.96%로 지하 3층, 지상 6층으로 되어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서 1993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1급 관광호텔.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은 한국의 앰배서더즈와 프랑스의 아코르 아시아 퍼시픽사가 합자하여 개관한 프랑스풍 특급 호텔이다. 1955년 2월, 19개의 객실을 가진 서양식 여관 금수장으로 시작되었다. 1987년에는 아코르와 합자하여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을 개관하였으며, 1993년 연평균 96.6%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던 환경 전문 시민단체. 녹색구매네트워크는 제품의 생산·유통·소비단계와 관련된 각 경제 주체인 정부, 기업, 시민[단체]에게 친 환경 상품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홍보함으로써 관련 제품의 소비수요를 창출하고, 친환경 상품의 개발을 유도하여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생산·소비문화 정착의 기틀 마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녹색구매네트워크는 1999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논현 육아종합지원센터는 강남구 논현동 지역 주민들이 육아를 위해 도서와 장난감을 대여하고, 보육전문가에게 상담과 육아 정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9년 9월 1일 설립되었다. 논현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주요사업으로는 장난감 및 도서 대여, 자유놀이실 및 책놀이터 제공, 부모 카페와 상담실 운영 등 이다. 자유...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1동에 위치한 지역문화센터. 논현1동 문화예술관은 2005년 3월 1일에 논현1동주민센터 4층에 ‘논현1문화센터’라는 이름으로 개관한 주민 문화 복지관이다. 지역주민들의 생활편의 공간으로서 헬스, 요가, 댄스스포츠, 노래교실, 한문서당 등 다양한 강좌가 운영되고 있다. 논현1동 문화예술관이 들어선 논현1동 주민센터는 대지면적이 926.5㎡이고 연면적이 4,00...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논현1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논현1동 주민센터는 강남구 논현1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논현1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논현1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논현동은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2동에 위치한 지역문화센터. 논현2동 문화예술관은 1994년 12월에 착공하여 1997년 9월에 완공된 주민문화복지관이다. 초창기에는 ‘논현문화복지회관’으로 이름이 지어 졌으나 현재는 ‘논현2문화센터’로 명명되었다. 지역주민들의 생활편의 공간으로서 주민센터와 동민방위본부, 어린이집, 여성센터, 생황체육교실, 도서관, 극장식 강당이 입주해 있다. 논현2동 문화예...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논현2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논현2동 주민센터는 강남구 논현2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논현2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논현2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논현동은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주차전용 건물. 논현2동 주차장은 앤드건축의 오종수가 설계를 맡고, 종광개발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S’ST.타공판넬, 노출콘크리트, ZINC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1,223.9㎡이고, 건축면적은 1,056.48㎡이다. 용적률은 668.57%, 건폐율은 86.32%로 지하 5층, 지상 8층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2동에 소재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강남 지역의 인구 증가로 1993년 논현동성당에서 분리 설립되었으며, 1999년 2월 18일 성당명을 논현2동성당에서 학동성당으로 변경하였고, 2003년 7월 4일 다시 성당 명칭을 논현2동성당으로 변경하였다. 현재의 성당건물은 2004년에 착공하여 2006년에 준공하였다. 논현2동성당은 지역 신앙공동체의 설립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의 7호선 논현역과 학동역 사이에 위치한 가구 판매 거리. 논현가구거리는 논현동의 교통 중심지에 70여 개의 가구 판매 업체가 밀집되어 있는 거리이다. 혼수용 가구·공예 가구·나전칠기·부엌 가구·사무용 가구·인테리어·수입 가구 등 다양한 가구를 살 수 있다. 논현가구거리는 1970년대부터 형성되었으며, 이때부터 ‘가구거리’라고 불렸다. 가구관련 업체들이 10...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논현동(論峴洞)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행정동인 논현1동·논현2동으로 구성된 법정동이며, 집합주택형식의 주거지역과 상업 및 업무시설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논현동의 유래는 이 동에 ‘논고개’라는 고개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 논현동 천주교회 마루턱이 높은 고개였으며, 또 강남우체국 위에서 반포아파트까지의 산골짜기 좌우로 벌판이 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빌딩. 논현동 의화빌딩은 종합건축사사무소 시건축의 류재은, 한철수가 설계를 맡고, 장학종합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6년 완공하였다. 도시의 대표적 구성요소인 육면체 도는 사각형을 기본요소로 채택하여 각각의 상자들을 불규칙하게 배열하였다. 외부는 T4 A.L복합판넬, 유리대리석, T24 복층유리, T12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1976년에 설립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논현동성당은 1974년 청담본당의 논현동 공소로 설립되었으며, 1976년 본당으로 승격되었다. 현재의 성당은 1987년 3월 15일 착공하여 1988년 12월 4일 축성하였다. 논현동성당은 지역 주민들의 신앙 공동체 설립과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고자 설립되었다. 논현동성당은 언구비(彦九碑) 공소의 발전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서 양재동까지 남·북으로 이어지는 도로. 논현로는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논현동 동명에서 유래되었다. 논현로는 연장 7.2㎞, 폭 30m, 6차선 도로이다. 강남구의 남·북간 원활한 교통을 위해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26일 서울특별시공고 제268호로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 가로명 제정 때 영동2로로 이름 지어졌다. 이후 1976년 남1로, 198...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7호선 지하철역. 논현역의 유래가 되는 논현동의 명칭은 논고개라는 고개의 지명을 본떠서 만들어진 이름이다. 논현역은 지하철7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논현역은 2008년 8월 개통되었다. 논현역은 시설규모 3층, 총 면적 11,834㎡이며 1~8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시설로는 역무실 3개소, 에스컬레...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구립 도서관. 강남구청이 운영하는 14개 구립도서관 가운데 하나로, 다양한 교양강좌와 초청 강연 프로그램 등을 개최하고 있다. 강남구 지역주민의 독서진흥을 위해 설치, 운영하는 도서관이다. 논현정보도서관은 2003년 7월 9일 논현문화정보마당으로 개관하였다. 2011년 6월 24일 강남구 도서관 조례 개정에 따라 현재 논현정보도서관으로 개칭하였다. 2014...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상설재래시장. 논현종합시장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상설재래시장으로, 1979년 1월 1일에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대규모 점포로 등록되어 상업활동을 하다가, 2009년부터 논현시장 재건축 정비사업 추진위원회가 설립되어 재건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논현종합시장은 양지직매상가가 1978년에 개발하여 상가시장으로 출범하여, 1979년 1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과 압구정동 일대에 의류패션업종이 밀집해 있는 거리. 뉴패션의 거리는 도산공원 인근 패션샵이 밀집해 있는 거리로서 2008년 지정한 강남구 청담동과 압구정동 패션특구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 특성에 맞게 전략적으로 명명한 거리의 이름이다. 뉴패션의 거리는 강남구청이 지정한 청담동과 압구정동 패션특구에 위치하는데 이 지역은 수많은 패션업체들이 자연발생적으로 집적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1993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2급 관광호텔. 강남구 학동역 사거리와 차병원 사거리 사이에 위치한 뉴힐탑 관광호텔은 1993년 관광호텔로 출발하였으며, 강남의 사무실 밀집 지역에 위치하여 비즈니스 목적의 방문객들을 위한 숙소를 제공하고 있다. 뉴힐탑 관광호텔은 2006년 이후 호텔의 일부를 개·보수하여 대형 웨딩홀과 연회장을 갖추었다. 뉴힐...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근린공원 늘푸른공원은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휴게 시설이 조성된 휴식공간이다. 늘푸른공원은 1985년 1월 15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5년 1월 15일에 개장하였다. 늘푸른공원은 다양한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그리고 휴게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적...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능인선원이 운영하는 불교 전문교육기관. 대한불교 조계종 능인선원이 불교에 대한 교리 교육을 위해 설립한 전문교육기관이며 고등교육법 상의 비인가 학교이다. 능인불교대학은 체계적인 불교 기초교리 교육을 지향하며 불교의 교리지도와 포교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능인선원은 1984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초동 1681번지 삼익상가 4층에 개원하였다. 개원 2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도심 사찰. 불자 양성과 포교 및 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수행도량을 목표로 창건주 지광이 1984년 서초동 삼익상가에서 포교를 하면서 시작되었다. 1988년 법당건립 공사를 시작하여 1995년 8월 11일 강남구 포이동의 현 법당으로 이전하였다. 생활불교와 불교교육에 중점을 두어 불자양성, 포교, 사회복지와 관련된 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능...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사회복지시설. 능인종합사회복지관은 능인선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종합사회복지기관이다. 능인종합사회복지관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을 중심으로 열악한 환경에 처해있는 지역 저소득층 계층의 복지증진과 지역 내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법인 능인선원에서 불교의 자비정신을 바탕으로 설립하였다. 능인종합사회복지관은 1998년 5월 22일 개관하였다.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서로 다른 국적, 인종, 문화를 가진 남녀가 이룬 가족 다문화 가족은 서로 다른 국적, 인종, 문화를 가진 남녀가 이룬 가족을 의미한다. 다문화 가족지원은 다문화 가족 구성원이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 통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문화 가족지원에 관해서는 여성가족부에서 총괄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1989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2급 관광호텔. 다이내스티 관광호텔은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 호텔, 영동 관광호텔, 임페리얼 팰리스 서울,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강남, 뉴힐탑 관광호텔 등과 함께 비즈니스맨들과 외국인들이 비즈니스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호텔이다. 다이내스티 관광호텔은 1989년 12월 16일 관광호텔업을 목적...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독립운동가 범정(梵亭) 장형(張炯)[건국공로훈장 제260호]이 광복 후 귀국하여 육영사업에 뜻을 두고 독립운동가 혜당(惠堂) 조희재(趙喜在) 여사의 딸 박정숙의 전 재산을 토대로 학교법인 단국대학교를 설립하여 운영하는 한편 단국공업고등학교를 인수하여 운영하였다. 구국, 자주, 자립의 창학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단국대학교 부속 소프트...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는 구국, 자주, 자립의 창학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교육보국의 이념으로 지적인 면에만 치우치지 않고 인성교육에 노력하여 올바른 민족사관에 투철한 한국인 학생으로서 가치관을 갖고 가정, 사회, 나라를 위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를 스스로 깨달아 능동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사립중학교.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는 구국, 자주, 자립의 창학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교육보국의 이념으로 지적인 면에만 치우치지 않고 인성 교육에 노력하여 올바른 민족사관에 투철한 한국인 학생으로서 가치관을 갖고 가정, 사회, 나라를 위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를 스스로 깨달아 능동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그 교육목표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달터공원은 운동 공간, 체육센터와 함께 체험학습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달터공원은 1983년 9월 2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2년 11월 30일에 개장하였다. 2008년에는 공원내 시설물의 노후화로 공원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였다. 달터공원의 면적은 23...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약수터 달터약수터는 1992년에 강남구가 개발한 약수터이다. 달터약수터가 있는 달터공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운동 공간·체육센터와 함께 체험학습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위치상으로는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 서울시립개포도서관 후면에 있으며 이용면적은 100㎡이다. 1일 취수량은 5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500명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과 송파구 문정제2동을 연결하는 교량. 대곡교는 인근 대모산의 ‘大’자와 세곡동의 ‘谷’자를 따서 대곡교(大谷橋)라 이름 지어졌다. 대곡교는 연장 175m, 폭 50m, 10차선 교량이다. 대곡교는 강남구 세곡동과 송파구 문정제2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대곡교는 1974년 12월 준공되었으며, 1995년 12월 폭50m 교량으로 확장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대규모의 생산자본과 판매조직을 갖추고 경제뿐만 아니라, 국가의 사회 및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대규모 기업들의 본사. 「중소기업기본법」에 의하면 업종별로 상시 근로자 수 및 매출액의 상한선 이상이면 대기업으로 분류되고, 업종에 관계없이 상시 근로자 수가 1,000명 이상, 자산총액 5,000억 원 이상, 자기자본 1,000억 원 이상, 3년간 평균 매출액...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었던 중화요리 전문점. 대려도는 1950년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에서 개점한 중화요리 전문점이다. 1983년에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으로 이전하여 현재 60여 년이 넘는 역사에 이른다. 특히 북경전통요리를 한국에 소개한 선구적 음식점으로 북경오리를 비롯한 특별요리 및 각종 중화요리를 전문으로 한다. 북경요리 전문점 대려도는 1950년 12월 부산광역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모산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대룡약수터는 자연 발생된 약수터로 1992년에 개발되었다. 대모산은 높이 293m의 산으로 산 모양이 늙은 할미와 같다 하여 할미산으로 불리다가 태종(太宗)의 헌릉(獻陵)을 모신 후 어명으로 대모산(大母山)으로 고쳤다고 한다. 대모산에는 불국사(佛國寺)와 같은 유서깊은 절과 수질 좋은 약수터가 18개소가 있다. 이 중 대룡약수터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휴대용 부탄 연료 제조 및 판매업체. 대륙제관은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설비투자를 통해 국내 제관 산업을 선도해나가는 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대륙제관은 1966년 12월 대륙제관공업으로 설립되었고, 1989년 4월 상호를 대륙제관으로 변경했다. 1994년 4월 본사를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33-25로 이전했다. 1994년 12월에 주식장외거...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분당선 지하철역. 대모산입구역은 대모산에서 유래하였다. 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2003년 9월 개통되었다. 시설규모 4층, 1~8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의시설로는 무인민원발급기·엘리베이터·장애인화장실·휠체어리프트·장애인 편의시설 등이 있다. 2016년 현재 대모산입구역은 강남구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모산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대모천약수터는 자연발생된 약수터로 1989년도에 개발되었다. 대모천약수터는 일원동 청솔 빌리지 후면과 대모산 북사면에 위치한 약수터로 이용면적은 700㎡이다. 1일 취수량은 5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700명으로 활발한 이용을 보이고 있다. 사각정자 안에 약수터가 조성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의자 19개소, 배드민턴장 3...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의 개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새서울백지계획과, 대서울도시기본계획을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전시. 1966년 8월 13일에 발표된 ‘대서울도시기본계획’은 24개년 장기계획으로 인구 500만이 거주할 694,214,876㎡[2억 1천만평]의 서울을 개발하겠다는 것으로 3천 2백 35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제1기 년도와 제2기 년도로 나누어 각각 12년씩, 1기 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증권사. 대신증권은 1962년 7월 27일 삼락증권으로 설립되어 1968년 7월 8일 중보증권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5년 4월 22일 대신증권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4년 8월 25일 일본 동경에 사무소를 개설하였고, 같은 해 9월 22일 대신경제연구소를 설립하였다. 1985년 3월 6일 홍콩 W.I.C.O와 4월 12일 일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과 송파구 문정동을 연결하는 교량. 대왕교는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로 편입되기 이전, 광주군 대왕면 관할이었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대왕교는 연장 150m, 폭 14.5m 교량이다. 대왕교는 서울과 예전 광주군 대왕면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대왕교는 1955년 준공되었으며, 1963년 광주군 대왕면이 서울특별시로 편입되면서 관할지역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대왕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자아실현을 위해 꿈을 가꾸는 성실한 학생, 스스로 결정하고 탐구하는 창의적인 학생, 심신이 조화롭고 바른 인성을 지닌 건강한 학생을 통해 세계와 미래를 향해 꿈을 가꾸는 슬기로운 대왕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또한 교훈은 푸른 꿈 따뜻한 마음 실천하는 대왕인이다. 대왕중학교는 1994년 1월 5일 설립인가를 받았으며...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합성피혁, 벽지 및 정제 사업업체. 대원화성은 세계적인 품질의 합성피혁과 다양한 소재의 친환경벽지의 생산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대원화성은 1974년 5월 설립되었고, 1997년 10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8년 12월 중국 광저우에 지사를 설립하고, 1999년 10월 산업평화상 기업체부문 은상을 수상했다. 대원화성은 1974년 설립...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대중매체에 의해 대량적으로 생산되고 재생산되어 다수의 문화수용자에 의하여 대량소비되는 대중지향적 상업주의 문화. 강남개발은 박정희 정권이 1967년 경부고속도로를 만들면서 토지보상비 없이 도로 용지를 확보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라 한다. 이에 강남 전체가 공사장이라 할 정도로 빠르게 도시로 변해갔다. 1966년 상반기에 착공한 제3한강교가 1969년 12월 2...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대진공원은 운동 공간, 어린이 놀이터, 휴게 공간의 구분이 명확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대진공원은 1989년 3월 21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3년 7월 10일에 개장하였다. 2007년 1차로 공원 일부분을 리모델링 한 후 2008년 6월 2차로 최종 리모델링 공사를 마무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는 학교 교육 이념인 성실, 경건, 신념을 바탕으로 발상과 도전을 통해 격동의 시대를 헤치고 나갈 창의적 기술인, 사랑과 봉사로 나눔을 실천하는 생활인, 긍지 높은 한국인을 양성하기 위해 합리적인 학교 운영과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에 모든 노력을 다한다. 대진디자인고등학교는 희망이 있는 학교, 보내고 싶은 학교...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대진공원 안에 있는 체육관. 대진체육관은 1997년 12월 3일 개관되었다. 대진체육관은 지역주민들에게 최적의 운동 환경을 제공하고, 선호하는 강좌 개설과 맞춤형 강의로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켜 주민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 각종대회에 참가하여 명예를 획득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진체육관은 면적 795㎡[240평]규모의 지상 1층으로 이루어진 체육관이다. 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대청공원은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휴게 시설이 조성되어 있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대청공원은 1984년 9월 2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 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5년 1월 15일에 개장하였다. 공원 시설물 노후화로 인해 2007년 공원 리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대청공원의 면적은 14,08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있는 자연마을. 대청마을은 마을로 조성되기 전 일원2동 주민센터 위치에 99칸 한옥이 있었다고 한다. 탄천을 건너면서 잠실 일대를 바라보면 99칸 한옥의 대청마루가 보인다고 하여 일대를 대청마을로 불렀다고 전해진다. 대청마을은 현 수서 인터체인지에서 대청역 주변 부근으로 전면에는 탄천이 흐르고 있다. 대청마을 일대에는 대청공원과 목련공원이 입지하고 있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3호선 지하철역. 대청역의 유래가 되는 ‘대청’은 조선 시대 이곳 마을에 99칸이 한옥이 있었는데, 옛 잠실 일대에서 이곳을 바라보면 한옥의 대청 큰 마루가 보인다 하여 이곳 지역을 대청마을로 불리게 되었다. 대청역은 지하철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개통]되었다. 대청역은 1993년 10월 개통되었다. 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1동에 있는 사회복지시설.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에서 밀알복지재단에 위탁하여 운영하고 있는 종합사회복지관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저소득층 자립능력 배양 및 자립기반 조성으로 지역 사회 문제를 예방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2년 11월 성람재단 산하 성람종합사회복지관으로 개관하였다. 1998년 1월 대청종합사회복지관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대청중학교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민주시민 육성, 미래지향적 사고를 지닌 실력 있는 인재육성, 올바른 가치관과 품성을 지닌 인간 양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본교육 내실화, 인성·진로교육 내실화, 글로벌 리더 육성, 참여와 협력의 교육 공동체 구축을 실천하고 있다. 대청중학교는 1986년 12월 17일 설립...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대치 육아종합지원센터는 강남구 대치동 지역 주민들이 육아를 위해 도서와 장난감을 대여하고, 보육전문가에게 상담과 육아 정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대치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주요사업으로는 장난감 및 도서대여, 자유놀이실 및 책놀이터 제공, 부모카페와 상담실 운영 등 이다. 자유놀이실 프로그램으로 내 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922 일대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된 지구. 대치지구는 2006년 강남구 대치동 922 일대[58,440㎡]에 대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되도록 토지이용계획을 합리화·구체화 하고, 가로미관 개선과 양호한 환경 조성을 위한 체계적인 계획을 추진하고자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였다. 1. 불허용도 · 간선도로변으로는 일반미관지구 내 불허용도와 단독주택, 공동주택...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대치1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1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대치1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대치1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치동은 1914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1동에 있는 구립도서관. 강남구청이 운영하는 14개 구립도서관 가운데 한 곳이다. 대치1작은도서관은 강남구 대치1동 지역주민의 독서진흥을 위해 설치,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이다. 대치1작은도서관은 2008년 2월 5일에 개관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치1작은도서관에서는 도서 대출과 열람실을 주로 이용할 수 있다. 도서는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을 할 수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대치2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대치2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치동은 1914년 3월 1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 2동에 소재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대치동본당의 신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자 1988년 현 소재지에 대지를 매입하고 대치동으로부터 분가하여 대치2동성당을 설립하였다. 대치2동성당은 지역 신앙공동체의 설립과 그리스도 복음전파를 위해 설립되었다. 강남 신도시의 급진적인 발전에 따라서 대치동본당의 신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자 1988년 3월 현 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문화센터. 대치4문화복지회관은 에이텍종합건축사사무소의 김상길, 김희옥이 설계를 맡고 유호산업개발이 시공을 맡아 2003년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와 일부 철골조를 사용하고 있다. 외부는 THK35압출성형시멘트판, 적삼목 위 오일스테인, THk24칼라복층유리로 마감하여 그 의미를 공공 건축물에 따뜻함을 부여하고 투명성을 높임으로써 지역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대치4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4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대치4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대치4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치동은 1914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대치공원은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휴게 시설이 조성되어 있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대치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를 갖춘 공원으로 1987년 5월 21일에 개장하였다. 2008년 6월 3차에 걸쳐 리모델링 공사를 완료하였다. 대치공원의 면적은 10,...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과 일원2동을 연결하는 교량. 대치교는 교량이 연결하는 지역인 대치동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120m, 폭 40m, 8차선 교량이다. 서울특별시의 공용청사부지 확보를 위한 탄천부지 매축사업과 함께 계획되어 강남구 대치2동과 일원2동 사이 양재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한산공영에 의해 준공되었다. 1979년 2월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대치교는 강남구 대치2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대치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행정동인 대치 1, 2, 4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법정동이다.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는 주거지역으로 쾌적한 주거환경 및 교통망이 발달한 지역이다. 대치동(大峙洞)은 조선 시대 이곳에 있던 자연마을 중 큰 고개 밑에 있는 가장 큰 한티[또는 한터] 마을을 한자명으로 ‘대치(大峙)’라 한데서 비롯되었다. 당시 대치동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공동주택 단지. 2011년 대치우성1차아파트는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되어 재건축사업을 추진 중이다. 대치동 우성아파트는 우성건설이 강남구 대치동 63번지에 건설한 대치우성1차아파트와 강남구 대치동 985번지의 대치우성2차아파트가 있다. 대치우성1차아파트는 14층 높이의 6개동으로 단위세대는 102㎡[방 3개, 욕실1개] 224가구, 133㎡[방 4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 2동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의 교회. 대치동교회는 1967년 용산 중앙 교회와 평동 교회가 연합하여 ‘용산중앙교회’로 시작됐다. 1982년에 교회이전을 위한 기공식과 동시에 ‘대치동교회’로 개칭하였고, 1983년엔 예배당을 완공하고 대치동으로 이전하였다. 현재 서울 강남구 역삼로84길 8[대치동 961-9]에 위치하고 있다. 대치동교회는 복음 전파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1978년 청담동본당의 도곡동공소로 설립되었으며, 1979년 6월 14일 공소에서 본당으로 승격되었다. 1980년 현재의 대지를 매입한 후 1981년 2월 본당명을 도곡동본당에서 대치동본당으로 변경하였다. 대치동성당은 지역 신앙공동체의 설립과 그리스도 복음 전파를 위해 설립되었다. 1978년 청담동본당 도곡동공소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빌딩. 대치동 106 Abnormal은 이안디자인 건축사사무소의 장성렬이 설계를 맡고,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가 시공을 맡아 2009년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주로 티타늄아연판으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451.50㎡이고, 건축면적은 224.40㎡이다. 용적률은 249.39%. 건폐율은 49.70%로 지하 2층, 지상 7층...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문화센터. 대치문화센터는 엠파종합건축사사무소가 설계를 맡고, 자연종합건축이 시공을 맡아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THK18복층유리, 시멘트 성형 판넬, 목재판넬, 아키텍추럴 콘크리트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638.20㎡이고, 건축면적은. 318.85㎡이다. 용적률은 173.02%, 건폐율은 49.96%로 지하 3층, 지상...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 2동에 소재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천주교 성당. 2004년 대치2동성당에서 분가하여 설립되었고 2009년 대치성모탄신성당으로 개명하였다. 대치성모탄신성당은 지역 신앙공동체의 설립과 그리스도 복음 전파를 위해 설립하였다. 2004년 대치3동성당을 신설하여 대치3동 980, 980-2호, 980-7호 부지를 구입하고 기존 개신교회건물을 리모델링하여 입주하여...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동주택 단지. 대치아파트는 1989년 지정, 고시된 대치택지개발지구 내에 건설되었다. 대치아파트의 시공은 진덕건설과 성원건설에서 맡아 1992년 10월 준공하였다. 대치1차 아파트 단지는 대치1차 영구임대아파트라 불리어졌지만 주민들이 서민아파트 이미지가 풍긴다는 이유로 민원을 제기해 1996년 6월 아파트 이름이 바뀌었다. 대치아파트는 대청아파트...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 일대에 위치한 3호선 지하철역. 대치역의 유래가 되는 대치동은 조선시대 말까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대치리였다. 당시 자연부락 한티·움말·응달짝 등 8개 마을 중 큰 고개 밑에 있는 한티[또는 한터] 마을을 한자명으로 대치라 한데서 비롯되었다. 대치역은 지하철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대치역은 1993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대치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창의성과 다양성이 요구되는 미래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심신이 건강하고 창의적이며 바르게 생각하는 조화로운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다.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심신이 건강학 조화로운 사람 육성[기본 생활 습관 지도, 독서 교육의 강화 등], 창의력 신장[체험 학습활동 강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활용 등]...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건설사업자의 상호협력 증진과 권익 보호를 위해 설립된 법정단체. 대한건설협회는 건설사업자의 상호협력 증진 및 권익 보호를 목적으로 설립된 법정단체로,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다. 건설업 관련 제도 및 건설경제 시책, 건설기술 개선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설업에 관련된 법령 및 제도들을 조사하고 연구하며, 건설업의 진흥 및 경영 합리화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대한노인회의 강남구지회. 서울특별시 강남 지역에 있는 노인들 상호간의 친목도모와 사회봉사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함과 동시에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권익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한노인회는 1969년 4월 설립되었다. 대한노인회 강남구지회는 1975년 서울특별시 성동구로부터 강남구가 분구되어 신설되면서 창설되었다. 대한노인회 강남구지회는 경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는 대한노인회 산하 의료사업단. 대한노인회 보건의료사업단은 대한노인회 회원들의 의료서비스 정보제공 및 의료지원업무를 위해 설립되었다. 2011년 3월 보건의료분야 정책자문위원으로 나병기 단장이 위촉되었다. 2011년 4월 대한노인회 출자법인 보건의료사업단이 설립되었다. 대한노인회 보건의료사업단은 설립 이후 인공 관절 수술 지원 업무를 실시하여 인공관절...
-
경제 중심지로서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한민국에서는 서울에 산다는 것 자체로도 하나의 특권으로 인식된다. 그런데 그 중에서도 강남에 산다고 하면 그 사람은 이미 하나의 선택받은 사람인 것 같은 인상을 준다. 강남은 상류층들이 살고, 유행의 최첨단을 걸으며 문화적인 혜택을 가장 많이 누리는 지역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기 때문이다. 실제 통계를 보아도 아파트 값이 제일 비싸고 가장...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는 배구단체. 배구는 우리나라에 1916년 2월에 서울 중앙 YMCA 체육 고문이었던 반하트(Barnhart Byron P.)에 의해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한국에 배구를 도입한 초석이 되었다. 1917년 YMCA의 서양인들과 우리나라 청년회원들의 경기가 최초로 개최되었다. 1945년 11월에 조선배구협회가 발족되었고, 1946년 3월에 한국 배구의 활성...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야구단체. 대한야구협회는 체육으로서 야구의 활성화와 인프라 구축, 엘리트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중점을 두며, 야구관련 대회 및 행사를 개최해 야구팬들의 기대에 부흥하고자 설립되었다. 대한야구협회는 1904년 기독교 청년회[현 YMCA] 창립 공로자 중의 한 사람인 질레트가 청년 회원들에게 야구를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한국 야구의 첫걸음 이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대한어머니회 서울 지역 연합회. 대한어머니회는 대한민국 어머니헌장 정신에 입각하여 여성의 평생교육 사업을 실천하고, 깨달은 어머니 창조에 이바지하기 위해 1958년 고황경이 설립하였다. 대한어머니회 서울시연합회는 1969년 설립되었다. 대한어머니회가 1958년 창립되었다. 1959년 문교부로부터 대한어머니연합회로 인가를 받았다. 1969년 대한어머니...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대한적십자사 산하 혈액원. 대한적십자사 서울남부혈액원은 서울특별시 남부 지역 6개 구에 대한 혈액 제제의 안정적인 공급 출고 및 혈액 관리 연구와 헌혈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산하 기관으로 1980년에 설립되었다. 1954년 6월 국립혈액원이 개원하였으며, 1958년 2월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으로 개칭하였다. 2002년 대한 적...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대한적십자사 서울지사 산하 봉사관. 대한적십자사 서초강남적십자 봉사관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서초구 지역 내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적십자사업의 사회봉사 활동 보급과 지역 내 자원봉사활동과의 연계 활동을 위해 설립되었다. 1905년 10월 고종이 내린 칙령에 의해 대한제국적십자사가 발족하였다. 상하이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부령에 의해 1919년 8월 대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던 해상화물운송 및 해운 대리점업 업체. 대한해운은 1968년 12월 설립되어 1992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6년 중국 상하이에 사무소를 개설하였고, 싱가포르에 현지법인을 설립했다. 2008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45-9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13년에는 SM그룹에 편입되었다. 2014년에는 한국가스공사 LNG전용선 2척 운영선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빌딩. THE TRINITY PLACE은 오성훈, 강희성이 설계를 맡고, Public space interior은 황옥채가, Corso Como Interior은 Carla Sozzani가 설계를 맡아 2007년에 완공하였다. 입방체로 불투명 유리를 전체적으로 사용하되 하층부는 투명유리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1,915.5㎡이고, 건축면적은 76...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W저축은행 빌딩은 1987년에 완공한 건물을 르씨지엠의 구만재, 김선국이 설계를 맡고, 나노산업개발이 시공을 맡아 리모델링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U-Glass와 게비온으로 하였다. 대지면적은 1344.7㎡이고, 건축면적은 634.87㎡이다. 용적률은 248.33%, 건폐율은 47.21%로 지하 1층, 지상 6층으로 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하고 있는 법인 저축은행. The-K 저축은행은 서민과 중소기업의 금융편의를 도모하고 거래자를 보호하며 신용질서를 유지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The-K 저축은행은 1972년 11월 새한상호신용금고로 설립되고, 1994년 4월에 한국교직원공제회에 인수되어, 현재까지 한국교직원공제회가 100% 출자한 회사로 되어...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는 도곡1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강남구 도곡1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도곡1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도곡1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도곡동의 연혁을 살펴보면 조선...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는 도곡2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도곡2동 주민센터는 강남구 도곡2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도곡2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도곡2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도곡동의 연...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도곡공원은 산지형 공원으로 운동 공간, 휴게 공간, 녹음이 어우러진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도곡공원은 1971년 11월 30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 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77년에 개원하였다. 공원의 노후화로 2008년 공원 리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도곡공원의 면적은 298,165㎡이며, 산지형 공원으...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도곡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행정동인 도곡1동, 도곡2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법정동이다. 수도서울의 남쪽관문이자 성남, 분당으로 통하는 지역으로 주간 유동인구비율이 높고, 복합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하는 지역이다. 도곡동(道谷洞)의 동명 유래는 마을 뒤에 매봉산이 둘러 있고 산부리에 돌이 많이 박혀 있으므로 독부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건설된 주상복합. 타워팰리스는 삼성물산, 삼성전자, 삼성SDI 등이 공동 시행하고 삼성물산과 삼성중공업이 시공한 주상복합이다. 1차에서 3차로 나누어 입주되었으며, A동에서 G동까지 총 7개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590가구의 대단지이다. 1994년 삼성그룹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3만 3,691㎡의 땅을 서울특별시로부터 매입해 102층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서 설립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2000년 9월 19일 도곡 본당을 설립하고 9월 30일 현재의 현대비젼 21의 1층을 매입하여 성당으로 꾸미고, 2003년 확장하였다. 도곡동성당은 지역 신앙공동체의 설립과 그리스도 복음전파를 위해 설립되었다. 2000년 도곡2동본당을 설립하고 성당과 사제관[기존 상가인 현대비젼 21의 1층]을 매입하였으며, 2...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대규모 공동주택 단지. 도곡렉슬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527의 대지면적 13만 3,361㎡에 건설된 매머드 급 공동주택 단지이다. 16층~25층 높이의 34개 주동으로, 단위세대는 86㎡[방 2개, 욕실 1개]~225㎡[방 5개, 욕실 2개]까지 총 3,002가구로 구성되어 있다. GS건설, 현대건설, 쌍용건설의 컨소시엄은 2002년 1월 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상설재래시장. 도곡시장은 1970년대에 국가 소유 도로에서 상인들이 하나 둘씩 자연발생적으로 장사를 시작하면서 생겨난 시장이다. 주변에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한 때 수 백 명의 상인들이 장사를 할 정도로 시장의 규모가 커졌으나, 1990년대 중반 인근에 대형마트와 백화점이 들어서면서 노상에 펼쳐진 재래시장이 쇠퇴하기 시작했다. 특히, 주변 아파트...
-
강남구 남부순환로 지하 2814에 위치한 분당선 지하철역. 도곡역의 유래가 되는 도곡은 마을 뒤에 매봉산이 둘러있고 물 아래쪽 산부리에 돌이 많이 박혀 있어 돌부리라 하던 것이 변하여 독구리, 독곡이 되어, 지금의 도곡이라 명명되었다. 도곡역은 지하철3호선 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2년 12월 개통하였으며, 2003년 9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도곡정보문화도서관은 강남구립 도서관 최초로 RFID[극소형 칩에 상품 정보를 저장하고 안테나를 달아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시스템, 디지털 신문 열람 시스템, 자동 좌석 발급 시스템 등을 도입하고, 웹DB, 전자책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강남구 최대 IT 대표 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하여 구민이 양질의 정보와 자료를 편리하게 이용...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교통시설 중 하나로 사람이나 차들의 이동을 위한 비교적 큰길. 강남구의 도로 계획은 1970년대 계획된 영동지구개발[토지구획 정리 사업]과 크게 관련되어 있다. 영동지구개발계획에서 도로의 경우 너비 40~70m의 넓은 간선도로를 축으로 격자형 가로망을 구축했다. 도로율은 24.6%로 선진 대도시의 기준 가로율 이상으로 계획하였다. 한남대교와 영동대교 사이를 몇...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음반회사 사옥 도로시 뮤직은 가수 신승훈이 소속되어 있는 도로시컴퍼니의 사옥이다. 도로시 뮤직은 건축가 곽희수[이뎀도시건축]가 건축 계획 및 설계를 맡아 2006년에 완공한 건물로 건축법상 용도는 제2종 근린생활 시설로 업무시설이다. 대지면적은 441.50㎡이고 건축면적은 260.66㎡이며 건폐율은 59.04%, 연면적은 1746.06㎡, 용적율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소재한 상품중개업, 산업용·가정용, 전문·종합 도매업의 개황. 도매업은 생산자에서 소매업자로 이어지는 상품의 흐름에서 중간에 위치하여 중계하는 활동을 하는 모든 상업활동을 의미하고, 특히 상품의 소유권을 갖지 않은 상태에서 물건을 대신 구매하거나 판매해주는 역할을 하는 활동을 상품중개업이라 한다. 강남구에는 이러한 도매업과 상품중개업이 집중되어 있다. 서울기업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도산 안창호의 정신과 뜻을 기념하기 위해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가 건립한 기념관. 도산 안창호의 탄생 120주년과 순국 60주기를 맞아 1998년 11월에 건립한 기념관이다. 도산 안창호와 관련한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도산 안창호의 뜻을 이어받아 연구, 교육 및 문화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도산 안창호 기념관은 우리민족 근대화의 선각자이며 정신적...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근린공원. 도산공원은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도산 안창호 선생과 부인 이혜련 여사의 묘소, 안창호 선생의 동상이 있는 공원이다. 도산공원은 도산 안창호 선생의 애국정신과 교육정신을 기리고자 1971년 8월 6일 공원으로 지정하였고, 1973년 11월 10일에 개장하였다. 1998년에는 도산 안창호 선생의 기념관을 개장하였다. 도산공원은 1970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과 청담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도산대로의 명칭은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선생의 호를 따서 붙인 것이다. 도산대로변에 도산의 묘원인 도산공원이 있다. 연장 3.2km, 폭 50m, 10차선 도로이다. 강남구의 동·서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 제 268호에 의해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 가로명 제정때 도산...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종류의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따위의 자료를 모아 두고 일반이 볼 수 있도록 한 시설을 말한다. 도서관은 일반적으로 독서와 열람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강남구 도서관은 학습 공간의 역할도 하고 있어 그 크기와 상관없이 대체적으로 열람실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매체를 이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자료실을 마련하는 추세이다....
-
인위적, 인공적 계획에 의해 건설된 도시로서의 강남. 강남구는 서초구와 함께 영동지구로 묶여 1960년대 말부터 계획적으로 건설된 도시로, 당시 영동지구는 수도 서울의 안보와 강북 지역의 과밀 해소를 목적으로 1966년 12월 처음 개발이 시작되었다. 영동지구는 영동1지구와 영동2지구로 구분되는데 영동1지구는 경기도 과천시와 경기도 성남시의 갈림길까지의 고속도로 용지를 무상으로 확...
-
서울특별시 강남 지역의 도시개발 촉진을 위해 서울특별시가 제정한 특별조례. 1972년 4월 서울시에서는 강남 지역으로 주거이전을 촉진하기 위해 주택건설 관련 혜택을 부여하였다. 그 중 하나로 ‘도시개발촉진에 따른 서울특별시세의 과세면제에 관한 특별조례’를 제정하여 영동 지역 내 건축물의 원시취득자 및 주택공사 등 비과세 공공단체가 건축한 건물의 양수인에 대해 취득세를 면제하고, 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건물 도요타 자동차 전시장은 2009년 9월 준공되었다. 주 구조는 지하층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이고, 지상 층은 철골조의 구조로 되어있다. 총 연면적은 9267.66㎡, 대지면적은 4156.5㎡, 건축면적 1719.57㎡로 지하1층, 지상 5층의 건물이다. 지하층은 자동차정비, 수리, 세차,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지상 1~3층은, 전시, 판매, 상...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빌딩. 도쿄 사이카보는 B&A건축사사무소에 배대용, 김희창이 설계를 맡고, 세연개발이 시공을 맡아 2009년 완공하였다. 건축법에 의한 사선제한과 주변 건물의 일조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를 고려하여 건축물의 형태는 박공지붕 모양을 하고 있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다. 대지면적은 566.9㎡이고, 건축면적은 280.98㎡이다. 용적률은 215.2...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종합 건설 엔지니어링업체. 도화엔지니어링은 인간, 자연, 기술이 조화된 최고 품질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만족, 인류번영을 실현하는 초일류 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도화엔지니어링은 1957년 8월 도화설계사무소로 설립되었고, 1962년 5월 5일 도화종합설계공사로 개편하였다. 1970년 이란을 시작으로 카자흐스탄, 베트남, 조지아, 인도에 지사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근린공원. 독골공원은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휴게 시설이 조성된 휴식 공간이다. 독골공원은 1982년 5월 21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7년 5월 21일에 개장하였다. 독골공원의 면적은 10,023㎡이며, 논현로에서 우성아파트로 진입하는 통로의 역할을 담당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었던 ‘도곡동’의 어원이 되었던 자연마을. 독구리 마을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의 어원이 되었던 과거 지명으로 서울도시철도 3호선 양재역 동쪽의 양재천 주변 지역이다. 도곡동(道谷洞)의 어원인 독구리 마을은 조선 시대 한양으로 입성하는 중간에 있어 한양을 왕래하는 사람들이 하룻밤 묵거나 쉬어가는 마을이었다. 마을의 명칭의 유래에는 두 가지가 전해진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에 설치되었던 불경번역기관인 동국역경원의 역장(譯場). 해방 이후 우리글로써 불교의 가르침을 펴야 한다는 새로운 기운이 싹트기 시작했다. 한글 불경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불교 대중화를 위해서는 불교 경전의 한글번역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는 인식이 확산되었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962년 11월 조계종의 주도로 대한불교조계종 역경위원회가 성립되었다. 1964...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에 위치한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체. 동국제약은 건강한 국민생활추구를 위한 의약품 개발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동국제약은 1968년 10월에 설립되었다. 2000년 4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 997-8로 본사를 이전했다. 2007년 3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동국제약은 잇몸질환 치료제 인사돌, 식물성분 상처치료제인 마데카솔, 폐경기 치료제 훼...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분포하는 동물의 종류.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동물상은 곤충류, 어류, 양서·파충류, 야생 조류, 포유류로 구분할 수 있다. 강남구에서는 대모산과 구룡산으로 이어지는 넓은 산지와 양재천과 탄천 등 하천 주변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기타 구룡산 자락에 형성된 주연부라고 할 수 있는 세곡 2지구 일대에서 곤충류, 양서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동부그룹 계열의 IT서비스 전문 기업. 동부는 IT서비스와 무역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동부의 모체인 한정화학은 1977년 3월에 설립되었고, 1993년 1월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80년대까지 화학분야에서의 사업을 진행하다가 1990년대에 정보통신사업을 추가하였다. 1997년 사명을 동부정밀화학으로 변경하였고, 1999년부터 자성분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대치동·일원동·수서동을 통과하는 간선도로. 간선도로(幹線道路)는 도로망의 기본이 되는 주요도로이다. 도시 사이를 연결하거나 중요 지구를 연결하기 위한 도로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의 간선도로는 고속도로·국도·특별시도·광역시도·지방도 등이 있다. 동부간선도로의 명칭은 서울 북동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데서 이름 지어졌다. 동부간선도로는 연장33km, 폭26m, 왕...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던 종합 건설업체. 동부건설은 건설물류 분야에서 기술개발과 풍요로운 삶의 공간을 만들어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69년 1월에 건설되어 1978년 10월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1년 3월 국내 최초의 복층교량인 청담대교를 준공했고, 2007년 4월 동부익스프레스 택배사업을 출범했다. 2013년 11월 강남구 대치동 동부금융센터에서 용산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1948년에 시작된 한국 기독교 장로회 소속 교회. 동부교회는 선교를 제일의 과제로 삼고, 하나님 임재의 예배공동체를 지향하며, 교육하고 전도하며 예수님을 닮은 기독인을 키우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동부교회는 1948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5가 소재 남정동 성전 매각 대금 및 성도들과 명춘원 장로의 헌금으로 강흥수 목사와 정봉조 장로에 의해 서울...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영화사. 동아수출공사는 1967년 1월 24일에 설립된 영화사로 영화제작과 수입 및 배급과 멀티플렉스 상영관을 운영하고 있다. 별도로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에 동아수출공사의 영화 촬영소가 있다. 1972년부터 「적도의 꽃」, 「깊고 푸른 밤」, 「겨울 나그네」 등 80여 편의 영화와 「늑대와 춤을」, 「클리프 행어」, 「원초적 본능」, 「다이하드3」...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농기계사업, 담배 필터 사업 및 해외 출판물의 수입·판매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업체. 동양물산기업은 글로벌 종합 기계 메이커로의 도약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동양물산기업은 1951년 9월 설립되었다. 1962년 7월 복건기업과 합병해 동양물산기업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73년 6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4년 11월 중국에 동항...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생명보험회사. 동양생명보험은 2011년 12월말 현재 전국에 23개의 영업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국내 생명보험시장은 상위3사가 수입보험료 70% 내외를 점유하는 전형적 과점시장 구조를 형성하여 왔다. 그러나 이들 상위3사의 점유율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외국사 및 국내 중소형사의 시장 점유율이 확대되어 왔다. 상위 3사의 20...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소극장. 동양아트홀은 1935년 개관한 연극전문극장인 동양극장(東洋劇場)을 모태로 2006년 7월에 개관한 소극장이다. 동양아트홀은 국내 최초로 개관한 동양극장의 맥을 잇기 위해 건립된 소극장이다. 동양극장이 건립될 당시 연극전문극장으로서는 유일했고 국내 첫 연극전문극장이라는 의미 있는 문화시설이었다. 동양극장은 당시 서울 시내 서대문정(西大門町)...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어업 및 식품가공, 수산물 유통업체. 동원수산은 수산물 제조와 가공, 냉동냉장사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70년 5월 동원수산이 설립되었고 1996년 11월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 2004년 동화식품을 흡수·합병했다. 동원수산은 현재 17척의 원양어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14척은 참치연승어선으로 태평양과 인도양 등에서 어획활동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동일방직을 모태로 각종 섬유 제품의 가공·제조·판매를 하는 계열사 10개로 이뤄진 기업 그룹. 동일그룹은 1955년 9월 1일에 설립된 동양방직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동양방직은 1964년 1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고, 1966년 1월에는 동일방직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1976년에는 동영을 인수하고 1974년에는 태남산업을 인수하면서 조직을 확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과 성동구 옥수동을 연결하는 교량. 동호대교는 일명 금호대교라고도 불린다. 동호대교는 조선 시대 옥수동 앞의 한강을 동호(東湖)라고 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동호대교는 연장 1,220m, 폭 20.4m, 4차선 교량[2차선 복합]이다. 동호대교는 강남구·성동구 간 원활한 진입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4년 12월 31일 준공되었다. 성수대교 붕괴 이후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동호대교 남단]에 이르는 강남구에서 중구까지 이어지는 도로. 동호대로의 명칭의 유래가 되는 동호(東湖)는 성동구 금호동 4가 한강변의 옛 지명이다. 동호대로는 연장 4.4km, 폭 40m, 8차선 도로이다. 동호대로는 강남구와 중구 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55년 장충고갯길을 만든 후 확장 공사를 거쳐 장충로로 이름지어졌다. 이후 1979...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소재한 두산그룹 계열사로 토목, 건축, 주택 건설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건설업체. 두산건설의 전신은 1960년 세워진 동산토건로서, 당시 OB그룹[현 두산그룹]의 주력 회사였던 동양맥주가 자본금 5,000만 원을 출자하여 설립하였다. 초대 대표이사는 한상억 사장이었다. 1961년에는 건설업 면허를 취득하였고, 1975년에는 주식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초동에 위치한 PC온라인게임 개발업체. 드래곤플라이는 게임 산업의 트렌드 리더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드래곤플라이는 1995년 2월 설립되었다. 2009년 7월 10일 위고글로벌을 합병하고,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드래곤플라이는 국내 온라인 게임포탈인 넷마블[CJ E&M 게임즈] 및 피망[네오위즈게임즈] 외에 일본[NHN Japan], 중국[CDC Ga...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는 동부건설을 모태로 한 건설, 금융, 정보통신, 식품 등 7개 분야에 계열사를 둔 기업 집단. DB그룹은 1969년 1월 24일에 자본금 2,500만원과 직원 2명으로 미륭건설[현 동부건설]을 설립하면서 출범했다. 1970년대 초반 중동 건설시장에 선발기업으로 진출하여 성공을 거둔 것을 바탕으로 1980년대에 사업복합화 전략을 추진함으로써 오늘날 DB그룹...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빌딩. DB금융센터는 도시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의 이기범이 설계를 맡고, 동부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2년에 완공하였다. 기존 대지의 법규적 제한으로 최호한 3:1 비율이상의 조형적 Proportion을 찾기 위해 건폐율을 40%이하[실제는 38%]로 낮추고, 도로한계선으로부터 Set-Back[법정 3m에서 9m로]시킴으로써 현재의 Mass가 돌출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DB그룹 계열의 증권사. DB금융투자는 1982년 12월 국민투자금융을 설립으로 시작되었고 1988년 9월 동부투자금융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1년 7월 동부증권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증권업 영업을 시작하였다. 1997년 1월 동부자산운용을 설립하였다. 1999년 10월 주택은행과 연계하여 사이버 계좌 개설서비스를 실시하였다. 2004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생명보험회사. DB생명은 1989년 4월 14일 설립된 동부애트나생명보험으로 시작되었다. 동부애트나생명보험은 미국 애트나사와 합작으로 설립된 보험회사다. 1995년 동부생명보험으로 상호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은 생명보험, 연금보험, 재보험 등을 운용하고 있다. 1989년 8월 첫 영업을 시작했다. 1995년 3월 현재의 회사명으로 변경한 후 외국인...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DB그룹 계열의 손해보험회사. DB손해보험은 1962년 3월 한국자동차보험공영사로 창립하여 1963년 자동차손해보상 책임보험 판매를 개시하였다. 1968년 11월 1일 한국자동차보험으로 법인전환을 하였다. 1973년 기업을 공개하여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다. 1977년 자동차 종합보험 개발 및 운전자 보험을 개발·판매하기 시작하였다. 1983년 2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역삼동, 삼성동에 위치하고 있는 법인 저축은행. DB저축은행은 1972년 10월 동부무진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초 우량저축은행으로 성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DB저축은행의 설립목적은 선진금융 벤치마킹과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접목하여 은행업무 수행을 위한 역량을 갖춤으로써, 업계에서 선도적이며 고객만족을 실현하는 저축은행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시스템 반도체 생산업체. DB하이텍은 메모리반도체에 편중된 한국 반도체 산업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한국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목표 아래 시스템반도체 사업을 적극 전개하고 있다. 1958년 동부전자로 설립되어 1975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7년 동부하이텍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2008년 세계 최소형 LCD구동 칩을 개발하고 공급...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반도체 검사장비 등 초정밀 시험장비의 제조 및 수입업을 영위하는 업체. 디아이는 반도체 검사 장비분야에서의 국산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디아이의 모체인 동일상사는 1961년 3월 설립되었고, 1996년 4월 30일 상호를 디아이로 변경했다. 1996년 7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3년 2월과 2004년 8월에 각각 일본과 중국에 현지법...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여자용 정장 제조업체의 공장. 디아이플로은 1973년 11월 인천직할시 남구 학익동 430에서 화신 레나운 주식회사로 설립된 외국인 투자 기업이다. 주 업종은 여성용 정장 제조업이며, 주요 취급 품목은 니트웨어, 캐주얼웨어, 신사복, 숙녀복이다. 디아이플로의 관련 브랜드는 아놀드파마, 아놀드파마 주니어, 까르뜨 블랑슈 등이 있으며, 부동산 임대업에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빌딩 DA그룹 사옥은 2009년 11월 준공되었다. 주구조는 철골콘크리트 구조이다. 총 연면적은 4671.73㎡, 대지면적 1162.9㎡, 건축면적은 565.27㎡로, 지하 3층, 지상 5층으로 제3종 일반주거지역에 위치한 빌딩이다. 현재 디에이 그룹의 사옥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면 커튼월로 된 이 건물은 디에이 그룹의 사옥으로 유명하다. 사면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었던 출판디자인 전문회사. 디자인토핑은 교재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출판디자인 회사이며, 2011년 3월에 설립되었다. 디자인토핑은 1998년부터 2002년까지 눈높이 대교의 교재를 제작하였다.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청담어학원 교재 전체를 제작하였다. 그 경력을 바탕으로 2011년 3월 디자인토핑을 설립하였다. 2015년 5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서 1986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2급 관광호텔. 라마다 서울 호텔은 삼릉공원을 마주한 곳에 입지한 비즈니스 호텔이다. 1986년 12월 강남구 삼성동에서 개관한 뉴월드 호텔은 2004년 2월 라마다 서울 호텔로 재개관하였다. 라마다 서울 호텔은 전신인 뉴월드 호텔로 불리기도 하는데, 호텔이 입지한 주변을 뉴월드 호텔 사거리라고 부를 정도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레저용 텐트 수출사업과 온라인 게임의 개발 및 기존 타사 개발 게임의 퍼블리싱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업체. 라이브플렉스의 모체인 케이제이온라인은 1977년 설립되었고, 2002년 4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6년 라이브플렉스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6년 7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392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복합건물 라이트하우스는 작가 임종국의 ‘라이트 하우스 스튜디오1.3’ 광고사진스튜디오가 있는 건물이다. 스튜디오 외에도 사무실, 카페, 단독주택이 있는 복합건물이다. 제품, 인물, 건물, 인테리어, 보석 등 전반적인 기업 홍보 사진부터 특수촬영[CG]까지 광고에 필요한 사진작업을 하고 있으며 작업실은 지하 1층에 있다. 라이트하우스는 건축가 김효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는 어린이 영어연극 전문극장.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라트어린이극장[대표 튼튼영어 대표이사 오인숙]은 2002년에 개관한 국내 유일의 어린이 영어연극 전문극장이다. 연극을 통해 배우와 스텝, 어린이이 만나며 다양한 영어체험 기회를 경험할 수 있는 어린이 복합문화공간이다. 공연장은 배우와 아이들 간의 거리감을 없애기 위해 무대와 객석 사이를 가깝게 해놓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램프빌딩은 건축가 조병수가 설계, 신화CM[주재훈]이 시공을 하였다. 설계기간은 2003년7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시공기간은 2005년 9월부터 2006년 12월까지이다. 지하 2층, 지상 7층으로 건물의 입방체는 대지에 접하고 있는 높은 쪽 도로에서 약 반 층 정도 띄우고, 입방체의 하부는 도로 쪽에서 안쪽으로 1m정도 들여 넣어 유...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빌딩. 렉서스 디앤티 빌딩은 2000년 12월 준공되었다. 렉서스 디앤티 빌딩은 지하 5층, 지상 8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이다. 총 연면적은 11496.97㎡, 건축면적 892.27㎡, 대지면적 1487.7㎡이다. 주 용도는 근린생활시설, 업무시설, 판매시설이고, 구조는 철골조구조이다. 렉서스 디앤티 빌딩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로얄토토는 기오헌건축의 이은식이 설계를 맡고, 장학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6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다. 대지면적은 1000.6㎡이고, 건축면적은 498.37㎡이다. 용적률은 249.53%, 건폐율은 49.18%로 지하 3층, 지상 7층으로 되어있다. 현재 욕실 자재 전문 회사 로얄 앤 컴퍼니의 사옥으로 사용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로즈I타워는 세진건축의 오세의가 설계를 맡고 티에스우인이 시공을 맡아 2007년에 완공하였다. 크게 두 개의 mass로 나뉘어 중간에 썬큰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이 되도록 계획되었다. 입면은 단조롭고 지루하지 않도록 격자형으로 처리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고, 외부 마감은 대리석으로 하였다. 대지면적은 779.80㎡이고, 건축면적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체. 로코조이인터내셔널은 세계 일류 제품을 출시하는, 작지만 강한 회사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로코조이인터내셔널의 모체 국제전자제어는 1998년 2월에 설립되었고, 2005년 6월 이너스텍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2009년 11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13년 3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197-2로 본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롯데백화점의 지점. 롯데백화점 강남점은 2000년 6월 16일에 개점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경영난을 겪던 그랜드산업개발은 그랜드백화점 강남점을 롯데쇼핑에 1999년 8월 22일에 매각했다.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의 롯데백화점 강남점은 과거 그랜드백화점 강남점이 있던 곳에 자리한다. 롯데백화점은 소매업을 통해 이윤을 창출을 하기 위해 설립된 기업집단...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여신전문금융회사. 롯데캐피탈은 건실한 기업 및 개인고객에게 종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 인재육성과 리스크 관리 시스템 구축, 전자금융 시스템 구축을 핵심역량으로 하여 시대의 변화와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롯데캐피탈은 1995년 11월 28일 부산 할부금융으로 설립되어 일반 할부 금융업으로 기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전자제품과 가정용 전자기기 유통업체. 롯데하이마트는 전자기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위해 설립된 회사이다. 1987년 6월 한국신용유통이 설립되었고, 1989년 5월 하이마트 1호점인 용산점을 개점했다. 1999년 12월 회사명을 한국신용유통에서 하이마트로 변경했고, 2000년 7월 인터넷쇼핑몰을 출범했다. 2011년 6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르호봇 빌딩은 건축사사무소 오퍼스의 김형종, 조성기, 우대성이 설계를 맡고, 한글종합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하였다. 지상 1층, 지하 1층, 지하 2층으로의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는 3가지 접근 레벨을 설정하여, 이 레벨들은 서로 중정으로 연속되어 시각적,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 외부는 노출콘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던 보안 솔루션 관련 컨설팅 서비스 제공업체. 리번즈는 작지만 강한 회사를 모토로 종합 보안 솔루션과 정보보호 컨설팅 분야에서 최고의 능률을 가진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리번즈의 모체인 아이앤티텔레콤은 1997년 7월에 설립되었고, 1999년 11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1년 12월 세넥스테크놀러지로 상호를 변경했고, 20...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던 캐패시터의 제조와 판매 및 유통 사업 업체. 리젠은 미래지향적인 사고로 디지털 문화 창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리젠의 모체인 한국전해콘덴서는 1967년 4월 7일에 설립되었고, 1982년 4월 30일 대영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98년 본사를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 417에서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540으로 이전하였다. 1999년 12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서 1995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1급 관광호텔. 리츠칼튼 서울은 1995년 개관하였다. 왕관과 사자상으로 이루어진 리츠칼튼의 로고에서 왕관은 품위 있는 영국 왕실을 상징하며, 사자상은 프랑스 파리 리츠 호텔 개관을 위하여 재정 지원을 제공한 금융사의 로고이다. 두 가지 상징을 합성함으로써 ‘기품과 부’를 의미하는데, 로고가 보여주는 바와 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마이클 슐츠 갤러리는 독일에 본점을 두고 있는 마이클 슐츠 갤러리의 서울분점으로 2006년에 개관하였다. 2006년에 마이클 슐츠 갤러리가 한국 국제아트페어 KIAF에 ‘독일 현대미술 특별전’으로 참가하고 국립 현대미술관에서 ‘게르하르트 리히터전’을 열었던 것을 통해 한국과 인연을 맺고 마이클 슐츠 갤러리 서울을 개관하였다. 이 갤러리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경제력이 집중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현. 강남구는 우리나라의 돈이 집중되는 경제의 중심지이다. 빠른 산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경제발전과정에서 서울시 강남구는 우리나라 경제의 심장이자 경제성장의 엔진 역할을 하고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지역적으로도 돈이 어디로 집중되는가는 그 지역의 경쟁력을 나타낸다. 돈이 특정 지역으로 집중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근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매봉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산 31-1에 위치하며, 강남구가 1994년 개발한 약수터이다. 매봉약수터는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도곡근린공원 내부에 위치한 약수터로 이용 면적은 1,100㎡이다. 1일 취수량은 6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600명으로 활발한 이용을 보이고 있다. 약수터 주변에는 휴게시설로 의자 26개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179-2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3호선 지하철역. 매봉역 명칭은 매봉산에서 유래되었다. 매봉역은 서울도시철도 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1993년 10월에 건설되었다. 플랫폼 길이 205m, 시설 규모 2층, 총 면적 7,321㎡이며, 1~4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시설로는 역무실 1개소, 수유방 1개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언주로의 일부를 이루는 쌍굴터널. 매봉터널은 쌍굴터널로 편도 차선마다 터널이 따로 분리되어 있다. 강남구 역삼2동 방면에서 도곡2동 방향 직선 통과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매봉터널은 1992년 7월 14일 준공되었다. 터널 높이 9.5m, 차도 폭 10.6m, 보도 폭 2m, 연장 250m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현재 매봉터널은 강남구 도곡동 146~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비메모리 반도체 솔루션 업체. 매커스는 지속적인 성장을 하는 비메모리 반도체 솔루션 전문업체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매커스는 2006년 12월 14일에 코아크로스에서 인적분할로 설립되었고, 2007년 2월 9일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11년 6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91-26으로 본사를 이전했다. 매커스는 시스템 반도...
-
맥도날드 국내 1호점으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개점한 패스트푸드 전문점 패스트푸드[fast food]의 대명사인 맥도날드[McDonald’s]는 강남구 압구정동에서 최초로 개점하였다. 짧은 시간 안에 햄버거, 감자튀김과 같은 패스트푸드를 어디에서나 같은 맛으로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직원 서비스와 복장, 주문 절차, 실내 분위기 등에 있어 ‘표준화’하는 전략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몰(Coexmall)에 개관한 영화관. 메가박스 코엑스는 2000년에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몰(Coexmall)에 개관한 복합상영관으로 지하 1·2층의 전용면적 21,487㎡[6,500평]에 일반 상영관 16개관과 입체영화관 1개관이 있다. 동양제과가 세우고 계열사인 메가박스씨네플렉스가 운영한다. 대형관 3개, 중형관 8개, 소형관 5개, 입체영화관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메리츠타워는 KEATING & KANG.LLP이 계획, 기본설계를 했고, 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실시설계를 맡고, 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감리, 한진중공업에서 시공을 맡아서 2005년 10월에 준공되었다. 주 구조는 철골조로 외부 마감을 화강석물갈기, 알미늄쉬트, THK24 칼라 LOW-E복층유리로 되어 있다. 대지면적은 4,464.1㎡이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1동에 위치한 한국 최초의 보험회사. 메리츠화재해상보험은 1922년 10월 1일 조선화재해상보험으로 설립되었다. 1935년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 1가 19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45년 해방 후 귀속재산이 되었다. 1950년 5월 동양화재해상보험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56년 국내 보험회사로는 처음으로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다. 1959년 이화학당...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메종드 미끌리는 2010년 11월에 준공되었다. 프랑스어로 ‘미끌리의 집’이라는 뜻의 이 건물은 ‘알랭미끌리’의 로고를 형상화하여 비대칭 굴곡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사무실, 쇼룸, 문화 전지, 주거, 스튜디오, 정원’ 이라는 6가지 기능을 하는 다목적 공간이다. 2층에는 알랭미끌리의 쇼룸과 함께 미니갤러리를 전개, 예술성 있는 다양한 작...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양재천을 따라 조성된 3.5km의 메타세콰이어 길. 메타세콰이어 거리는 서울도시철도 3호선 양재역에서 성남 방면으로 가다 보면 양재천의 영동1교를 건너기 전 왼쪽으로 접어들면 양재천의 산책로 옆에 나란히 메타세쿼이아 길이 3.5km 정도 이어져 있는 길을 말한다. 양재천의 영동1교에서 영동2교에 이르는 700m 구간에는 와인바와 레스토랑 등이 밀집해 있으며, 이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한국 현지법인 생명보험회사. 메트라이프생명보험은 1989년 6월 1일 세워진 코오롱메트생명보험에서 출발하였다. 1998년 3월 미국의 보험회사인 메트라이프 인터내셔널 홀딩스[MetLife International Holdings, Inc.]가 코오롱그룹의 지분을 100% 인수하여 단독 주주로 변경되었다. 1998년 6월 1일 메트라이프생명보험로 상호를 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명은빌딩은 2010년 9월 준공되었다. 주 구조가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제2종 근린생활시설이다. 총 연면적은 1210.19㎡, 대지면적은 354.2㎡, 건축면적은 212.43㎡이다. 지하 2층, 지상 4층, 옥탑층으로 되어 있다. 지하 1층은 주차장, 지하 1층과 2층은 근린생활시설[제조업소], 2~3층은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 명은빌딩...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빌딩. 모노타워는 건축가 송춘식이 설계하여 계획 업무 2개월, 건축허가 및 실시설계 단계 2개월, 공사감기 10개월을 거쳐 2010년 5월 준공되었다. 지하 1층, 지상 6층으로 주요 외장재로는 IT사옥의 독창적 디자인을 살리기 위해서 주물성이 좋은 노출콘크리트와 맑고 밝은 느낌의 커튼월 시스템을 선택했다. 미래지향적인 하이테크 이미지와 독창성을 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MOMA빌딩은 초이스건축사사무소의 최철수가 설계를 맡고, 진건 종합건설에서 시공을 맡아 2006년에 완공하였다. 건물 외관에 곡선을 도입한 이 건물은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VM징크, 노출콘크리트, 알루미늄 시트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242.7㎡이고, 건축면적은 145.15㎡이다. 용적율은 292.4%, 건폐율은 59.81%...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장로회 수경노회 소속의 교회. 목양교회는 예배와 기도를 통한 영혼의 구원과 선교를 통한 복음 전파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목양교회는 1982년 6월 김준환 목사에 의해 미아동 자택에서 시작되었다. 같은 해 10월 대한예수교장로회 경기노회에 가입하였다. 1983년 2월에는 개포동 주공4단지 마상가로 이전하였으며, 5월에는 교회부설 목양선교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 중앙에 있었던 자연마을.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 중앙에 있었던 자연마을의 과거 지명으로 현재는 서울시 강남구 자곡동의 전원주택단지이다. 못골은 조선 시대 효종(孝宗)[1619~1659]때 우의정을 지낸 완남 부원군(完南府院君) 이후원(李厚源)[1598~1660]의 묘 앞에 연못을 판 것에서 ‘못골’ 또는 ‘목골’이라 칭했으며, 한자로 ‘지곡(池谷)’이라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통합] 소속의 교회. 1910년 연동교회(蓮洞敎會)로부터 분리하여 묘동(廟洞)에 설립하였는데, ‘廟(묘)’자를 쓰지 않고, ‘妙(묘)’자를 썼다. 교회건축과 운영에 서구 선교사들의 도움을 받지 않고 동양적 관점을 강조하였고, 진보적 신앙노선에도 불만을 품어 보수적 신앙을 주장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한때 선교사 배척운동과 유신회 가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건물. 무림SP 본사 사옥은 1989년 알루미늄 복합 판넬을 주요 외장 재료로 완공되었다. 하지만 십여 년의 시간이 지나면서 노후 되어 외장 재료의 부분적인 피복박리 현상 등이 발생, 리모델링을 계획하였다. 건축사사무소 비에이엔 케이의 백민석이 설계를 맡고, 현대리모델링건설이 시공을 맡았다. 기존의 건축물의 물리적인 골격을 유지한 채 강남과 강북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무역센터트레이드타워의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에 개설한 무역전문가 양성 교육프로그램 한국무역협회는 무역 인력을 키우는 무역아카데미를 설치하였는데, 무역마스터과정은 무역아카데미에서 개설한 교육 과정 중 하나이다. 국내 유일의 무역전문인력 양성 과정으로, 대학교 졸업자[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무역실무, 해외마케팅, 외국어, 직무소양 등의 교육을 통해 글로벌화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음악이나 박자에 맞추어 역동적인 움직임으로 감정과 의지를 표현하는 행위 예술. 무용(舞踊)은 사람의 몸을 소재로 하여 정신과 육체의 행동을 통해 감정·정경·상황 등을 표현하는 예술활동으로 우리나라의 무용은 크게 왕실 중심으로 발전된 궁중무용과 민간중심으로 발전된 민속무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왕실 중심의 궁중무용은 인접한 다른 나라에서 수입한 외래무용을 소화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에서 언어, 문자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행위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은 예로부터 문학작품의 주된 소재가 되어 왔다. 특히 압구정, 봉은사, 저자도, 사평, 선정릉 등은 여러 문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형상화되어 왔다. 압구정(狎鷗亭)은 조선조 세조에서 성종대 까지 3대에 걸쳐 높은 벼슬을 했던 한명회(韓明澮)가 만년에 두모포(豆毛浦) 남쪽 언덕에 지어 여생을 보냈...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지정 혹은 형성된 패션·문화·예술 테마거리. 서울특별시 강남구는 과밀화되어 가던 구시가지의 인구를 한강 이남으로 분산하고 서울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 강남개발이 시작되면서 고소득층을 위한 고급 소비문화 공간으로 발전해왔다. 특히 압구정동과 청담동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의 거리가 조성되어 패션·생활·쇼핑·문화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주민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던 김치문화를 조사·연구하고 홍보하는 서울특별시 등록 전문박물관. 뮤지엄김치간은 한국의 우수한 김치와 김장 문화를 포함한 식문화에 대한 조사 및 연구를 진행하고, 이와 관련된 전시와 체험을 제공하는 김치박물관이다. 뮤지엄김치간은 대표적인 채소 발효식품인 김치의 문화적 측면을 조사하고 연구하여 이를 국내·외에 홍보하고자 설립되었다. 1986년 9월 민속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뮤지움 비욘드[대표 현진엽]는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전시 갤러리로 신개념의 전시 테마와 디지털 시대에 상응하는 다양한 전시 접근방식을 시도하며 더불어 강연이나 공모전 같은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다. 사업영역으로는 기획전시 주관, 기획전시 마케팅을 중심으로 문화행사 기획, 예술분야 교육 프로그램, 세미나 기획, 아트상품 기획 및 제작...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빌딩. 미니빌딩은 시오에스 파트너스 건축사사무소의 신종환, 숭실대학교 강정윤이 설계를 맡고, 휴빌더스 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7년에 완공하였다. 전체적으로 Mass 4개를 탑을 쌓듯 올리는 단순한 형태를 띠고 있고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다. 대지면적은 394.60㎡이고, 건축면적은 218.41㎡이다. 용적률은 199.44%, 건폐율은 55.3...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증권사. 미래에셋대우는 1970년 9월 23일 동양증권으로 설립되었다. 1973년 9월 1일 대우실업에서 회사를 인수하였고, 1983년 12월 19일에는 삼보증권에 흡수 합병되어 10월 24일 대우증권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4년 8월 도쿄, 9월 뉴욕에 사무소를 개설하였고, 1985년 1월 4일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증권사. 미래에셋증권은 1999년 12월 2일 E미래에셋증권으로 설립되었다. 2000년 뮤추얼펀드 판매를 시작하였다. 2004년 12월 20일 국내 최초 PEF 출자 승인을 받았다. 2005년 국내 최초 미래에셋퇴직연금연구소를 설립하였다. 2005년 8월 17일 홍콩에 해외사무소를 설치하였다. 2007년 1월 11일에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아름다움을 조형적으로 형상화하는 회화, 공예, 서예 등의 예술 활동. 강남구가 미술의 도시로서 부상하기 시작한 것은 1989년부터이다. 그 이유로는 우선 강남 아파트 개발로 인해 아파트군 밀집하면서 미술품을 수집하는 인구가 많아졌다는데 있다. 또한 화랑이 연이어 밀집되어 있는 인사동에 비해 어느 정도 분산, 정비되어 있어, 강남 갤러리를 찾는 애호가들이 많아지...
-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산업인 패션 및 미용 산업을 선도하는 서울특별시 강남 일대를 일컫는 말. ‘뷰티벨트’는 압구정동을 중심으로 가로수길, 청담동, 논현동, 역삼동 등 강남 일대를 이르는 말이다. 강남은 서울의 트렌드가 만들어지는 생생한 현장으로 이 일대에는 패션 트렌드를 선도하는 명품 브랜드의 로드숍과 해외파 디자이너들의 아틀리에, 소호 옷가게들이 즐비하다. 강남구는 패션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에 마련된 전통공연극장. 민속극장 풍류는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의 공연장으로 한국 전통의 다양한 춤과 음악공연을 올린다. 반원 형태의 공연장으로 연희자와 관객이 가까이 호흡하고 즐길 수 있도록 무대와 객석[일반 객석 147석, 보조석 100석]의 거리를 가깝게 했다. 내부 인테리어도 전통예술 공연장에 걸맞도록 한국전통의 느낌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개관한 사립 미술관. 밀알미술관[대표 홍정길]은 정서 장애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는 밀알학교 안에 있는 사립미술관이다. 밀알미술관은 100여 평 규모의 전시관[소장자료 약 1,400여 점]과 함께 도자예술로 장식된 음악당인 세라믹 팔레스홀, 카페, 서점, 세미나실 등 문화시설을 함께 갖춘 복합 문화공간이다. 설립자 홍정길 목사가 소장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있는 복지재단 밀알에 세운 발달장애아 특수학교. 밀알학교는 기본생활자립 능력과 자신의 재능을 길러 지역사회에 적응하는 자주적인 인간을 육성함을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다. 장애 극복 의지와 강인한 체력을 배양[건강한 사람]하고, 기본질서의식을 확립하고,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도록 한다[더불어 사는 사람]. 자기결정능력을 증진시키고 자립생활의 기능 강화[자주적...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과학기술분야 시민운동 단체. 바른 과학기술 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은 국가 주요 정책의 올바른 방향 설정과 실천을 위한 대안 제시를 통해 바른 과학기술 창달로 선진 사회 실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바른 과학기술 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은 2005년 6월 발기인 대회를 거쳐 2005년 12월 창립되었다. 발기인에는 창립추진 위원장인 이병...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3D입체영상사업 업체. 바른테크놀로지는 창조적 혁신과 도전이라는 기업정신을 바탕으로 3D입체영상 대표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바른테크놀로지는 1972년 7월 케이디씨정보통신으로 설립되었다. 1989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48-14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6년 8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3년 7월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국립, 사립 박물관 강남구는 우리나라의 첨단 문화를 주도하고 있지만, 역사·문화·정보를 전시하는 장소는 상대적으로 빈곤한 편이다. 그러나 특별한 주제 박물관이 지속적으로 설립되고 있으며 이들의 적극적인 전시·교육 활동은 적지 않은 문화적 파급효과를 낳고 있다. 강남구에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특수 박물관이 있다. 관세청이 개청 30주년을 기념하여 2000년 8...
-
서울특별시 보호 야생동물이며 강남구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산새. 박새는 박새과의 작은 조류로써 인가와 산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이다. 강남구 내의 산림과 공원 및 정원 등 녹지가 있는 곳에서 서식하고 있다. 박새 수컷의 겨울깃 머리꼭대기와 뒷목은 푸른빛이 강한 검정색으로써 눈앞, 턱밑, 멱, 윗가슴, 목옆의 광택이 있는 검정색과 서로 연결되어 뺨과 귀깃의 흰색을 둘러싼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박영덕화랑(朴榮德畵廊)은 1993년에 개관한 상업 미술품 전시판매장이다. 국내외 작가들의 회화, 조각, 비디오조각, 판화, 사진 등 현대미술작품을 주로 전시한다. 대관전시 없이 연중 초대전과 기획전으로만 운영되며 모든 전시는 무료로 개방된다. 1993년 3월 2일에 개관한 박영덕화랑은 개관 기념전으로 서양화와 한국화 분야의 중견작가와 청...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형서점. 반디앤루니스 코엑스점은 1988년 설립된 서울문고에 미국의 대형서점을 벤치마킹하여 새롭게 확장, 이전한 곳이다. 서점을 중심으로 문구점, 북카페 등이 복합 운영되고 있는 종합대형서점이다. 개점 당시 한국 및 동양 최대 규모를 자랑하였다. 반디앤루니스 코엑스점은 매출증대를 위한 판매자 중심에서 고객의 편의를 우선으로 생각...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과 세곡동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도로. 밤고개길은 밤고개·율현로라고 부르기도 한다. 밤고개길은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율현동(栗峴洞) 동명을 우리말로 풀은 데서 유래하였다. 밤고개길은 연장 3.5km, 폭 30m, 6차선 도로이다. 밤고개길은 강남구의 남·북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7년 5월 2일 밤고개길로 이름 붙여졌다. 2012년 현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 주민이 유무선 매체, 인터넷 회선을 통해 널리 듣고 볼 수 있도록 음성이나 영상을 전파로 내보내는 일 서울특별시 강남구에는 공영방송 1개와 주민에게 지역사회의 다양한 정보와 학습자료 등을 시청각 자료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인터넷방송, TV상품, 인터넷 등의 미디어 매체를 송신·제작·판매하는 여러 지역방송이 있다. 강남구 소재의 공영방송에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81에 위치한 근린공원. 배밭공원은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휴게 시설을 갖춘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배밭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8년 12월 30일에 개장하였다. 배밭공원의 면적은 11,627㎡이며, 양재천과 인접한 녹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공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중극장 규모의 공연장. 백암아트홀[대표 박귀재]은 백제예술대학이 개관한 420석 규모의 중극장으로 콘서트, 연극, 뮤지컬, 무용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열 수 있는 시설로 된 다목적 공연장이다. 백암아트홀의 무대는 일반적인 액자형 무대[Proscenium Arch Stage]와 같은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색다른 공간을 연출할 수 있는 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백현빌딩은 종합건축사사무소 시건축의 류재은, 한철수가 설계를 맡고, 다우종합건설에서 시공을 맡아 2004년에 완공하였다. 백현빌딩은 주 용도가 상업으로 내부의 기능이 밖으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건축가의 설계 의도가 담겨있다. 내부가 갖는 다원적 성격을 불규칙한 mass로 해결하고 있다. 건물의 외피를 불규칙적으로 비틀고 중첩시켜 mass를 형...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소재하는 대규모 현대식 종합 소매점인 백화점에 대한 개황. 백화점은 한 건물 내에서 여러 가지 상품들을 진열하여 판매하는 대규모 소매상이다. 상점 조직을 상품별·고객별로 부문화하고, 부문별 조직이 매입, 판매, 그리고 관리를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대규모로 조직되어 있는 상업 경영 형태이다. 우리나라에 최초로 백화점이 등장한 것은 1906년에 일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던 온라인 음악서비스 및 디지털 음원 유통업체. 벅스는 유·무선 컨버젼스 시대를 주도하는 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벅스는 네오위즈인터넷으로 2002년 6월 설립되었다. 2005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23-30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9년 10월 장외주식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10년 4월 네오위즈벅스와 합병하였고,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각종 법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활동. 법무 관련 서비스업은 가장 대표적인 비즈니스 서비스업으로 서울, 특히 강남 지역에 집중도가 높다. 법무법인이나 합동법률사무소는 대도시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으며 서울에서도 강남 지역에 집중하는 경향이 크다. 국제적 여건변화, 글로벌화 속에서 기업의 경영환경 변화는 법무, 회계 등의 서비스업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 자리한 재단법인 선학원의 분원. 법수선원이 소속된 선학원은 친일불교 및 일제의 사찰정책에 대해 전통불교를 수호하고 일제의 사찰정책에 대항하기 위해 1922년 3월 30일 선우공제회(禪友共濟會)를 결성한데서 시작되었다. 1926년 범어사 포교당으로 전환되었다가 1931년 재건기를 거쳐 1934년 12월 5일 조선불교중앙선리참구원으로 인가받았다. 이듬해 조선...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는 전문 출판업체. 법영사는 사회과학, 기술과학 등의 서적을 주로 출간하는 전문출판사이다. 사회과학서, 기술과학서, 대학도서 등을 출간하여 출판 문화발전에 기여하고자 창립하였다. 법영사는 1986년 8월 창립하여 오늘에 이른다. 법학, 행정학, 경영·경제학, 기술과학 관련 서적을 발간하며 사전류와 학술지 등의 출판물도 발간한다. 법영사는 1986년 창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건물. 베니건스는 맥스트랫에 신종환이 설계를 맡고, 휴빌더스건설이 시공을 맡아 리모델링을 하였다. 주 구조는 철골조, 철근콘크리트조이다. 도산대로변이라는 강남에서 가장 활기차고 많은 유동인구로 트렌드를 선도하는 위치적 특성을 고려하여, 건축물이 주변 환경의 다양한 활동과 교감함과 동시에 하나의 고정된 오브제를 탈피하여 유저의 움직임이 입면계획상 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2004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2급 호텔. 서울의 문화 중심지인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강남 호텔은 일본인 이용객이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관광객보다 비즈니스 고객의 점유율이 높은 비즈니스 호텔이다. 따라서 일본인 직원을 고용하여 의사소통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강남 호텔은 개관 2년차...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빌딩. Benz Tower는 마노건축의 김군식이 설계를 맡고, 효성이 시공을 맡아 2004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일반철골구조이고, 외부는 SPG커튼월시스템, ZINC 판넬, SST L Honeycomb 판넬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1,326.80㎡이고, 건축면적은 609.54㎡이다. 용적률은 242.03%, 건폐율은 45.94%로 지하 1층...
-
서울특별시 강남구 주민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유지 및 증진하기 위해 행해지는 제반 활동.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보건 의료를 담당하는 의료기관은 2012년 1월 기준 종합병원 5개소, 병원 52개소, 의원 2,294개소로 총 2,351개소이다. 의료 인력은 의사 4천 여 명 등 총 2만 여명이다. 강남구청의 보건행정은 강남구보건소 등에서 100여 명의 인력이 담당하고 있다. 의약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봉은사 정문 옆 건물에 자리한 불교공동체. 사부대중이 하나 되어 만나는 모든 이들을 부처님으로 바라보고 서로가 부처님이 되는 마을공동체, 실천불교를 구현하는 도량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화엄경』 입법계품의 주인공인 선재동자처럼 모두가 푸근해질 수 있는 구도자의 모임, 신행모임을 추구한다. 김경현 원장을 중심으로 실천불교, 불교공통체 취지에 공...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통신기기 제조와 엔터테인먼트사업체. 보타바이오의 모체인 모티스는 1990년 6월에 설립되었다. 1996년 9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7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59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8년 9월 19일 붕주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9년 8월 현재 상호인 아이디엔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61-5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보험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업종. 해난, 화재, 또는 사망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재난에 일정의 대중이 금전을 내어 이것에 대처하려는 조직을 보험이라 한다. 보험계약에 있어서 보험을 인수하여 책임을 지고 손해를 보상하는 자를 보험자, 그 상대방으로서 일정의 금액을 거출하는 자를 보험계약자, 그리고 그 일정의 금액을 보험료라 한다. 보험은 기준에 의하여 여러...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생육하는 노목(老木), 거목(巨木), 희귀목(稀貴木)으로써 서울시에서 보호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여 특별히 관리하는 수목. 보호수는 「산림보호법」 제13조 ‘보호수의 지정·관리’에 의하여 시·도지사 또는 지방 산림청장이 지정할 수 있다. 시·도지사나 지방 산림청장은 노목, 거목, 희귀목으로써 특별히 보호할 가치가 있는 나무를 보호수로 지정하고 현재 있는 장소에서...
-
부동산 투기를 하여 금전적으로 큰 이익을 꾀하는 가정부인. 복부인은 부동산 투기를 하여 금전적으로 큰 이익을 도모한 가정부인이다. 부동산 중개업소를 가리키는 복덕방에서 파생된 어휘이다. 1963년 경기도 광주군 일부가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으로 편입되고 1969년에 강남과 강북 도심을 잇는 한남대교[당시 제3한강교]가 완공되면서 강남 일대의 땅값이 폭등했다. 이때부터 일부 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1동과 송파구 잠실1동을 연결하는 교량. 봉은교는 봉은사가 있어 도로명이 유래된 봉은사로의 연결선상에 있어 봉은교라 이름 지어졌으며 1999년 7월 27일 서울특별시가 주최한 지명위원회 회의를 통하여 명칭이 확정되었다. 연장 255m, 폭 25m의 4차선 교량이다. 강남구 삼성1동과 송파구 잠실1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한신공영 외 4개사에 의해 준공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 본사 조계사의 말사. 「봉은사사적비명」이나 『봉은사본말사지』 등에 의하면 『삼국사기』 원성왕조의 기사에 근거하여 봉은사(奉恩寺)가 신라 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이는 사료를 오독한 것에서 연유한 잘못된 인식이다. 봉은사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은 조선 전기부터 등장하는데 이에 의하면 조선 성종(成宗)의 비인 정...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과 삼성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봉은사로가 통과하는 길에 봉은사(奉恩寺)가 있는 데서 유래하였다. 연장 3.8km, 폭 35m, 6차선 도로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삼성동 구간의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 제268호에 의한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 가로명 제정 때 봉은로로 이름 지어진 후, 1984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75에 위치한 사적공원. 봉은역사공원 안에 봉은사(奉恩寺)가 입지하고 있다. 1971년 8월 7일 도시계획시설 중 공원으로 결정된 후 1988년 5월 1일 공원으로 개장하였다. 1971년 공원으로 결정된 후 ‘봉은 근린공원’으로 불리다가 2009년 ‘봉은 역사공원’으로 바뀌었다. 봉은사는 일제 시대에 서울과 경기 일원의 80여 사찰을 관장하던 본사(本寺)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봉은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실력과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높은 이상, 굳세 의지, 밝은 생활’이다. 봉은중학교는 1986년 1월 29일 설립인가를 받고 3월 1일 초대 김영수 교장이 취임하였다. 1986년 4월 29일 교훈탑을 건립하고 개교식을 하였다. 1989년 3월 29일에 교내에 TV방송실 PMS를 개관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테니스장 봉은테니스장은 1994년 준공되었다. 1994년 7월에 개방되어 강남구 도시관리공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건설 사업비로 9억 원이 소요되었다. 주민의 건강증진과 생활에 활력을 주고, 지역생활체육 및 테니스의 활성화를 위해 설립되었다. 코트의 불규칙 바운드를 없애고, 물 빠짐 상태를 빠르게 하며, 미끄럼 상태를 완화하기 위해 코트 전면에 복토...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자기소유 또는 임차한 건물, 토지 및 기타 부동산[묘지 제외]의 운영 및 임대, 구매, 판매 등에 관련되는 산업활동. 부동산업은 다시 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으로 구분된다. 강남구의 부동산업 사업체는 2009년도 기준으로 총 3,710개이다. 이 중 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사업체 수는 1,035개이며,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의 사업체 수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종합도소매업과 전자기기 및 부품, 반도체등의 제조와 판매 업체. 부방은 좋은 제품을 만드는 인정받는 글로벌 리딩 기업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부방의 모체인 삼신공업사는 1979년 12월에 설립되었고, 1994년 2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10년 1월 리홈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2013년 3월 26일 리홈쿠첸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201...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일부 구간으로 포함하는 광역철도 분당 노선. 계획 초기 분당선은 오리역~왕십리역 전 구간 동시 개통을 목표로 하였으나 서울시·한국토지개발공사·철도청 등의 사업비 분담에 관한 문제로 사업이 지연되어 수서역~오리역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다. 분당선은 1990년대 초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계획과 함께 추진된 노선으로, 분당 신도시 개발계획과 관련되어 있다. 서울 도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건물. 분더샵은 아키월드 에이엔씨 종합건축의 서성식이 설계를 맡고, 신세계인터내셔널이 시공을 맡아 리모델링을 하였다. 분더샵은 기존 건물을 기능적으로 변화를 준 프로젝트로 주 구조는 연와조이다. 대지면적은 651.30㎡이고, 건축면적은 210.38㎡이다. 용적률은 48.13%, 건폐율은 32.30%로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되어 있다. 분더샵...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활동하는, 고타마 싯다르타가 인도에서 개창한 종교. 기원전 6세기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는 기원을 전후하여 중국에 전래되었다. 4세기 삼국에 전래된 뒤 삼국의 고대국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신라가 삼국을 통일 이후 통일 신라의 불교는 신라 불교 철학을 정립하며 한국 불교의 토대를 형성하였다. 신라 하대에 수용된 선종은 화엄과 유식으로 대표되는 재래의 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대모산에 있는 태고종 사찰. 불국사는 강남구에서는 봉은사를 제외하면 유일한 고찰(古刹)이나 지금 건물은 모두 한국전쟁 이후 새로 지은 것들이다. 인근에 헌인릉(獻仁陵)이 있어 조선 시대 왕릉과의 관련성도 추정해 볼 수 있다. 1353년(공민왕 2) 진정국사(眞靜國師)가 창건했다고 전하나, 고려 후기의 천태종 승려 진정국사 천책의 생몰년과 맞지 않고, 공민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본동 대모산 불국사에 있는 불전(佛殿) 약사전에 봉안된 약사불은 한 농부가 논을 갈다가 논 가운데서 불두(佛頭)가 나온 것을 발견하고 현 불국사로 옮겼다고 한다. 그래서 그 논은 부처논이라 하고 그 옆에 흐르던 실개천을 부처내, 불국사를 약사절이라 부르기도 한다. 강남구 일원본동 대모산 불국사 경내에 있다. 약사전이 처음 세워진 시기는 알 수 없다. 농부가 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학동사거리에 개관한 소극장. 청담동 학동사거리에 위치한 이곳은 공연장으로 몇 번의 변화가 있었다. 맨 처음에는 1996년 7월에 키네마극장이 개관하면서 공연장으로서의 변천이 시작되었다. 그리스어로 ‘영화관’이란 의미의 이름으로 개관한 극장은 당시로는 첨단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지하 2층, 3층의 1관과 지상 3층, 4층의 2관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관람객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VOV 사옥은 지음아키씬 건축사사무소의 오우근, 함은주가 설계를 맡고, 한울종합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골, 철근콘크리트, 철골철근콘크리트로 되어 있고, 외피는 유리와 버티컬 루버에 색깔 판넬을 적용하여 직사광선에 대비하였다. 대지면적은 394.10㎡이고, 건축면적은 232.15㎡이다. 용적률은 706.88%...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서 2003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1급 관광호텔. 블루펄 호텔은 강남구 청담동에서 개관하였으며 일본인 단골 고객이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블루펄 호텔은 비즈니스를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및 내국인 기업회원 고객을 위한 비즈니스 상품을 만들었다. 2박 투숙부터 조식을 무료로 제공하고, 한국 호텔 최초로 공항 픽업(pick-up) 서비스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해 있는 빌딩. 비젼타워는 2009년 12월에 준공되었다. 17층 높이의 빌딩으로 강남역 사거리 광장 동쪽 테헤란로에 진입하는 입구 북편에 우뚝 서 가시성과 시계성에 있어서 타 건물에 뒤지지 않는 형태를 자랑한다. 이 빌딩의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다. 사옥용 건물로써 회사의 홍보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서울도시철도 2호선...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BK빌딩은 1년 반 동안의 공사기간을 거쳐 2009년 1월에 준공되었다. 주 구조는 철골철근콘크리트이다. 비케이빌딩의 총 연면적은 2224.72㎡, 대지면적은 223.3㎡, 건축면적은 133.91㎡로 지하 3층, 지상 15층, 옥탑 2층 규모의 빌딩이다. 현재 병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휴게공간으로 빌딩의 꼭대기에 전망...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서 이뤄지는 모든 사교육 활동을 총칭하는 말. 강남구 중 특히, 대치동은 사교육의 상징적인 장소로서 흔히, “사교육 1번지”라고 불린다. 학원 왕국 대치동에는 총 300여개의 학원이 운영되고 있는데 서울도시철도 3호선 대치역에서 도곡역 사이에는 상가 건물을 중심으로 학원 간판이 빼곡이 자리를 채우고 있다. 은마아파트의 은마종합상가, 미도아파트의 미도상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의료관광을 위한 협회. 강남구청은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외국인 의료관광객을 유치하고 있으며, 2010년 전국 8만 1789명의 의료관광객 중 23%인 1만 9135명의 유치 실적을 올렸다. 사단법인 강남구 의료관광협회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소재 병·의원 의료서비스 홍보와 의료 질 향상을 위한 인프라구축 및 해외환자들에 대한 정보제공, 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의 교회. 사랑교회는 다음 세대를 준비하고 지역 사회를 책임지는 교회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사랑교회는 1981년 1월 4일 강남구 방배동 소라아파트 가동 801호에서 김중석 목사의 인도로 시작되었다. 1981년 8월 강남구 양재동 13-2호 2층으로 이전하였고, 1982년에는 사랑독서실을 개설하였다. 1984년 7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고용지원 서비스 활동, 보안 서비스 활동, 여행보조 서비스 활동, 사무지원 서비스활동 등의 사업 운영에 관련된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활동. 사업지원 서비스업을 더 세분하면 인력공급 및 고용알선업, 여행사 및 기타 여행보조 서비스업, 경비, 경호 및 탐정업, 기타 사업지원 서비스업으로 구분된다. 강남구의 2009년 기준 사업지원 서비스업 사업체 수는 총 92...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물의 형태를 영구적으로 기록하고 표현하는 예술 활동. 사진(寫眞, photography)은 빛이나 복사 에니지의 작용으로 감광성 물질[건판이나 필름] 위에 피사체의 반영구적인 영상(影像)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사진이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은 1880년대로 알려져 있다. 1894년 서울에 김규진이 차린 ‘천년당’이 사진관의 시초이다. 당...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불교의 신앙과 수행 및 교육을 위한 건물 사찰 즉 불교사원은 인도에서 유래한다. 석가모니가 살아 있을 때 마가다국의 빔비사라왕이 석가에게 보시한 죽림정사(竹林精舍)가 최초의 사원이다. 삼국에 불교가 전래된 뒤 국가에서 불교를 공인하는 것과 함께 사찰이 건립된다. 고구려는 375년(소수림왕 5) 소문사(肖門寺)와 이불난사(伊佛蘭寺)가 최초의 사찰이며 백제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과 동작구 동작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사평로의 명칭 유래인 사평원(砂平原)은 한강 쪽에 범람으로 퇴적한 넓은 백사장이며, 이를 통과하는 길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평로는 연장 3.8km, 폭 40m, 8차선 도로이다. 사평로는 강남구와 동작구 간 원활한 교통을 위해 건설되었다. 1966년 서울특별시고시 제1093호에 의해 46개 가로명을 처음 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시행되고 있는 주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광범위한 사회 정책. 사회복지는 광의의 제도적 개념에서는 사람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의 삶과 건강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일컫는다. 여기에는 공공 부조법, 사회 보험법 등과 같이 국민의 생활 안정 및 교육·직업·의료 등의 보장을 포함하는 복지를 추구하기 위한 제반의 활동이 전부 포함된다. 강남구청은 사회...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사회문제 해결이나 친목 등을 목적으로 결성한 단체. 사회단체의 개념은 광의로 사회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모인 결사를 총망라한다. 여기에는 친목회, 동창회, 지역모임, 향우회, 인터넷 커뮤니티, 자원봉사단체, 시민운동단체, 노조, 정당, 종교단체까지 영리 및 비영리 단체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협의의 개념으로는 시민사회단체를 일컫기도 한다. 보조금을 지급받...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장애인재활사업 중심의 사회복지법인. 사회복지법인 밀알복지재단은 한국 밀알 선교단을 모태로 장애인 재활복지 사업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장애인들의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인 장벽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돕고 사회통합과 복지실현을 실천하고 있다. 사회복지법인 밀알복지재단은 1979년 10월 한국 밀알 선교단을 모태로 탄생하였다. 199...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사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및 시설. 사회복지시설은 「사회복지 사업법」을 행할 목적으로 설치된 시설이며, 사회문제가 있거나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에게 생활 및 이용 등의 일정한 사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강남구청에서는 서비스 제공 대상자와 시설 규모, 서비스 기능에 따라 종합 사회 복지관, 자원 봉사 센터, 저소득층 복지 시설, 노인 복지 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주민의 삶의 질 제고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 강남구에 등록된 사회적 기업은 2011년 말 현재 총 40개에 달한다. 그 중 일반적 사회적 기업이 9개, 예비 사회적 기업이 4개, 그리고 지역형 사회적 기업이 1개이다. 그 외에 2010년 서울형[1~3차] 사회적 기업이 14개, 2011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삼성 육아종합지원센터는 강남구 삼성동 지역 주민들의 육아를 위해 도서와 장난감을 대여하고, 보육전문가에게 상담과 육아 정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0년 5월 14일 설립되었다. 삼성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주요 사업은 장난감 및 도서대여, 자유놀이실 및 책 놀이터 제공, 부모카페와 상담실 운영 등이다. 자유놀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재건축 아파트단지. 1994년 영동AID차관아파트 재건축사업을 현대건설이 수주하여, 1단지와 2단지로 나누어 계획되었다. 상당기간 난항을 겪었지만, 2008년 12월, 1단지 1,144세대와 2단지 926세대로 준공되어, 삼성 힐스테이트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삼성 힐스테이트는 1974년 건설된 삼성동 영동AID차관아파트가 재건축된 것...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1동에 위치한 건물. 삼성1동 문화센터는 2009년 9월에 준공 되었다. 지하 3층, 지상 7층의 건물이다. 총 연면적 6543.89㎡, 대지면적 1299.3㎡ 건축면적 632.42㎡이다.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근린생활시설이다. 이용 주민의 다양한 복지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문화 복지와 동 행정기능을 동시에 갖출 수 있게 설계됐다. 행정시설을 저층에 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삼성1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삼성1동 주민센터는 강남구 삼성1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삼성1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삼성1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삼성동은 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삼성2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삼성2동 주민센터는 강남구 삼성2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삼성2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삼성2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삼성동은 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1동과 송파구 잠실1동을 연결하는 교량. 삼성교는 강남구 삼성동의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260m, 폭 34.8m, 8차선 교량이다. 1970년대 잠실지구 신시가지개발계획의 일환으로서 강남구와 송파구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해 동아건설에 의해 준공되었다. 1975년 12월 24일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삼성교는 강남구 삼성1동 171와 송파구 잠실1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서 운영하는 관내 구립도서관 삼성도서관은 강남구청에서 운영하는 14개 구립도서관 가운데 한 곳이다. 삼성도서관은 강남구 지역주민의 독서진흥을 위해 설치, 운영하는 도서관으로 강남구청에서 통합·관리하고 있다. 삼성도서관은 2009년 10월 21일 삼성1동주민센터 동관 4층에 개관한 이후 현재에 이른다. 삼성도서관의 주요 사업은 소장 도서의 상호대차 서비스이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삼성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행정동인 삼성1동, 삼성2동으로 구성된 법정동이다. 테헤란로 주변으로 무역·금융의 경제 중심지가 밀집되어있고, 대단위 아파트 단지와 일반 주거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남구청사가 위치해 있는 강남의 중심 지역이다. 삼성동(三成洞)은 조선 시대 자연 마을인 봉은사마을, 무동도마을, 닥점마을 세 마을을 병합하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2000년 청담동성당에서 분할하여 본당이 설립되었다. 설립된 직후 임시가 아닌 완전한 성전건물을 조립식으로 건축하여 한때 도시의 신축성당건축의 모델로 평가받기도 하였다. 2년 후 추가 대지 매입하고 증축하였다. 대지가 협소한데다 첫 조립식 건물의 지하공간을 개발하지 못해 공간 부족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삼성동성당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과 개포동으로 이어지는 남·북으로 연결하는 도로. 삼성로의 명칭은 통과하는 길목에 있던 삼성동에서 유래하였다. 삼성로는 연장 5km, 폭 35m, 6차선 도로이다. 삼성로는 강남구의 남·북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 제268호로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 가로명 제정 때 영동5로로 이름 지어졌다. 이후 1976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건물. 삼성로 주유소는 2008년 12월에 준공되었다. 지상 2층의 일반 철골 구조로 이루어진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이다. 총 연면적은 903.53㎡, 대지면적 1506.1㎡, 건축면적 739.87㎡이다. 이 건물은 카페 공간, 편의 공간[인터넷, 휴대전화 충전, 각종사무지원], 휴게 공간 등의 시설을 제공하는 라운지(Lounge)가 있다. 서울...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둔 삼성그룹 계열의 생명보험업체. 삼성생명은 1957년 5월 동방생명으로 설립되었다. 1963년 7월 삼성그룹이 인수하였다. 1989년 7월 지금의 상호인 삼성생명으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 1993년 보험경영연구소[현재 금융연구소]를 개소하였다. 1996년 금융업계 최초로 ISO[국제표준화기구] 9002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인터넷 보험 상품 판매를 시작...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있는 대형 종합 병원. 삼성서울병원은 국민보건에 기여하는 새로운 의료문화 창조를 목표로 생명 존중의 정신으로 인류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3년 9월 한용철 초대 원장이 상주 근무를 시작하였고, 1994년 10월 462개 병상을 가동하며 일반인 진료를 시작하였다. 1997년 2월 성균관대학교와 교육병원 협정을 체결하였다. 삼성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강남구 관할 세무 행정 기관. 삼성세무서는 세법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집행하여 시민의 성실한 납세 의무를 이행하도록 지원하고, 국세 수입의 원활한 확보로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삼성세무서는 1993년 3월 강남, 개포 세무서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1997년 4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20-8로 이전하였고 1999년 9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72-66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2호선 지하철역. 삼성역은 서울도시철도 2호선 구간의 역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 교통 체계을 위하여 1982년 12월에 건설되었다. 삼성역은 플랫폼 길이 205m, 시설 규모 2층, 총 면적 6,447㎡이며, 1~8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시설로는 역무실 1개소, 수유방 1개소, 엘리베이터 4개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암 전문 병원. 삼성의료원암센터는 삼우종합건축의 손명기가 설계를 맡고, 삼성물산이 시공을 맡아 2007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알미늄판넬과 T30화강석, T24로이복층유리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148,571㎡이고, 건축면적은 9,023.73㎡이다. 용적률은 29.81%, 건폐율은 6.07%로 지하 8층, 지상...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증권사. 삼성증권은 1982년 10월 19일 한일투자금융으로 설립되었다. 1988년 한국거래소에 기업을 공개하였다. 1992년 삼성그룹에 편입되었다. 1991년 2월 국제증권으로 개칭하였다. 1992년 11월 삼성증권으로 개칭하였다. 1996년 런던, 1998년 뉴욕에 현지법인을 설립하였다. 1998년 국내 최초로 뮤추얼펀드를 판매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둔 삼성그룹 계열의 손해보험업체. 삼성화재해상보험의 모체는 1952년 1월 26일 부산광역시 대창동에 세워진 한국안보화재해상재보험이다. 1958년 2월 21일 삼성이 안국화재해상보험을 인수했다. 1962년 12월 20일 한국안보화재해상재보험과 안국화재해상보험을 합병하고 1963년 2월 25일 안국화재해상보험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63년 7월 11일 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섬유 관련 제조·판매 업체. 삼양통상은 다양한 용도의 피혁원단을 개발 생산하는 데 목적을 둔다. 1957년 10월 설립되어 1989년 11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5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1-2로 본사를 이전했다. 삼양통상은 핸드백·신발제조·카시트·BBG용 피혁, 야구글러브, AFB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주 생산품목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소재한 한식 전문점. 삼원가든은 1976년에 개점한 한식 전문점이다. 갈비, 불고기 요리를 비롯해 각종 일품요리[한우 육회, 한우 생등심 로스편채, 보쌈 김치, 양념게장], 식사메뉴[갈비탕, 냉면, 영양 돌솥밥 정식], 런치메뉴 등을 전문으로 한다. 한식 전문점 삼원가든은 1976년에 삼원정으로 개점하였다. 1981년에 본점 삼원가든이 압구정동에서 개점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종합건설업체. 삼일기업공사는 정밀시공과 세심한 공정관리를 통해 우수한 종합건설회사로 성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삼일기업공사는 1958년 2월 설립되었고, 1992년 11월에 장외주식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1993년 10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73-5로 본사를 이전했다. 삼일기업공사의 건축 사업은 업무용 빌딩, 상가, 병원, 학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서 1982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2급 호텔. 삼정관광호텔은 1982년 관광호텔로 개관하였으며, 2005년에 2층 규모의 컨벤션 센터를 신축하여 웨딩 갤러리를 만들었다. 2009년 9월에는 호텔을 개보수하고, 특2급 호텔로 승격되었다. 삼정관광호텔은 넓은 대지 위에 세워진 지상 12층, 지하 2층 구조의 본관 건물과 지상 2층의 신관 건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삼정빌딩은 2010년 8월에 준공되었다.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로 되어 있다. 총 연면적은 5556.76㎡이고, 대지면적 665.2㎡, 건축면적은 393.48㎡이다. 엘리베이터 1대를 운행하고 있으며, 총 주차대수는 18대 이다. 옥상정원 및 휴게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지하 4층, 지상 11층으로, 지하 1~2층은 일반음식점, 지하 4층은 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영동지역]를 서울을 구성하는 3핵 가운데 하나로 계획한 도시기본구상. 서울특별시는 1977년 4월 서울의 중심기능을 3개의 핵으로 분산하여 4대문 안의 단핵도심으로 이루어진 서울을 3개의 핵으로 나누는 ‘3핵 도시구상’을 담은 ‘서울도시기본구상’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강북도심은 국가의 중심, 영등포와 여의도의 영등포도심은 수도권의 산업중심, 영동지구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 삼화네트웍스는 세계 문화산업계의 리더를 목표로 설립되었다. 삼화네트웍스의 모체인 현대오토시스템즈는 1991년 10월에 설립되었다. 1993년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765-14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0년 디날리아이트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720-2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1년 1월에 주...
-
서울특별시 강남 지역은 1967년 경부고속도로 건설과 영동1지구와 영동2지구 사업이 시작되면서 개발이 본격화되어 88올림픽을 계기로 완성됨. 1963년 서울의 행정구역 확장이후 제시되었던 대서울계획이 실천에 옮겨지지 않았으나, 1967년 경부고속도로 건설과 1968년 1.21사태를 계기로 영동1지구와 영동2지구 사업이 시작되면서 강남개발이 본격화되어 88올림픽을 계기로 완성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소규모 신용협동기구. 새마을금고는 1963년 재건국민운동중앙회의 역점 사업의 일환으로 경상남도 지역에서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시행한 것이 효시이다. 1973년에는 비영리특수법인인 새마을금고연합회가 발족되면서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받아 발전하였다. 1977년에는 전국적으로 4만 2천 436개소의 새마을금고가 설립되었으나 이 시기를 기점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
-
새서울 백지계획은 1966년 8월에 발표된 강남 개발계획의 하나로 이는 무궁화 모양을 바탕으로 16,500만㎡나 되는 지역에 인구 100만명~150만명을 수용하기 위한 계획. 1966년 3월 새로 임명된 서울시장 김현옥은 1966년 8월 11일 기자회견을 자청한 자리에서 ‘새서울 백지계획’을 발표하였다. 당시 김현옥 시장은 새서울은 주택지구 40%[약 47,603,306㎡, 1,4...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서미앤투스는 1988년 청담동에서 시작하여 2000년 가회동으로 옮겨간 서미갤러리의 전신을 이어받아 2003년 청담동에 개관한 화랑이다. 예술적인 회화작업과 생활 속 실용성에 초점을 둔 디자인 영역을 크로스 오버하는 갤러리와 가구점이 혼합된 형태의 전시공간이 특징적이다. 현대 미술품을 비롯해 디자인 가구, 조명, 공예, 소품 등을 함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1972년 4월 한일이화(주)를 설립하였고, 1978년 한국자동차공업협동조합에 가입하였다. 1984년 1월 일양산업[현 NVH KOREA], 1987년 탑금속을 설립하였다. 2005년 중국에 북경한일과기유한공사를 설립하였으며, 2006년 인도 HANIL AUTOMOTIVE INDIA PVT. LTD와 2007년 (주)두양산업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척추전문병원. 서울 강남 우리들병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다. 서울 강남 우리들병원은 척추 디스크, 측만증, 분리증 등 척추질환 치료 전문병원으로 우리들병원 본원이다. 서울 강남 우리들병원은 사랑과 인류애를 바탕으로 척추질환의 고통과 마비로부터 온 인류를 구하고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세계 최고의 척추 건강 지킴이를 목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봉은초등학교의 교육목표는 바른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어린이로 지도하는 것이며 바른 행동을 실천하는 성실한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 그리고 소질과 꿈을 가꾸는 자랑스러운 어린이를 길러내는 것을 주요 교육 목표로 지정한다. 또한 서울봉은초등학교는 ‘맡은 일을 잘하자’라는 교훈을 가지고 있다. 1981년 12...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도산 공원에 조성된 안창호 묘. 1973년 11월 10일 도산 공원을 조성하고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했던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의 유해와 1969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별세한 부인 이혜련(李惠練)의 유해도 옮겨 와 합장하였다. 서울 안창호 묘소는 2012년 10월 19일 등록 문화재 제517호로 지정되었다. 신사동 도산 공원 안에 있다. 안창호는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우편·금융·체신 기관. 우체국은 국장의 지위에 따라 4급[서기관국], 5급[사무관국], 6급[주사국], 7급[주사보국]으로 분류되거나 기능에 따라 체신청, 우편집중국, 집배국, 무집배국으로도 분류된다. 또한 설립 주체에 따라 일반우체국, 별정우체국, 우편취급소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급과 5급 우체국은 총괄국으로서 기초 자치 단체 단위로 1국씩...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서울개원초등학교는 실력과 인성을 갖춘 자율적이고 창의적이며 도덕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 지표로 삼고 있다. 스스로 공부하고 창의적으로 생각하며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로 기르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또한 바른 생각과 착한 마음을 갖고 성실한 생활을 하는 것을 교훈으로 삼는다. 서울개원초등학교는 1982년 1월 6일에 설...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서울개일초등학교는 네 가지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째는 아이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둘째는 ‘독서, 토론, 논술교육’을 활성화 하는 것이다. 셋째는 ‘주체적으로 비만,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어린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마지막은 학교 자체에서 ‘과학, 환경 및 녹색 성장 교육기반 조성’하는 것이다. 서울개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서울개포초등학교는 세 가지를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첫째, 기본생활습관이 형성된 착한 어린이이다. 둘째, 자율적이고 창의적이며 지혜로운 어린이이다. 마지막으로 강인한 의지력을 지닌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다. 또한 ‘슬기롭고 튼튼하게 자라 자랑스러운 한국인이 되자’라는 교훈을 가지고 있다. 서울개포초등학교는 1983년 1월 1...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던 중소벤처기업 지원, 디지털문화콘텐츠, 패션 및 R&D 등 창조산업을 육성하는 서울특별시 출연기관. 서울산업진흥원은 지역균형개발 및 지방중소기업육성에 관한 법률 49조와 동법 시행령 53조, 민법 3장 및 서울산업통상진흥원 설립운영조례에 의해 중소기업의 경영여건을 개선하고,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있는 중소기업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구룡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행동이 바르고, 심신이 건강하며 실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는 데에 있다. 행동이 바른 어린이로 자라게 하기 위해서 미래를 개척하는 진로교육을 실시하고,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게 하며 예방 중심의 생활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심신이 건강한 어린이로 자라게 하기 위해서 내실 있는 건강교실을 만들고 심신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 서울논현초등학교는 세 가지의 교육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기초학력과 창의력을 갖춘 슬기로운 어린이를 양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맞춤식 교수·학습 및 평가를 하고 기초학력 책임교육을 강화하며 의사소통중심의 실용영어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노력한다. 두 번째는 배려하고 존중하는 참된 어린이를 길러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기독교 대한감리회 소속의 교회. 서울농아교회는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복음 전파를 위해 설립되었다. 서울농아교회는 1974년 3월에 시작되었다. 처음 명칭은 ‘돈암농아감리교회’로 돈암감리교회 교육관에서 시작됐다. 이후 1982년 4월에 삼선감리교회 교육관으로 이전하였으며, 같은 해 7월 강남구 도곡동에 교회를 독립[47평|155.371901㎡ 전세]했...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대곡초등학교의 교육목표는 바라는 학교상, 바라는 어린이상, 바라는 교사상으로 구분된다. 바라는 학교상에서는 어린이들을 인정하고 소중히 키우는 학교, 학부모와 지역사회로부터 신뢰받고 아낌을 받는 학교, 교직원들이 긍정적인 자아감 속에 보람을 느끼며 근무하고 싶은 학교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또한 바라는 어린이상으로는 꿈을 키우...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대도초등학교는 가슴이 따뜻하고 창의성이 풍부하며 건강한 어린이로 기르는 것을 기본 목표로 삼고 있다. 즉 바른 생활습관과 고운 심성을 지닌 어린이, 창의적인 탐구능력을 배양한 진취적인 어린이, 건강하고 자주적인 어린이가 되도록 교육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도초등학교는 ‘슬기롭게, 떳떳하게, 씩씩하게’라는 교훈을 가지고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 서울대명중학교의 교육목표는 4가지로 첫째, 예절과 규범을 잘 지키는 심신이 건강하고 조화로운 인성을 갖춘 민주시민을 육성하는 것이다. 둘째, 부지런히 배우고 실력을 쌓아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하는 세계인을 지향하는 것이다. 셋째, 잠재능력을 계발하고 재능을 키워 미래 사회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넷째, 이웃과 친구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대모초등학교는 실력을 갖추고 꿈을 가꾸는 어린이, 기본이 바로 되고 개성 있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감사할 줄 아는 어린이를 길러내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또한 대모초등학교는 ‘슬기롭고, 참되며, 건강하게’라는 교훈을 가지고 있다. 서울대모초등학교는 1994년 8월 6일 초대 박동한 교장의 취임하였다. 1994년 8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 서울대왕초등학교는 인성을 갖춘 어린이를 기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바른 생활 습관을 지도하고, 다양한 현장체험학습과 환경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실력 있는 어린이를 기르기 위해 교수학습·평가 방법을 개선하여 지도의 효율성을 높이고 과학교육을 활성화하고 정보화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도 노력한다. 마지막으로 튼튼한 어린이로의 성장을 위...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대진초등학교의 교육목표는 학생들을 심성이 곱고 바르며 풍부한 능력을 지닌 건강한 어린이로 교육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생각과 언행이 바르고 예절을 실천하는 어린이와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강인한 체력을 지닌 어린이를 추구한다. 그리고 새로운 것을 찾아 창의적으로 탐구하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로의 성장을 추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 서울대청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미래의 주역이 될 바른 인성과 실력을 갖춘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기초 실력이 튼튼한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로의 성장을 돕는 것이 목표이다. 또한 서울대청초등학교는 ‘튼튼한 몸으로 성실하게 배워 바르게 실천하는 어린이’라는 교훈을 가지고 있다. 서울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대치초등학교는 세 가지의 교육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목표는 다양한 체험을 하며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를 양성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 중심의 맞춤식 수업을 실시하고 문·예·체 중심의 수련 교육을 활성화한다. 두 번째 목표는 꿈을 키우며 미래를 개척하는 어린이로의 성장을 돕는 것이다. 체험 중심의 진로·상담 교육을 강...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대현초등학교는 튼튼한 어린이를 양성하는 것을 첫 번째 교육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실천 중심의 문·예·체 체험을 권장하고 줄넘기 급수제를 운영한다. 두 번째 교육목표는 슬기로운 어린이로 교육하는 것이다. 목표의 구현을 위해 기초학력을 책임 지도하고 과학교육을 활성화하며 독서토론논술교육을 강화한다. 마지막 목표는 행복한 학교 문...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 서울도곡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지·덕·체의 조화로운 인간 교육을 통하여 자아실현과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민주시민을 육성하는 것이다. 또한 교훈은 ‘튼튼한 몸, 밝은 마음, 슬기로운 사람’이다. 서울도곡중학교는 1990년 11월 21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1991년 3월 1일 초대 이우범 교장이 취임하였다. 3월 4일 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도곡초등학교는 네 가지의 교육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째는 학생들이 자율적·창의적 학습태도를 갖게 하는 것이다. 둘째는 더불어 사는 공동체 의식을 갖게 하는 것이다. 셋째는 바른 인성과 기본생활습관을 기르는 것이다. 넷째는 기초 체력 특기를 기르는 것이다. 또한 교훈은 ‘슬기로운 어린이, 성실한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 이다. 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도성초등학교는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창의적이며 남을 배려하는 어린이를 육성하여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를 기르는 명문 도성을 만드는 것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또한 서울도성초등학교는 ‘튼튼하고 예의바르며 창의적인 어린이’라는 교훈을 가지고 있다. 서울도성초등학교는 1981년 6월 13일 설립인가를 받아 9월 30일에 개교하였다.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공립 특성화고등학교. 서울로봇고등학교는 21세기 지식 정보화 및 세계화된 사회를 이끌어 갈 능력 있는 기술인을 길러 미래에 행복한 삶을 영위하도록 창조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기술인 육성,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민주 사회인 육성,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주, 자애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서울로봇고등학교는 근면[부지런한 생활태도를 몸에 익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무역 전시장.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라고 불리기도 하는 서울무역전시장[SETEC]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설립하여 운영하다가 현재는 서울산업진흥원[SBA]이 운영을 맡고 있다. 정부는 1997년부터 전시사업 활성화를 위해 전문 전시관을 세우는 계획을 추진하다가, 1999년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산업자원부와 서울시의 협력 하에 무역전시장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보증보험 전문회사. 서울보증보험은 1969년 대한보증보험으로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정부 투자기업이었던 대한재보험공사가 중심이 되어 각종 보증 업무를 전담하기 위해 설립된 보험회사이다. 1974년 국제보증보험협회, 1978년 범미보증보험협회(汎美保證保險協會), 1979년 미국보증보험협회에 차례로 가입하였다. 1986년 전 지점을 온라인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2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삼릉초등학교는 미래를 이끌어 갈 실력과 창의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교육목표로 삼았다. 서울삼릉초등학교가 추구하는 어린이상은 바르게 배우며 슬기롭게 생각하고 꿈을 키워가는 어린이, 바르게 행동하고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어린이, 꿈을 키우고 자기 주도적으로 노력하는 어린이를 길러내는 것이다. 또한 교훈은 ‘...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 있는 공립 혁신 초등학교. 서울세명초등학교의 교훈은 ‘꿈꾸는 어린이, 참되게 배우며 자라는 어린이, 함께 사는 세상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우정이 있는 학교, 학생을 교육 활동의 중심에 두는 학교, 배움과 삶이 연결되는 학교를 추구하고 있다. 2012년 8월 30일 건물이 준공되어 9월 1일 10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고 동시에 서울형 혁신 학교로 지정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 서울세종고등학교는 창의와 혁신으로 인류에 기여하는 세종인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나는 하나님을 사랑합니다. 나는 사람을 사랑합니다. 나는 학교를 사랑합니다. 나는 일함을 기뻐합니다. 나는 이 일을 하기 위하여 늘 기도 합니다’이다. 1945년 5월 학교법인 서울여자학원을 설립하였고 1958년 12월 28일 수도여자사범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수서초등학교는 지·덕·체를 고루 갖춘 어린이를 길러내는 것을 첫 번째 교육 목표로 삼는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학력 향상 책임 교육, 독서 교육의 활성화, 그리고 체육시설을 활용한 다양한 체육 건강교육을 실시한다. 두 번째 목표는 개성과 특기를 닦는 어린이이다. 이를 위해 방과 후 학교의 운영을 활성화하고 문화 예술체험교육을 장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탄천으로 유입되는 하수처리 시설. 서울시 탄천물재생센터는 강남구를 비롯하여 강동구, 송파구, 서초구, 경기도 하남시, 경기도 과천시 일대의 하수처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0년 3월 14일 법인을 설립하여 3월 25일에 서울특별시와 탄천 환경 위·수탁 계약을 체결하여 4월 1일부터 탄천물재생센터 관리·운영을 개시,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신구초등학교는 꿈을 키워가는 학생, 건강한 학생, 슬기로운 학생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는다. 서울신구초등학교는 1981년 11월 3일 개교하여 1983년 2월 28일 제1회 졸업생 522명을 배출하였다. 1983년 3월 1일에는 교육부 지정 영재교육 시범학교로 선정되어 2년간 운영되었다. 2001년 12월 22일에는 개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압구정초등학교는 튼튼한 몸과 착한 마음으로 창의력과 소질 적성을 익혀 21세기의 주역이 될 민주시민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는다. 기본 생활 습관이 바른 착한 어린이, 창의력과 소질 적성을 잘 기르는 똑똑한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를 길러내는 것을 중점으로 한다. 또한 서울압구정초등학교는 ‘착하고 똑똑하며 튼튼...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양전초등학교는 네 가지의 교육목표 하에 운영되고 있다. 첫 번째 목표는 ‘바른 인간 교육’이다. 기본생활규범의 습관화 교육과 민주시민의 기본소양교육을 강화하여 목표를 실현하고자 한다. 두 번째 목표는 ‘능력 있는 인간 교육’에 있다. 창의성 교육과 탐구학습을 통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력과 정보화 소양을 제고하고자 한다. 세 번째 목...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 서울언북초등학교는 세 가지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다.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키워가는 창의적인 어린이를 길러내는 것이 첫 번째 목표이다. 목표의 실현을 위해 독서·토론교육의 내실화, 영어교육의 활성화,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을 추진하고 있다. 두 번째 목표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가 되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이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언주초등학교가 목표하는 어린이상은 큰 꿈의 날개를 펼치는 어린이이다. 꿈의 두 날개 중 첫 번째는 ‘인성의 날개’이다. 이를 위해 겸손함과 배려를 교육하는데, 품위 있는 실내생활로 배려하는 마음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두 번째 날개는 ‘실력의 날개’이다. 경청을 제일 중요시하는데, 방과후학교의 내실화로 실력과 소질을 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역삼초등학교는 세 가지 교육목표를 내세우고 있다. 첫 번째 목표는 ‘기초 학습 교육의 충실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지닌 어린이’로 교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력신장을 위한 학습지도 방법을 적용하고, 수준별 교육 및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지도하며 독서지도를 내실화한다. 두 번째 목표는 ‘기본이 바르고 남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의 교회. 서울영동교회는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 장로회 교회이다. 1976년 6월 17일 이재억 집사 집에서 손봉호 박사, 장로 김경래, 집사 신세훈, 집사 이재억 등 10명이 모여 창립했다. 1977년 신세훈·권옥선 성도로부터 논현동 88-2 소재 860㎡[260평]을 헌납 받아 예배당을 이전했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영희초등학교의 기본적인 교육 목표는 튼튼한 몸과 슬기로운 생활로 바른 인성과 기본 학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남을 배려하는 아름다운 학생, 창의력과 탄탄한 학력을 갖춘 슬기로운 학생, 몸과 마음이 건강한 씩씩한 학생, 꿈과 자랑을 키우는 글로벌 학생을 육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또한 서울영희초등학교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왕북초등학교는 학력과 창의성을 갖춘 실력 있는 어린이, 바른 인성을 갖춘 예절 바른 어린이, 강인한 심신을 단련하는 건강한 어린이를 길러내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항상 새롭게 탐구하고 자기의 소질을 계발하고 신장시켜야 한다. 또한 예절바른 생활로 바른 인성을 지니고, 근검절약하고 협동봉사를 해야 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율현동에 있는 혁신 초등학교. 서울율현초등학교의 교훈은 ‘어울려 함께 크는 따뜻한 배움터’이다. 함께 배우며 삶을 가꾸고 서로를 배려하며 즐겁게 생활하는 어린이, 어린이의 전면적 발달을 지원하고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교사, 참여하고 공부하는 학부모가 되는 교육을 지향한다. 2014년 7월 10일 서울형 혁신 학교로 지정되었고 8월 28일 27학급 418명이 편성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일원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슬기롭고[지(智)] 성실하며[덕(德)] 튼튼하게[체(體)] 어린이들을 길러내는 것이다. 따라서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어린이, 사랑하는 마음과 바른 인성을 갖춘 어린이, 튼튼한 몸과 마음으로 스스로 실천하는 어린이를 지향한다. 또한 서울일원초등학교는 ‘슬기롭고 성실하며 튼튼한 어린이’라는 교훈을 가지고 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유·초·중·고등 공립 특수학교. 서울정애학교의 교훈은 ‘건강하고 즐겁게 스스로 생활하자’이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 스스로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학생, 이웃을 사랑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학생, 장애 극복의 의지와 능력을 가진 학생을 키우는 것을 교육 목표로 두고 있다. 2000년 1월 15일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가 통합된 형태의 서울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었던 노·사·공익 3자로 구성된 합의제 행정기관으로 독립성을 지닌 준사법적 기관. 서울지방노동위원회는 노동관계에서 발생하는 노사 간의 이익 및 권리분쟁을 신속하고 공정하게 조정·판정하는 기관이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는 서울 지역 내 사업장에서 다툼이 발생한 부당해고, 부당노동행위, 차별시정 등의 사건을 판정하고, 임금단체협상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동쟁의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청담초등학교의 교육목표는 슬기롭게 배워 실천하는 어린이, 푸른 꿈을 가진 성실한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다. 교육목표의 구현을 위해 자기주도학습의 역량을 강화하고,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기도 하며 스포츠 친화적 활동을 활성화한다. 또한 서울청담초등학교는 ‘알차게 배우고 굳세게 자라서 바르게 행하...
-
서울특별시 교육행정기관 소속의 강남구와 서초구를 관할하는 지역 교육행정기관. 서울특별시 강남교육지원청은 강남구와 서초구를 관할하는 지역교육행정기관이다. 강남 지역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 교육기관의 교육력을 극대화하고, 학교 현장을 지원하며 지자체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등 지역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관련 행정을 지원한다. 서울특별시 강남교육지원청은 교육의 자주성 및 전문성...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아동복지전문기관.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센터는 「아동복지법」 및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조례」에 의거해서 아동보호, 아동지도, 아동복지 증진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센터는 1963년 3월 대한양연회 서울특별시 지부로 설립되었다. 1965년 1월 서울특별시 아동상담소로 개칭하였다. 1965년 5월 서울특별시 중구 북창...
-
1974년 3월 30일자 서울특별시에게 시행을 명한 강남구 일대[영동제2지구 (추가)토지구획정리 사업]의 도시계획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하여 제정한 조례. 1974년 서울특별시는 영동 제2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지구가 추가됨에 따라 이 사업을 원활히 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절차, 방법, 및 사업비 부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는 별도의 조례를 만들어 운영하였다. 이는 1999년...
-
1973년 서울특별시가 강남구 일대[영동제2지구 및 영동 추가지구]의 도시계획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하여 제정한 조례. 1973년 서울시는 영동토지구획정리사업이 영동 제2지구, 추가지구로 확대됨에 따라 이 사업을 원활히 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절차, 방법, 및 사업비 부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는 별도의 조례를 만들어 운영하였다. 이는 1999년 1차 개정을 거쳤으며, 2005...
-
서울특별시가 1968년 한남대교 남단 강남구 일부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위해 제정한 조례. 1968년 서울시는 영동토지구획정리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이 사업을 원활히 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절차, 방법, 및 사업비 부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는 별도의 조례를 만들어 운영하였다. 이는 1999년 1차 개정을 거쳤으며, 2005년에 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서울시는 제3한강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종합 스포츠센터. 서울특별시립강남주민편익시설는 2001년에 준공하여 2002년 1월 개관하였다. 2005년 2월에 서울특별시가 흥사단을 수탁법인으로 선정하여, 흥사단이 주민의 편익과 복지에 도움이 되도록 서울특별시립강남주민편익시설를 운영하고 있다. 건설 사업비로 94억2천3백만 원이 소요되었다. 서울특별시립강남주민편익시설는 자원 회수 시설 영향 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여성 노숙인 요양시설. 서울특별시립 여성보호센터는 서울특별시청에서 사회복지법인 제대한구세군유지재단에 위탁하여 운영하고 있는 여성전문보호시설이다. 서울특별시립 여성보호센터는 여성 부랑인들의 의식주 해결 및 심리, 정서, 재활의료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자존감 향상과 건강유지를 도모하고 자립의 기반을 마련하여 정상적인 사회복귀를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서...
-
서울특별시 강남구 포이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포이초등학교의 교육목표는 꿈을 키우는 어린이를 양성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큰 뜻을 세워 미래를 지향하는 어린이, 남과 다른 나를 만드는 어린이,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그리고 기초가 튼튼한 실력 ‘슬기롭게 배우며[창의] 튼튼한 몸으로[건강] 스스로 제 몫을 다하자[자율]’라는 교훈을 가지고 있다. 서울포이초등학교는 1990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 서울학동초등학교의 교육목표는 학교 교육공동체 모두가 주인이 되어 자율적이며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학력 신장을 위한 교육, 꿈과 사랑이 가득한 인권·진로·적성 교육을 수행하는 데 있다. 또한 열린 행정을 구현하여 학생, 교사, 학부모가 즐겁고 신뢰하는 학교를 경영하는 데 있다. 또한 서울학동초등학교는 소통하고 배려하는 창의적인 민주시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과 서초구 방배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서초로는 이 길이 지나는 서초구 서초동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서초로는 연장 4.2km, 폭 40m, 8차선 도로이다. 강남구와 서초구를 연결하는 동·서 방향 교통을 담당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981년 서초1로로 불리게 되었으며 1984년 11월 구간 연장과 함께 서초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2년 현재 서초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지역 주민이 공직에 임용될 사람을 직접 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행위. 일반적으로 선거는 ‘일정한 조직이나 집단에 있어서 특정의 지위에 취임할 사람을 그 조직이나 집단 구성원들이 집합적인 의사표시를 통하여 선정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즉 다수인이 일정한 직에 취임할 사람을 선출하는 행위인 것이다. 따라서 선거는 반드시 국가기관의 선임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공동주택 단지. 선경아파트는 선경건설이 시공을 맡아 1985년 4월 16일에 준공을 마쳤다. 선경아파트는 대치동 학원가에 면한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506, 대지 7만 8,661㎡에 선경1차아파트와 선경2차아파트로 나누어져 있다. 선경1차아파트는 14층 규모 건물 7개동으로, 단위세대는 102㎡ 140가구, 138㎡ 168가구, 158㎡ 252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과 개포동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도로. 선릉로는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삼성동 산 45-169에 조선 시대 제9대 왕인 성종과 정현 왕후의 능인 선릉이 있는 데서 유래하였다. 선릉로는 총 연장 6.3km, 폭 25m의 4차선 도로이다. 선릉로는 강남구의 남·북간 원활한 교통 소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 제258호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2동 143-42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2호선·분당선 지하철역. 선릉역은 인근에 조선 시대 제9대 왕 성종과 그 계비 정현 왕후 윤씨를 모신 선릉과 11대 왕 중종을 모신 정릉이 있어 이곳의 이름을 따서 선릉역이라 이름 지었다. 선릉역은 서울도시철도 2호선·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선릉역은 1982년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던 청도선진사료, 선진미트농업 등의 자회사를 가진 지주회사. 선진지주는 선진의 축산물 관련 브랜드를 육성하고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9년 8월 설립되어 1992년 8월에 식육 유통사업에 참여했고, 1994년 1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4년 1월 선진-비나를 설립하여 베트남 사료시장에 진출했다. 2012년 12월 26일 하림홀딩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천주교도들의 공동체 또는 의례 및 집회 장소. 성당이란 영어의 church를 번역한 것으로, 주로 구교[가톨릭, 정교회]와 성공회의 교회를 지칭한다. ‘교회’는 신앙공동체를 뜻하기도 하고, 또는 교회의 예배와 모임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장소, 건물을 뜻하기도 한다. 개신교회에서는 건물을 말할 때 예배당 또는 교회당이라 하는데 비해 가톨릭에서는 지역 공동체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전문건설업체. 성도이엔지는 우수한 기술로 반도체 클린룸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성도이엔지의 모체인 성도엔지니어링은 1987년 3월 설립되었다. 1999년 11월 성도이엔지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0년 1월 장외주식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성도이엔지의 주요 사업은 클린룸 사업과 플랜트 사업이다. 클린룸 사업에서는 반도체사업부문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율현동에 있는 장애인복지관. 성모자애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자애종합복지원에서 1999년에 개관하여 운영하고 있는 장애인종합복지관이다. 성모자애복지관은 장애인의 행복한 삶을 위한 사랑의 복지구현과 지역 장애인의 복지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성모자애복지관은 1998년 초대 김영숙 관장이 취임하였고, 1999년 10월 성모자애복지관으로 개관하였다. 2000년 5월 성...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과 성동구 성수동을 연결하는 교량. 성수대교는 한강의 11번째 교량이며 조형미를 살리기 위해 국내 최초로 거버 트러스[Gerber Truss]형식으로 가설되었다. 1994년 9월 21일 중간 부분이 붕괴되는 참사가 일어나 많은 인명사고가 났다. 이후 1997년 복구·재개통되었다. 성수대교는 교량이 연결하는 성수동의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성수대교는 연장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청소년 전문 상담소. 성신 아동청소년 교육상담소는 2004년 11월 아동 및 청소년 학습 상담과 진로상담, 학교 생활상담 등을 목적으로 개소하였다. 성신 아동청소년 교육상담소는 성인 상담으로 개인 상담, 가족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며, 교육 상담으로 아동 상담, 청소년 학습 상담, 맞춤형 진로 상담, 학교생활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프로그램으로 심리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개관한 공연장. 성암아트홀은 201석 규모의 공연장으로서 각종 장르의 공연을 올릴 수 있으며 연습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객석은 수납식으로 필요에 따라 인출, 수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된 것이 특징이다. 성암아트홀에서 올려진 공연으로는 2006년 11월에 올려진 뮤지컬 「우리동네」가 있는데 연극으로 잘 알려진 미국 극작가 손톤 와일더의 「우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기독교 대한감리교 소속의 교회. 성은교회는 1974년 대치동 280에서 박성로 목사에 의해 시작된 교회이다. 1979년에 대치동 234의 21로 이전하였다가, 1990년 대치동 645로 이전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성은교회는 ‘예배하는 공동체’, ‘선교하는 공동체’, ‘교육하는 공동체’, ‘봉사하는 공동체’를 비젼으로 설립되었다. 성은교회는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 장로회[합동] 평동노회 소속 교회. 성지교회는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는 교회로, 성숙한 그리스도의 제자 되어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1년에 송파구 잠실동 김종수 전도사 자택에서 21명이 모여 시작되었다. 11월에 강남구 삼성동 154-4를 임대하여 이전하였고, 같은 해 12월에 대한 예수교 장로회 동서울 노회 소속 성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율현동, 자곡동 일원에 보금자리주택 건립을 위해 지정한 주택지구. 2009년 국토해양부는 2012년까지 그린벨트 내에 보금자리주택 32만 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에 따라 내곡, 세곡2 등 서울 강남 2곳과 부천 옥길, 시흥 은계, 구리 갈매, 남양주 진건 지구 등 수도권 4곳의 총 889만7천㎡를 2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했다. 이는 서울 도심[광화문]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과 경기도 성남시를 연결하는 교량. 세곡교는 교량이 통과하는 세곡천(細谷川)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동쪽에 세곡2교가 위치함에 따라 세곡3교로 이름 지어졌다. 연장 37.8m, 폭 34.5m, 8차선 교량이다. 강남구 세곡동과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 사이 세곡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영에 의하여 준공되었다. 1979년 2월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세곡3교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 일원에 국민임대주택 공급을 위해 지정한 주택단지 예정지구. 서울특별시는 2005년 12월 「국민임대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제5조 및 이에 관한 시행령 제5조 제6항의 규정에 의하여 국민임대주택 공급을 위해 강남구 세곡동, 자곡동 일원 544,134㎡에 13,272인, 4,740세대를 수용할 계획으로 세곡2지구 국민임대주택단지 예정지구로 지정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구립도서관 강남구청이 운영하는 14개 구립도서관 가운데 한 곳이다. 세곡도서관은 강남구 지역주민의 독서진흥을 위해 설치, 운영하는 도서관으로 강남구청이 통합·관리하고 있다. 세곡도서관은 2003년 6월 27일에 개관하였다. 2009년 1월에는 도서관 리모델릴 공사와 도서도난방지 시스템을 설치하였다. 2019년에는 다시 도서관 리모델링 공사를 하였다. 202...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세곡동(細谷洞)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는 법정동이다. 대부분 개발제한구역이며, 8개 마을로 이루어진 도농복합지역이다. 세곡동 동명은 1914년 행정구역을 조정하면서 옛날의 자연마을 명칭인 세천리(細川里)와 은곡동(隱谷洞)의 ‘세’자와 ‘곡’자를 각각 따서 세곡리라 하였다. 세곡동은 조선 후기까지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세천리, 은곡동 지역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세곡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세곡동 주민센터는 강남구 세곡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세곡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세곡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세곡동의 동명은 1914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슬기롭게, 아름답게, 부지런하게 감성[Sense]·도덕성[Morality]·예술성[Art]·준법성[Regulation]·협동성[Togetherness]을 실천하여 타인을 배려하고 소통하며 이웃과 더불어 살며 베풀 줄 아는 사람으로 성장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데 교육의 목표가 있다. 2012년 12월 27일 서울특별시립학교 설치 조례(제5...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장애 청소년 교육시설 밀알학교 내 연주홀. 세라믹팔레스홀은 장애 청소년 교육시설인 밀알학교 내 복합문화공간인 밀알 콤플렉스[설립자 홍정길, 대표 원경자] 지하 2층에 자리하고 있다. 전문 연주자와 음악애호가 그리고 지역사회에 개방된 연주홀이다. 2003년 10월 13일에 개관했는데 첫 공연으로 토너스 트리오 연주회를 열었다. 세라믹팔레스홀의 총 좌...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가로수길 후면의 특색 있는 거리. 서울도시철도 3호선 신사역의 8번 출구의 도산공원에서 150m 거리에 있는 가로수길의 양옆 골목을 따라 흩어져 있는 길을 세로수길이라고 한다. 서울도시철도 3호선 압구정역 5번 출구의 신구초등학교 방향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다. 현재 특색 있는 음식점과 카페들이 주로 입지해 있다. 세로수길의 명칭 유래는 두 가지가 있다. 세로는 가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축전지의 제조·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업체. 세방전지는 뛰어난 품질의 축전지 메이커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52년 9월 해군기술연구소를 모태로 설립되어 1978년 9월 세방전지로 상호를 변경했고, 1987년 11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3년 5월 현재 소재지인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8-8 세방빌딩으로 본사를 이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컨벤션 별관에서 2006년에 개장한 한국형 카지노. 세븐럭[Seven Luck] 카지노는 한국관광공사의 자회사인 GKL[Grand Korea Leisure]이 운영하고 있다. 설립 목적은 관광객 유치 증진과 외화획득 증대, 한국 카지노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이익금의 관광인프라 구축, 사회공헌 활동을 통한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우리나라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2010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1급 관광호텔. 논현동에 자리 잡은 세울스타즈 호텔은 주변의 대형 호텔보다 저렴한 숙박비로 차별성을 가지는 이코노미 비즈니스 호텔이다. 서울특별시는 관광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 2008년부터 호텔의 재산세 50%를 감면해 객실 요금 인하를 가능하게 하고, 2009년부터는 관광호텔 신축시 용적률 20%를 완화해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던 금융전문 지주회사. 세종텔레콤의 모체인 세종그룹은 1990년 7월 26일 설립된 홍승기업에서 시작되었다. 1997년 12월 9일 세종기술투자를 설립하고 세종증권을 설립해 금융전문회사로 탈바꿈하기 시작했다. 1998년 8월 4일 세종증권[구 동아증권]을 인수하였다. 1999년 7월 12일 세종투신운용[구 동서투신운용]을 인수하였다. 1999년 12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 있었던 자연마을.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의 대왕초등학교가 있는 세곡동로터리 부근에 가느다란 개울인 세곡천(細谷川)이 있었고, 이 개울가 주변에는 세천마을이 있었다. 마을 명칭은 이러한 환경에서 유래하였다. 세천마을이 있었던 세곡동은 조선 후기까지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세천리였다. 세곡동이라는 명칭은 1914년 일제가 행정구역을 조정하면서 당시의 자연마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건물. 세컨드호텔 사옥은 야마사키 코리아의 상대정이 설계를 맡고, 천호균이 시공을 맡아 2004년에 완공하였다. 삼각형대지에 자리 잡은 이 건물은 사선 제한을 디자인 모티브로 사용하여 mass가 마치 사선으로 잘려나간 형태를 하고 있다. 외부는 노출콘크리트와 커튼월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255.5㎡이고, 건축면적은 124.26㎡이다. 용적률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건물. 섹터 사옥은 구정회건축연구소의 구정회가 설계를 맡고, 한글종합건설에서 시공을 맡아 2004년에 완공하였다. 섹터 사옥은 하부 노출콘크리트 매스에 상부 내후성강판 매스가 맞물린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가벽이 설치되고 돌출과 관입을 꾀하면 면 분할된 매스들로 인해 실질적인 규모보다 커 보이는 인상을 받는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던 의약품 개발과 제조 및 판매업체. 셀트리온제약은 국민보건 향상과 사회에 공헌하는 초일류 제약기업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셀트리온제약의 모체인 엠비즈 네트웍스 글로벌은 2000년 11월에 설립되었고, 2006년 2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7년 7월 코디너스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9년 7월 셀트리온제약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9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건축가 정영한의 작품 셰이드 컨테이너는 건축가 정영한의 작품으로 2005년에 완공되었다. 건물의 본체는 컨테이너 형식의 간단한 유리 건물이지만 그 위 표면에 음영[셰이드(shade)]을 지게 만들어 장식 효과를 낸 작품이다. 본체는 새로 지은 것이 아니고 기존의 낡은 건물을 개축했다. 즉 기존 건물 위에 콘크리트를 덧씌워 본체를 만든 건물이다. 그 위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교회. 소망교회는 1977년 11명의 성도가 모여 곽선희 목사 삼일기도회 모임으로 시작됐다. 1978년에 상가교회로 옮겼고, 1981년 현재 위치에 교회건물을 지었다. 1978년에 기존의 예배당을 증축하여 새 예배당을 지었으며, 1991년엔 수양관을 건축했고, 2000년엔 분당 새벽기도처를 개소했다. 2003년엔 지금의 김지철 목사가 담임목사가 됐...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각종 상품을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소매 활동에 대한 개황. 서울특별시 강남구는 계획적으로 개발된 지역으로, 남부의 그린벨트지역을 제외하고는 직교상의 넓은 가로망이 발달하였다. 강남구에는 제조업의 분포는 거의 없으며 전체적으로 주택지역이 고르게 분포하였다. 특히, 강남대로변의 신사동, 논현동, 역삼동 주변과 압구정로 주변의 압구정동, 테헤란로 주변의 삼성동 지역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했던 상업화랑. 소미갤러리는 2008년 4월에 개관한 상업화랑이다. 소미갤러리(Gallery Somi)는 개관 기념전인 ‘Young & Beautiful’을 시작으로 2008년 5월 ‘Master and Disciple exhibition’을 열었으며 같은 해 6월에는 ‘추종완 개인전’, 8월에는 ‘FUMAN STORY SHOP - 평키한 리얼리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지주사업 등을 주력하는 업체. 솔본은 온·오프라인을 통합한 사업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미래의 가치를 높여나가 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9년 8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3년 11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66-4로 본사를 이전했다. 2004년 3월 솔본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솔본은 기존의 유무선 국제전화, 인터넷 전화 사업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건물. 솜씨빌딩은 구정회건축연구소의 구정회가 설계를 맡고, 동원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3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마천석과 슬레이트석으로 마감하였다. 내부는 노출콘크리트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334.2㎡이고, 건축면적은 200.16㎡이다. 용적률은 254.67%, 건폐율은 59.89%로 지하 1층, 지상 6층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영상물 배급 및 배급 대행업체. 쇼박스는 재미와 감동을 전달하는 영화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쇼박스는 미디어플렉스로 1996년 6월에 설립되었다. 2006년 7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10년 6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174-15로 본사를 이전했다. 2015년 6월 상호와 브랜드를 통일하기 위해 (주)쇼박스로 상호를 변경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수도공업고등학교의 교훈은 ‘성실, 협동, 정밀’이다. 경성전기학교는 전기기술자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24년 3월 1일 설립 인가, 1924년 10월 15일 설립되어 개교하였다. 1962년 4월 수도공업고등학교로 개칭하였다. 1977년 9월 특수목적[한국전력 사원양성] 고등학교로 지정되었다. 1978년 3월 수도전기공...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요리 전문 출판업체 수도출판문화사는 요리 전문 출판업체로 1965년에 개설한 수도요리학원과 자매회사이다. 음식과 조리법에 관한 서적을 주로 출판한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배출하는 조리기능사 및 산업기사 자격시험 대비를 위한 수험서 발간에 특히 주력한다. 수도출판문화원은 조리법 등 요리 관련 서적을 통해 전문 조리사를 배출하고 외식전문가 양성에 기여하고자 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건물. 수빈아카데미의 수빈아트인빌딩은 종합건축사사무소 온고당의 안우성이 설계를 맡고, 예간종합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7년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마감은 전벽돌로 하였다. 대지면적은 343.80㎡이고, 건축면적은 206.10㎡이다. 용적률은 198.92%, 건폐율은 599.5%로 지하 2층, 지상 4층으로 되어 있다. 현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대규모의 공동주택 단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일대가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해 1989년 3월 28일자 「건설부 고시 제 123호」에서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되었고, 1991년 1월 23일자 「건설부 고시 제26호」로 택지개발계획이 승인되었다. 1993년 4월 30일 택지조성공사가 준공하였고, 1996년 8월 2일 개발 사업 완료 공고를 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택지개발지구에 위치한 공동주택 단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일대가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해 1989년 3월 28일자 「건설부 고시 제 123호」에서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되었고, 1991년 1월 23일자 「건설부 고시 제26호」로 택지개발계획이 승인되었다. 1993년 4월 30일 택지조성공사가 준공하였고, 1996년 8월 2일 개발 사업 완료 공고를 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택지개발지구에 건설된 임대아파트단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일대가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해 1989년 3월 28일자 「건설부 고시 제 123호」에서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되었고, 1991년 1월 23일자 「건설부 고시 제26호」로 택지개발계획이 승인되었다. 1993년 4월 30일 택지조성공사가 준공하였고, 1996년 8월 2일 개발 사업 완료 공고를 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강남구 관할 치안 행정 기관. 서울수서경찰서는 강남구 관내의 치안 유지 및 구민의 생명·재산 보호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1992년 4월 10일 서울수서경찰서 신설계획에 대한 경찰청의 승인이 요청되었고, 1996년 1월 20일 강남구 개포동 14에 서울수서경찰서를 착공하였다. 1998년 2월 19일 서울수서경찰서가 개서되었다.[강남서 6개 파출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수서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법정동과 행정동이 모두 수서동이다. 주거지역과 업무 및 상업지역이 공존하는 지역이다. 수서동(水西洞) 동명은 한강의 지류인 탄천 서쪽 마을인 데서 유래되었다. 수서동은 조선 태조의 아들 무안 대군과 후사 광평 대군의 묘소가 있기 때문에 궁말 또는 궁촌이라고 불렸다. 수서동의 연혁을 살펴보면, 조선 후기까지 경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수서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강남구 수서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수서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수서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수서동의 연혁을 보면, 1914년 3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서 1992년에 설립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수서동성당은 1992년에 본당으로 설립되었으며, 1993년 현 위치에 성당신축공사를 착공하여 1996년에 준공하였다. 1994년 일원동성당을 분가하였으며, 사제관을 건축 후 1999년에 성전을 봉헌하였다. 2002년 10월 22일 본당설립 10주년 기념행사를 하였다. 수서동성당은 지역 신앙공동체의 설립...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종합사회복지관. 수서명화종합사회복지관은 강남구청에서 설립하여 사회복지법인 자선단에 운영 위탁한 수서 지역 사회복지시설이다. 수서명화종합사회복지관은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내의 아동, 청소년, 노인 등 지역주민의 문제를 예방 치료하고 지역 주민의 복지증진을 목적으로 종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수서명화종합사회복지관은 19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택지개발지구에 위치한 공동주택 단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일대가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해 1989년 3월 28일자 「건설부 고시 제 123호」에서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되었고, 1991년 1월 23일자 「건설부 고시 제26호」로 택지개발계획이 승인되었다. 1993년 4월 30일 택지조성공사가 준공하였고, 1996년 8월 2일 개발 사업 완료 공고를 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728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3호선과 분당선의 지하철역. 수서역의 유래가 되는 ‘수서’는 이 지역의 서쪽에 한강이 흐른다 하여 수서리라 하였고, 예전부터 일원동과 같이 변천해왔다. 수서역은 서울도시철도3호선과 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수서역은 1993년 10월 개통하였으며, 1994년 9월 분당선이 확장...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종합사회복지관. 수서종합사회복지관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의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을 기반으로 종합적인 복지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강남구청에서 설립되었다. 수서종합사회복지관은 1992년 11월 강남구청에서 설립하였고, 세이브 더 칠드런 코리아가 위탁 운영하고 있다. 1993년 6월 재가복지봉사센터를 개설하였고, 1996년 6월 취업정보센터를 설치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영구 임대 아파트. 정부의 200만호 주택건설계획에 따라 대한주택공사[현 한국토지주택공사]는 도시영세민을 대상으로 하는 영구임대주택 18만호를 건설하도록 계획하였다. 1989년 영구임대주택을 처음 착공하기 시작하여, 1990년 10월부터 입주가 시작되었다. 수서주공아파트 역시 이 정책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1992년 10월 입주가 시작되었다. 수서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수서중학교는 꿈을 갖고 도전하는 건강한 학생, 배움의 즐거움으로 행복한 학교를 교육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실력을 갖춘 학생, 창의적인 학생, 건강한 학생을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한 사람, 건강한 사람, 창조적인 사람이다. 수서중학교는 1992년 12월 31일 설립인가를 받고 3월 1일 초대 이상섭 교장이 취임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일대 택지개발을 위한 택지개발촉진 사업 지구. 수서택지개발지구는 1989년 3월 21일 지구로 지정되어 1991년 1월 23일 서민주택건설에 필요한 택지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서울특별시의 주택난 해소와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으로 국민주거생활 안정과 복지향상에 기영한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계획면적은 1,345,099㎡이며, 인구 61,600인, 주택 호수...
-
서울특별시 강남구 329 장지~수서 간 도시고속도로에 설치된 도로시설물. 이 차도가 접하는 수서동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245m, 폭 21m, 6차선 지하차도이다. 수서지하차도는 수서·장지 간 도시고속도로를 건설함에 있어 신호대기 없는 빠른 교통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1997년 12월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수서·장지 간 도시고속도로를 연장하고 있다. 지하화를 통...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청소년 수련관. 수서청소년수련관은 사단법인 한국청소년세상에서 서울특별시청으로부터 위탁 받아 운영하고 있는 강남구에 있는 청소년수련시설이다. 수서청소년수련관은 세계화, 지식정보화, 문화화의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 참여기회를 제공하여 개방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제고하고 창의적 사고를 갖춘 청소년을 육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수서청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주변의 수입 명품 자동차 거리. 수입차 하이웨이는 청담동에서 압구정동 사이 3.3㎞ 구간에 다수의 명품차 전시장이 입지한 거리이다. 1987년 자동차 수입 개방과 함께 메르세데스 벤츠를 판매하던 ‘한성자동차’가 최초로 전시장을 청담동에 개장하면서 시작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폭스바겐과 아우디 전시장이 들어섰으며, 최근에는 명품차로의 이미지를 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하고 있는 영화제작사. 수필름[대표이사 민진수]은 2004년에 설립한 영화제작사로 설립 이후 8편의 영화를 제작했다. 2005년에 민규동 감독의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을 시작으로 2007년에 김희정 감독의 「열세 살 수아」, 2008년에 민규동 감독의 「앤티크」, 2009년에는 변혁, 허진호, 유영식, 민규동, 오기환 감독의 「오감도」와 홍...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는 국제 경쟁력을 갖춘 국가 인재의 양성, 다면적 사고를 할 줄 아는 창의적 사고의 신장, 더불어 살아가는 올바른 인성을 지닌 인간성 확립, 질서와 청결을 강조하여 생활하는 학교 환경의 수립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숙명여자고등학교의 교훈은 ‘밝고 다습고 씩씩하게 나라를 사랑하자, 민족을 사랑하자, 자기와 가정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사립중학교 숙명여자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자기와 가정과 학교를 사랑하고,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는 미래 지향적인 시민을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밝고 다습고 씩씩하게 나라를 사랑하자, 민족을 사랑하자. 자기와 가정과 학교를 사랑하자’ 이다. 1906년 5월 22일 고종의 비 엄비로부터 대지, 건물, 경비를 보조받아 사립 명신여학교(明新女學校)를 용동궁...
-
여행객의 일시적 숙박을 위해 제공되는 강남구 소재의 시설과 그에 따르는 서비스의 총칭. 강남구의 숙박시설로 대표적인 것은 관광호텔이다. 관광호텔은 관광객의 숙박에 적합한 시설을 갖추고 숙박에 딸린 음식·운동·오락·휴양·공연 또는 연수에 적합한 시설 등을 함께 갖추어서 관광객에게 이용하게 하는 시설을 말한다. 관광호텔이 되기 위해서는 「관광진흥법」과 동법 시행령에 의거하여 욕실이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시조직을 형성하고 있는 격자형 도로에 둘러싸인 대형 가구(街區). 슈퍼블럭(Super block)은 대형 가구 또는 초가구로 일컬어지고 있는데, 이 개념은 1928년 라이트와 스타인에 의해 계획된 미국 뉴저지의 래드번(Radburn)에서 처음 사용된 이후부터 래드번 시스템 또는 래드번 아이디어로 불리며, 각국의 뉴타운과 커뮤니티 계획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것...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법인 금융기관. 스마트저축은행은 1973년 창립 이래 초 우량저축은행으로 성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010년부터는 대주주인 대유에이텍 그룹과 함께하고 있다. 스마트저축은행은 1973년 서민과 중소기업의 금융편의를 도모하고 저축을 증대할 목적으로 설립된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지역금융기관이다. 금융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스마트저축은행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하고 있는 법인 금융기관. 스카이저축은행은 1972년 서민과 중소기업의 금융편의를 도모하고 저축을 증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지역금융기관이다. 스카이저축은행은 1972년 12월 30일 자본금 5억원으로 동신상호신용금고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설립당시에는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에 위치했다. 1973년 1월 1일 상호신용금고업[서울...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건물. 스타타워는 위드종합건축의 서용근이 설계를 맡고, 아우라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7년 완공하였다. mainmass와 2개의 작은 mass가 중심마당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가 이루어져 있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라임스톤, 더글러스소나무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645.7㎡이고, 건축면적은 333.70㎡이다. 용적률은 194.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스타팅빌딩은 전재근, 권영주, 고종관이 설계를 맡고, 구산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하였다. 지하 3층, 지상 15층으로 상부로 진행될수록 넓어지는 거친 질감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외부는 T=24로이복층유리, T=24 저반사복층유리, T=30 화강석물갈기, 편마암[솔레이트] 켜쌓기, T=6 AL, 복합패널로 마감했다. 주구조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외국계 민영은행. 스탠다드차타드제일은행은 일제 강점기 때인 1929년 7월 1일 조선저축은행으로 출발하였다. 해방 이후 공기업으로 편입되었다. 상호가 1950년 5월 한국저축은행으로 상호를 바꿨다. 1958년 12월 제일은행으로 변경되었다. 1956년 3월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0년 1월 정부는 은행 민영화계획에 따라 지분 50.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스페이스 씨는 기용건축 건축사사무소의 정기용이 설계를 맡고, 서남종합건설에서 시공을 맡아 2003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고, 외부 마감은 제물치장 콘크리트, AL복합판넬, THK24 복층유리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575.7㎡이고, 건축면적은 319.6㎡이다. 용적율은 290.57%, 건폐율은 42.86%로 지하 3층,...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운송관련 플랜트장비 제조 및 판매 업체. 스페코는 플랜트 분야에서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스페코는 1979년 2월 신생플랜트로 설립되었다가 1997년 9월 스페코로 상호를 변경했다. 1997년 11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0년 2월 벤처기업으로 지정되었다. 스페코는 플랜트 설비...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준성당 평신도 단체인 서울 가톨릭 시각장애인 선교회로 1979년 출발하여 2011년 2월 (준)본당으로 승격되면서 시각장애인 (준)성당으로 신설되었다. 주보성인은 치유의 대천사인 라파엘[시각장애인의 수호천사]이며 주일 11시에 미사를 본다. 미사 후 복지관 식당에서 미사에 참례하신 모든 분들과 점심 식사를 한다. 언제든지 본...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고령자 친화형 전문 카페. 시니어카페는 보건복지부와 강남구청과 민간 기업이 참여한 고령자친화형 전문기업으로 노인일자리를 창출을 위해 2011년 12월 14일 설립되었다. 시니어카페는 북 카페, IT카페와 연계해 노인들의 문화교류와 소통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바리스타 교육 등 노인 일자리 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시니어카페는 2...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생육하고 있는 식물의 종류. 식물상은 일정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모든 식물의 종명(種名)을 동정(同定)하여 나타낸 것을 말한다. 따라서 한국의 식물상과 같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기도 하고 강남구의 식물상과 같이 국지적으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식물상은 지역별로 종 구성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강남구의 식물상은 크게 산림, 산림 주연부, 하천, 공원녹지로 구분한다. 강...
-
영화산업의 중심지로 급부상한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를 일컫는 말 충무로가 영화산업의 본거지가 된 것은 1950년대 말 ‘서라벌 영화사’라는 영화제작사가 충무로에 자리를 잡으면서였다. 1960년대에 들어 명동에 자리하고 있던 몇 개의 제작사가 임대료 상승으로 충무로로 이주하면서 상영관, 촬영, 현상, 음향, 조명 등 관련업체가 모이게 되었고 충무로는 그 이후 영화산업을 상징하는 명칭...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신구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사고력·문제해결력·창의력 신장을 통한 실력 있고 바른 인성을 지닌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또한 교훈은 ‘정답고 슬기롭고 씩씩한 우리’이다. 신구중학교는 1988년 2월 2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8년 3월 1일 초대 이효철 교장이 취임하였고, 3월 3일 제1회 입학식이 진행되었다. 1991년 2월 12일 제1...
-
서울특별시 강남구 교보타워 사거리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9호선 지하철역. 신논현역은 서울도시철도 9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2009년 7월 건설되었다. 신논현역은 지하 3층, 1~7번 출구로 구성되어있다. 내부시설로는 역무실 2개소, 물품보관함 1개소, 엘리베이터 5개소, 에스컬레이터 22개소, 화장실 1개소가 위치해 있다. 지하철 이용...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 주민에게 시사에 관한 뉴스와 생활정보·지식·광고 등을 전달하는 정기 간행물 신문은 특정한 조직체가 뉴스나 정보를 수집, 처리, 제작하여 신문지라는 특정한 대중매체를 통해 독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제공하고, 독자의 정신적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대가로 이윤을 추구하는 동시에 공공성을 지닌 문화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일컫는다. 서울특별시 강남구에는 주로 커뮤니티 단위...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일부 구간으로 포함하는 광역철도 신분당 노선. 신분당선의 경우 BTO[Build-Transter-Operate]사업으로서 준공과 동시에 소유권은 국가에 귀속되며, 사업자는 운영권을 확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국내 최초 중전철 무인운전 시스템으로 모든 운행 및 차량 상황은 양방향 무선통신 열차제어[CBTC]방식을 기반으로 종합관제센터에서 원격으로 자동 조정·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병원건물. 신사 미타워는 MAP종합건축소사무소의 이강혁이 설계를 맡고, 신성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했다. 주 구조는 RC, SRC이고, 외부는 커튼월과 스타코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975.40㎡에 건축면적이 572.14㎡이다. 용적률은 747.16%, 건폐율은 58.55%로 지하 7층, 지상 18층으로 되어 있다. 전 층이 의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422에 위치한 근린공원. 신사공원은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이 조성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신사공원은 1977년 7월 9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5년 5월 5일에 개장하였으며 2007년에 공원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였다. 신사공원의 면적은 6,800㎡이다. 마...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신사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는 법정동이다. 강남 지역의 교통 관문이며 인구의 집결지이다.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신사동(新沙洞) 동명은 한강변에 있던 새말과 사평리의 이름에서 각각 따와 신사리라 한데서 연유한다. 신사동은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령」제111호에 의거 경기도 구역 획정 때 새말, 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의 신사동주민센터에서 TBWA 건물까지의 655m 구간. 신사동 가로수길은 압구정 로데오 거리, 청담동 갤러리 거리처럼 문화와 쇼핑이 어우러져서 지역의 장소성을 형성해가며 활성화되고 있는 거리이다. 신사동 가로수길은 계획 가로에 의한 인위적인 물리적 공간 조성이 아닌 갤러리와 패션, 디자인 관련 시설에 의해 자생적으로 성장해온 상업가로로서 상업화가 현재 급속...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복합시설 건물. 신사동 복합시설은 건축가 승효상이 설계를 맡고, 거현산업이 시공을 맡아 2005년에 완공되었다. 법규가 허용하는 가장 큰 직육면체를 세운 후 서쪽 벽체를 떼어내서 길의 경계에 세우고 그 사이공간을 이용하여 주 출입계단을 만들었다. 외피는 주로 현무암, THK24투명복층유리, THK15목재널, 노출콘크리트로 마감하였다. 신사동 복합시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신사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신사동 주민센터는 강남구 신사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신사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신사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신사동은 조선 시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신사동 제이씨빌딩은 건축사사무소 엠비의 최강훈, 박근만이 디자인을 맡고 엔씨종합건축이 시공을 맡아 2009년 완공되었다. 코아를 뒤쪽으로 후퇴시키고 6m 도로 쪽 저층부[1~3층]정면은 1층을 제외하고 노출콘크리트로 처리하고, 4m 도로 쪽은 전면 유리로 처리하여 양측을 대비시키고 있다. 상부는 저층부와 반대로 처리하여 대비시켜 전체적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상설시장. 신사시장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상설시장이다. 전체 점포 33개 중, 임차 중인 점포는 31개, 빈 점포는 2개이다. 점포 임차 상인은 31명, 종업원은 34명으로 총 종사자 수는 65명이다. 신사시장 동일상권 내 경쟁업체로는 400m 거리의 금강상가와, 1km 거리의 현대백화점이 있다. 신사시장은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667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3호선 지하철역. 신사역의 유래가 되는 신사동은 1914년 새말[新村]과 사평리(沙平里)의 두 마을을 합칠 때 각각 첫 글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신사역은 서울도시철도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1985년 10월에 건설되었다. 신사역은 플랫폼길이 205m, 시설규모 2층, 총 면적 7,...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대표적인 사무실 밀집 지역. 신사역 사거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대표적인 사무실과 각종 시설 및 기업들이 밀집된 지역이다. 북쪽으로는 강북을, 서쪽으로는 서초구를 잇는 중요한 교통 기점으로 역 주변에는 먹자골목이 형성되어 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의 형성은 강남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그 시원을 찾을 수 있다.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강남의 도시구조가 완성되고, 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 신사중학교의 교육목표는 21세기를 주도할 한국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게, 알차고 꾸준하게’ 이다. 신사중학교는 1984년 1월 9일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84년 3월 1일 김문숙 교장이 취임하였으며, 3월 5일 제1회 입학식이 진행되었다. 1987년 2월 13일 제1회 졸업식이 거행되었다. 2005년 3월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패션비즈니스 전문기업. 1980년 10월 25일 설립된 한국유통산업연구소를 모태로 하며 1995년 신세계 인터내셔날로 사명을 변경했고 2011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 2015년 5월에 기존 청담동 5개 빌딩에 흩어져 있던 사업부를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449[청담동 97-5] 청담빌딩으로 이전을 완료하고 5월 6일부터 신사옥에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하고 있는 법인 저축은행. 저축은행은 국민대중의 비교적 영세한 저축성 예금을 흡수하는 금융기관으로 저축을 장려하기 위한 자선사업으로 시작되었는데, 신안저축은행은 1972년 10월 법인회사로 설립되었다. 신안저축은행은 설립이후 서민 및 중소기업, 상공업자 등을 주요 고객층으로 하여 재산증식과 수요자 금융을 원활하게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신안저축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증권사. 신영증권은 1956년 2월 25일 설립되었다. 1985년 신영증권 본사를 중구 명동에서 현 여의도 사옥으로 이전하였고, 1987년 증권 거래소에 상장하였다. 1991년 업계 최초로 자동 계좌 이체 업무를 실시하였다. 1992년 IT센터를 개설하였고, 1996년 신영 투자 신탁 운용을 설립하였다. 2001년 투...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비영리 금융기관. 신용협동조합은 신용협동기구의 하나로 우리나라의 신용협동기구는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농·수·축협 단위조합의 상호금융을 포괄하고 있다. 신용협동기구는 조합원에 대한 저축편의 제공과 대출을 통한 상호간의 공동이익 추구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중 신용협동조합과 상호금융은 1972년 8월 공포된 「신용협동조합법」에 의거 영위되고, 새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옛 경기도 광주군] 출생의 독립 운동가, 정치가. 신익희(申翼熙)의 본관은 평산, 자(字)는 여구(如耉), 호는 해공(海公), 해후(海候), 중국에 체류 중에는 왕방평(王邦平), 왕해공(王海公), 왕방우(王邦牛) 등의 별명을 사용하였다. 장례원경을 지낸 신단(申檀)과 그의 넷째 부인 동래 정씨 정경랑(鄭敬娘)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신단은 7남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종합 건설회사. 안락하고 윤택한 주거공간을 제공하여 올바른 건축문화 구현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신일건업은 1979년 10월 설립되어 1989년 11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7년 11월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8-5로 본점을 이전했다. 2015년 3월 10일 현재의 위치인 강남구 삼성동 35-32 대영빌딩 3층으로 사옥을 이전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관련하여 새로 생긴 말.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사회·문화적 특징을 잘 드러내는 신조어로 ‘복부인’, ‘프리미엄’, ‘오렌지족’, ‘교육특구’, ‘강남키즈’이 있다. 시기적으로 ‘복부인’과 ‘프리미엄’은 1980년대를 전후해 생겨났고, ‘오렌지족’은 1990년을 전후해 생겨났으며, ‘교육특구’와 ‘강남키즈’는 2000년 전후에 생겨났다. 이들 어휘는 모두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강남구[옛 경기도 광주군] 출신의 독립 운동가, 서예가, 정치가. 신하균는 9세 때 중국으로 건너가 수학하고 중국 국민정부 관리로 근무했다. 태평양 전쟁 이후에는 광복군에 입대하여 독립 운동에 투신했다. 해방 뒤 한때 사업가로 일했으나 아버지 신익희(申翼熙)가 사망한 이후 그 뒤를 이어 정계에 투신했다. 서예에도 일가를 이루었다. 신하균의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1918...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증권사. 신한금융투자는 1973년 4월 2일 효성증권으로 설립된 후 1983년 9월 쌍용그룹에서 인수하여 1983년 12월 효성증권에서 쌍용투자증권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4년 12월 뉴욕, 동경에 사무소를 설치하였으며 1985년 6월과 8월에 미국의 메릴린치사, 일본의 다이와증권사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1986년 런던에 사무소를 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신한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 은행.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신한은행은 국내 금융사상 처음으로 재일교포가 주축이 된 순수 민간자본에 의하여 설립된 은행이다. 1977년 재일동포들은 일본 현지에서 사업 확장이 어렵게 되자, 재일한국인 본국투자협회를 설립했다. 1981년 9월 설립된 신한금융개발이 10월 신한은행으로 인가를 받았다. 1982년 6...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신한금융지주의 자회사 금융업체. 신한캐피탈의 모체인 신한리스는 1991년 설립되었다. 1993년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금 100억 원을 추가로 늘린 뒤 1991년부터 자동차 리스를 시작했다. 1994년 주식을 코스닥시장에 등록했다. 1998년 「여신전문금융법」 시행에 따라 할부금융, 신기술가업금융 및 기타 부수업무를 사업목적에 추가하였다.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대규모 공동주택 단지 현대산업개발의 전신인 한국도시개발이 사업주체를 맡아 1980년 12월 사업승인을 받고, 1983년 6월에 준공했다. 2012년 현재 한강변 전략정비구역으로 지정되어 재건축사업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신현대아파트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426, 현대백화점 압구정점과 현대고등학교 사이에 들어서 있으며, 1,924가구로 단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550에 위치한 근린공원. 싸리고개공원은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산지 형 공원으로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이 설치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싸리고개공원은 1997년 3월 21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7년 5월 1일에 개장하였다. 싸리고개공원의 면적은 1만 5,073㎡이며, 산지 형 공원이다. 공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영화 투자 및 제작·보급사. 싸이더스[대표이사 이한대]는 1995년에 설립된 투자 배급사 및 영화 제작사이다. 싸이더스는 1995년에 우노필름으로 시작하였다. 창립작 김상진 감독의 「돈을 갖고 튀어라」를 필두로 1996년에 김상진 감독의 「깡패수업」을 제작했다. 1997년에는 김성수 감독의 「비트」, 박기영 감독의 「모텔 선인장」을 제작하였다.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SEDEC사옥은 공간종합건축의 강희성, 강성인이 설계를 맡고, 만동이 시공을 맡아 2007년에 완공하였다. 2개의 mass로 나뉘어 그 가운데를 다리로 연결하고 있다. 대로에 면한 정면은 전체적으로 THK 30석재로 마감하고, 배면의 mass는 THK24 복층유리로 마감하여 Void와 Solid의 대비를 보여주고 있다. 주구조는 철근콘크리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영화관. 씨네씨티는 아키반 건축도시연구원의 김석철이 설계를 맡고, 현대건설에서 시공을 맡아 2002년에 완공되었다. 입방체로 외부를 C-Black, 스테인레스 스틸, 복층유리를 사용하여 마감하였다. 주 용도가 공연장이므로 로비 이외에 창을 두지 않으며, 로비층에는 원형창을 두었다. 대 도로에 면해 15층 본관건물이 놓이고 그 뒤로 4층 별관 건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케이블 방송 씨앤앰 강남 케이블TV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에 케이블 TV방송국 17개를 소유한 씨앤앰[C&M]의 자회사이다. 씨앤앰[C&M]은 수도권 최대 규모의 복수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이다. 씨앤앰 강남 케이블TV는 강남구민에게 케이블 방송TV와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인터넷전화 등의 편익을 제공한다. 1994년 정부로부터 강남구의 종합유선방송사업자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의약품 제조 및 판매 등 제약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CMG제약은 생명존중을 바탕으로 신약 개발을 통해 모든 인류가 고르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세상을 만들고자 설립되었다. CMG제약은 2001년 8월 1일에 에머슨퍼시픽에서 기업 분할하여 피엠케이라는 상호로 설립되었고, 2001년 8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3년 10월 24일 경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영화관. CGV청담시네시티는 2011년 10월에 개관하였다. 기존의 씨네시티 건물을 단장하여 재탄생한 곳이다. 개관 기념으로 강남구청이 후원하는 ‘강남 한류 페스티발’에 참여해 ‘한류스타 한국영화 기획전’을 기획하여, 10월 9일~10일 양일간 「아저씨」, 「놈놈놈」, 「포화 속으로」, 「써니」, 「즐거운 인생」, 「김종욱 찾기」, 「야수」, 「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개관한 미술관. 씽크씽크 어린이 미술관은 어린이 그림책 기획사 겸 출판사로 2004년에 개관하였다. 전시, 체험 및 ThinkBox 시스템을 통한 미술활동으로 어린이 창의력개발 및 문화향유를 위한 교육센터이다. 전시실은 두 달에 한 번씩 전시가 바뀌는 1층 기획 전시실과 2층의 상설 전시실로 나뉜다. 전시는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상상력을 개발할 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유아 의류 및 용품 전문 도매업체. 아가방앤컴퍼니는 출산, 육아의 기쁨과 행복을 제공하는 기업이 되고자 설립되었다. 아가방앤컴퍼니의 모체인 보라유통은 1979년 4월 2일에 설립되었고, 1980년 아가방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84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67-14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2년 1월 17일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아뜰리에. 아뜰리에 OOJUNGA는 건축사사무소 KOMA의 이은석이 설계를 맡고, 나래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6년에 완공되었다. 전체가 불투명한 외벽으로 되어 있는 전면의 상층부와 달리, 도시 가로를 향하고 보다 상업적인 전시공간이 요구되는 1,2층은 전면이 유리 벽면으로 열려 내부의 기능이 온전하게 가로를 향하게 노출된다. 외관은 전체적으로 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오피스 빌딩. 아르누보 씨티는 모우종합건축사사무소의 이한명이 설계를 맡고, 삼환기업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되었다. 아르누보 씨티는 도시 스카이라인(Sky Line)을 고려해 인접 건물과 높이를 일정히 하였으며, 하부의 근생 시설, 중·상부의 오피스텔 부분, 최상부의 스카이라운지 부분에 석재의 색상 및 디테일을 통하여 입면의 분리를 주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총 5회에 걸쳐 주최한 강남구 아름다운 건축물에서 지정된 건축물. 강남구청은 건축 문화가 도시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인식에 따라 추진 중인 ‘디자인 폴리스 강남’의 일환으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강남구 ‘아름다운 건축물’을 선정하고, 선정된 작품을 삼성동 코엑스에서 매해 전시해 왔다. 5년간 130개의 작품이 선정되었다. 강남...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아름빌딩은 1999년에 설립한 아름건축사사무소의 사옥으로 2003년 2월에 신축한 건물이다. 아름빌딩은 2002년에 설계를 하고 2003년에 완공된 건물이다. 건물이 서 있는 대지의 면적은 186.80㎡[56.40평]이고 연면적은 422.53㎡[127.80평]이며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이다.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며 마감은 내부의 경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DVR용 영상처리 칩의 제조 및 판매업체. 아미노로직스는 대한민국의 제약 및 바이오 강국 진입을 위한 새로운 길을 만들기 위해 설립되었다. 아미노로직스의 모체인 에이로직스는 1997년 9월 설립되었다. 2000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50-2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4년 6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9년 9월 현상호인 아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섬유·의복 소매업체. 아비스타는 패션문화산업의 대표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2000년 11월 설립되어 2006년 12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2년 1월에 런칭한 여성 영캐주얼 브랜드 ‘BNX[비엔엑스]’는 현재 전국에 100개 이상의 독립매장을 운영중에 있다. 2004년 4월에는 영캐릭터캐주얼 브랜드 ‘TANKUS[탱커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골판지원지 제조 및 판매업체. 아세아제지는 21세기 세계적인 종합 제지 메이커가 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아세아제지의 모체인 삼양지업은 1958년 3월 설립되었다. 1985년 10월 아세아시멘트공업에서 경영권을 인수하였고, 1987년 1월 아세아제지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8년 12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1년부터 2006년까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2000년 ASEM[아시아유럽 정상회의]회의 개최 장소로 이용된 임대를 위주로 하는 업무시설. ASEM타워는 2000년 ASEM[아시아유럽 정상회의]회의 개최를 위한 지원시설로서 사용되어졌으며, ASEM회의 후에는 임대를 위주로 하는 업무시설로 이용되고 있다. ASEM타워는 대규모 국제회의 및 전문전시회 등에 필요한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아시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I.S.A.빌딩은 종합건축사사무소 도가의 김유성이 설계를 맡고, 레정테크가 시공을 맡아 2003년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고, 외부 마감은 투명유리와 노출콘크리트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1,129.90㎡이고, 건축면적은 677.35㎡이다. 용적률은 298.27%, 건폐율은 59.95%로 지하 2층, 지상 8층으로 되어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산업재 B2B 전자상거래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아이마켓코리아는 산업재 B2B 전자상거래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아이마켓코리아는 2000년 12월에 법인 설립되었으며, 2010년 5월 강남 삼성동빌딩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10년 7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아이마켓코리아는 구매에서부터 관리까지 전반에 걸쳐 온라인상에서 B2B[...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국내 최초의 건설 건자재 법인. 아이에스동서는 1975년 9월 벽제콘크리트로 설립되었다. 1976년 4월 동서산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6년 1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8년 7월에 현재 상호인 아이에스동서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8년 7월 일신건설산업과 합병하였다. 2012년 3월 중국법인인 이누스도 자유한공사를 설립했다. 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매니저업 및 드라마제작업체. IHQ의 모체인 유영산업은 1962년 8월 설립되어, 1971년 11월 20일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219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73년 12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설립 당시에는 국내외 무역과 각종 물품 판매업을 영위하는 회사였지만, 1980년 태평양화학공업, 1997년 거평그룹에서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사업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2007년에 개관한 아이엠아트는 미술품 상업전시장으로 미술품 전시 외에도 음악공연장으로도 이용되는 문화예술공간이다. 지상 2, 3층에 수용인원 150명 정도, 면적 184㎡ 규모의 전시장을 두고 있다. 아이엠아트는 2005년 홍익대학교 부근에서 시작되었다. 프랑스 살롱 문화를 빌려온 공간이었는데 그 공간이 현재 아이엠아트의 기반이자 갤러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지문인식기술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품의 제조 및 판매업체. 아이이는 안전하고 편리한 사회 실현을 위해 최고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도업체를 목표로 설립되었다. 아이이의 모체인 미양상사는 1977년 6월 설립되었고, 1980년 개나리벽지로 상호를 변경했다. 1994년 10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1995년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인터넷 핵심 망 및 접속 망 구축사업체. 아이크래프트는 최고의 기술력을 갖춘 글로벌 네트워크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아이크래프트는 2000년 1월 설립되었다. 2000년 6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467-24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277-32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2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129-11로 본사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온라인게임 제작 업체. 아이톡시은 건전한 게임문화를 창출하고, 전 세계인이 공감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아이톡시의 모체인 트라이글로우픽쳐스는 1999년 12월에 설립되었고, 2002년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3년 7월 예당엔터테인먼트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2005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609에서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IT 관련기업들이 집적한 서울도시철도 2호선 삼성역에서 서초역에 이르는 테헤란로 일대. 서울도시철도 2호선 삼성역에서 서초역에 이른 약 10여㎞의 8차선 도로 주변에 1990년대 중반 이후 소프트웨어업체, 인터넷업체 등 IT관련기업들이 집적하기 시작하여, 1997년 외환위기 이후 4~5년 사이에 IT기업, 금융기관, 대기업 본사, IT지원기관 들이 급속하게 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공동주택. I-Park는 건원종합건축이 설계를 맡고, 현대산업개발이 시공을 맡아 2004년에 완공하였다. 초고층 탑상형 아파트를 시도한 사례로 순수 아파트로서 기존 일자형의 획일적 아파트 배치에서 탈피하여 주상복합 건물의 편리성과 아파트 주거성의 장점을 결합시켜 제시한 새로운 주거형태이다.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알미늄커튼월, 24mm L...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에이피디씨 사옥 건물. 아이파크타워는 하우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의 문홍길이 설계를 맡고, 현대산업개발이 시공을 맡아 2004년에 완공했다. 직육면체 건물에 정면 에 거대한 원형의 불투명 바와 원안에 ‘아이파크’의 건축적 표현이 가미된 선과 불투명 유리 상자들로 표현되어 있다. 외관은 THK24 복층유리, 알루미늄 쉬트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하고 있는 법인 금융기관. 아주저축은행의 전신인 하나로 저축은행은 1972년 충북서울무진으로 설립되어 40여 년 동안 충청북도 청주시와 충주시 지역의 대표적인 금융기관으로 성장하였다. 2012년 2월 아주캐피탈에 인수되었고, 대주주가 변경되면서 상호를 아주저축은행으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아주저축은행은 1972년 서민과 중소기업의 금융편의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공동주택 양식의 하나. 「주택법」에 따르면 공동주택은 건축물의 벽, 복도, 계단이나 그 밖의 설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각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각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한다. 「건축법 시행령」에는 아파트를 공동주택 중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으로 정의하고 있다. 아파트와 유사한 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의 대규모 아파트단지 조성을 위해 지정하는 「도시계획법」상 용도지구 중 하나. 제3차 경제개발계획이 추진되던 1970년대 초반에는 서울 강남 지역 개발정책과 도시주택난 해소정책이 맞물리면서 대규모 아파트단지 개발이 급속히 확산되었다. 이에 아파트단지의 규모는 더욱 대형화되었고, 단지구성과 배치수법 등 계획·설계기법도 다양화되었으며, 건물의 층수도 점점 고층화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기독교 대한감리회 소속의 교회로서 1979년 강남구 도곡동에서 시작되었다. 안디옥교회는 참 그리스도인이 되는 교회를 목표로 설립되었다. 1979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416-6호 남서울종합상가 3층 2호실 46평을 전세로 계약하고 교회를 시작했다. 1980년 1월에 대치동 161-6 성창상가 2층, 다음 해 1월에 대치동 161-6 성창상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 위치한 단독주택. 안진당은 유일건축사사무소의 임해인이 설계를 맡고, 손경일이 시공을 맡아 2002년에 완공하였다. 입방체로 외관은 라임스톤, 시다목, 스터코로 마감하였다. 2층 상부의 경사진 파라펫 처리를 하고 있다. 대지면적은 419㎡이고, 건축면적은 156.65㎡이다. 용적률은 51.49%, 건폐율 37.39%로 지상 2층으로 되어 있다. 콤팩트한 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아파트 사거리에서 학동사거리 입구까지의 패션과 문화의 거리. 압구정 로데오거리는 갤러리아 백화점 맞은 편에 길이 422m와 폭 10m~22m의 ㄱ자 형태의 상권으로 패션의류 브랜드 직영매장·직수입 멀티숍·개인 디자이너 숍 등 100여개의 의류 상가들이 밀집한 패션과 문화의 거리이다. 압구정 로데오거리는 갤러리아 백화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아파트지구에 민간 건설업체 한양주택이 건설한 공동주택 단지. 압구정 한양아파트는 1977년부터 1984년까지 총 8년에 걸쳐 8차까지 입주가 이뤄졌다. 1차 936가구, 2차 296가구, 3차 312가구, 4차 286가구, 5차 343가구, 6차 227가구, 7차 239가구, 8차 90가구 등 총 2,729가구의 대단지를 형성하고 있다. 가구 수가 가장...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아파트지구에 민간건설업체 현대건설이 건설한 대규모 공동주택단지. 압구정 현대(구)아파트는 1,2차 단지가 1976년 6월 첫 입주를 시작해서, 1979년 7차까지 모두 3,076가구의 대단지를 이루어져 있다. 압구정현대(구)아파트는 모두 중대형 평형 위주로 구성되어있다. 1차는 142m²[43평형, 방 4개, 욕실 2개] 218가구, 178m²[54평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1999년 압구정성당에서 분가하여 본당으로 설립되었으며, 설립당시는 압구정2동성당이었으나, 2001년 압구정1동성당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첫 본당건물은 신사동 590에 위치한 ICL[베스콘]빌딩의 5, 6층을 사용하였으며, 2001년 현 위치에 공사를 시작하여 2002년 5월 26일에 준공하였다. 압구정1동성당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공립고등학교 압구정고등학교는 꿈을 실현하는 인재 교육 구현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실력 있는 학생을 기르기, 정성을 다하는 교사 되기, 믿음을 주는 학교를 만들기를 실천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압구정고등학교는 ‘성실, 건강’을 교훈으로 삼고 있다. 압구정고등학교는 1986년 12월 17일 구정고등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1987년 5...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노인복지관 건물. 압구정노인복지센터는 엠파종합건축사사무소의 마성호가 설계를 맡고, CF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했다. 대지가 가진 법적 한계선에 의하여 사선으로 형성된 벽면으로 전면도로로부터 독특한 형태를 이끌어 내고 있다. 외부 마감은 복층유리 위 목재루버, 고밀도 목재 판넬, 압축성형 시멘트 판넬, 화강석으로 마감되었다. 대지면적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압구정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법정동이며, 고밀도 주거지역과 증권 및 금융기관이 밀집된 지역이다. 압구정동(狎鷗亭洞)의 동명의 유래는 이곳에 조선 시대 세조 때 한명회(韓明澮)가 지은 압구정(狎鷗亭)이라는 정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원래 ‘압구(狎鷗)’는 한명회의 호(號)인데, 중국 송나라의 재상(宰相) 한기(韓琦)가 만년에 정계에서 물러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있는 압구정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강남구 압구정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압구정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압구정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압구정동은 1963년 1월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과 청담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압구정동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동명에 나오는 압구정(狎鷗亭)은 조선 시대 세조~성종 연간의 권신이었던 한명회가 지은 정자였다. 압구정로는 연장 3.1km, 폭 40m, 왕복 8차선 도로이다. 압구정로는 강남구의 동·서간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소재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압구정성당은 1978년 공소로 시작하여 1982년 6월 12일 성전을 완성하였다. 압구정본당은 청담동본당에서 분가하여 현대 아파트 건너편의 비좁은 상가 3층에서 1978년 봄에 공소를 개설하였고, 1979년 본당으로 승격되었으며, 1982년 6월 12일 성전을 완성하였다. 압구정성당은 지역 신앙공동체의 설립과 그리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435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3호선 지하철역. 압구정역의 유래가 되는 압구정은 조선 시대 세조~성종 때 권신 한명회가 세상일을 잊기 위해 강가의 갈매기를 벗 삼아 지냈다는 정자 이름이다. 압구정역은 서울도시철도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1985년 10월 건설되었다. 압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압구정중학교의 교육목표는 튼튼한 몸과 꿈을 가꾸어 나가는 자기주도적인 압구정인, 서로를 존중하며 함께 하는 기쁨으로 소통하는 압구정인, 재능을 계발하여 미래를 준비하는 실력을 갖춘 압구정인이 되는 것이다. 교훈은 ‘튼튼한 몸, 바른 마음, 슬기로운 사람’이다. 압구정중학교는 1982년 12월 9일 구정중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아파트지구. 압구정지구는 면적 1,046,148㎡, 약 31만7천평에 1976년 8월 21일 지정되었다. 기본계획은 1987년 3월 29일에 승인되었다. 압구정지구는 지역별 도시계획도로를 중심으로 하여 4개 지구로 구분하고 각각의 지구별 1개의 생활권으로 계획하였다. 주구별로 주구중심을 두고, 주구중심은 주택용지가 미개발되어 있어 배치가 불가능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출신 중심의 향우회. 압구정향우회는 압구정동 마을회관 건립 당시 거주했던 주민과 직계남자 세대로 구성되어 회원 상호간 애향심을 고취하고 친목도모를 목적으로 하기 위해 1978년 11월에 창립되었다.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압구정리에서 행정구역이 변경되었다. 압구정리가 고향이었던 사람들을 중심으로 197...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하고 있는 법인 금융기관. HK저축은행은 1972년 2월 삼아무진으로 설립된 개인과 중소상공인을 위한 서민 금융기관이다. HK저축은행은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통해 건전한 신용 사회의 정착에 기여하고, 투명하고 건실한 경영을 추구하여 고객과 주주, 사회구성원으로부터 신뢰 받는 초일류기업이 되는 기업경영을 목표로 설립하게 되었다. 비전은 고객과 함께 크...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입지하여 있는 약수터. 최근 양질의 음용수에 대한 국민적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먹는 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물의 질이 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해마다 좋은 약수를 찾기 위해서 도시근교의 사찰·등산로·유원지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이를 반증해준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는 대모산과 구룡산 일대에 29개소의 약...
-
강남 일대의 개발로 인한 엄청난 땅값 상승에 대한 정부대책으로 1974년 12월 「소득세법」상 부동산 거래에 대하여 부과·징수한 국세. 부동산 양도소득세는 토지 및 건물 투기에 새 요인이 발생하고, 또 시대적 요청이 있을 때마다 여러 차례 계정을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과세의 대상은 토지·건물이며 보유기간이 2년 이상인 자산, 보유기간이 2년 미만인 자산, 미등기 양도자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과 서초구 양재동을 연결하는 도로. 양재인터체인지에서 양재동을 관통하는 도로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6.8km, 폭 50m, 왕복 14차선 도로이다. 강남구 수서동과 양재동 및 송파구와의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6년 양재대로로 불리게 되었으며 1989년 2월 13일 자동차전용도로로 개통됨에 따라 염곡사거리부터 수서 나들목 구간은 이륜차의 통행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1동에 설립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천주교 양재동성당은 1912년경 게리[양재리] 공소로 출발하여 1965년 잠실리준본당[잠원동본당의 전신]의 공소에서 정식 본당으로 승격, 설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강남 지역에서는 잠실리본당에 이어 두번째로 설립된 유서 깊은 성당으로 1971년부터 일곱 차례에 걸쳐 각 본당[사당동, 청담동, 반포, 서초동, 역...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영동2교에서 탄천 합류부까지 3.5㎞에 걸쳐 조성된 공원. 양재천은 원래 한강으로 직접 유입되는 한강의 1차 지류였으나 한강 연안개발사업과 주변 일대의 개발로 직강화되면서 탄천으로 유입되는 유역변경 및 유로변경이 인위적으로 이루어진 하천이다. 1970년대 개포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직강화와 콘크리트화되면서 오염이 시작되었고, 이후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과 서초구 양재동을 연결하는 도로. 도로를 따라 흐르는 양재천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4.3km, 폭 10m, 2차선 도로이다. 양재천을 따라 강남·서초 간의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2012년 현재 양재천로는 강남구 대치동과 서초구 양재동을 연결하고 있으며, 도로 남쪽으로는 양재천이 도로와 나란히 흐르고 있다. 대치동 방향으로는 영동대로와 교차하며,...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어반하이브는 건축사사무소 아르키움에 김인철이 설계를 맡고, 신성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되었다. ‘도심 속 벌집’이란 의미의 어반하이브는 입방체로 칼라 노출콘크리트로 무수한 구멍이 뚫린 입면이 감싸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대지면적은 1,000.90㎡이고, 건축면적은 584.78㎡이다. 용적율은 798.69%, 건폐율은 58.43...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이루어지는 언론과 출판 활동의 총칭 언론은 매체를 통하여 어떤 사실을 밝혀 알리거나 어떤 문제에 대하여 여론을 형성하는 활동으로, 현대사회에 언론의 대표적인 매체는 방송과 신문이다. 출판은 문서·회화·사진 등의 저작물을 배포나 판매의 목적으로 복제, 공표하는 일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관한 제반의 정보와 소식은 방송, 인터넷방송, 신문, 인터넷신문 등의 언론...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언북중학교의 교육목표는 개인의 보람된 삶과 21세기 지역사회 및 국가가 필요로 하는 실력과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이에 자율과 창의성을 존중하는 열린 학교경영으로 즐겁고 활기찬 학교를 만들고자 한다. 교훈은 ‘바르게 생각하고 착하게 행동하며 아름답게 살아가자’이다. 언북중학교는 1982년 1월 7일 설립인가를 받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서 서초구 내곡동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도로. 언주로는 이 도로가 지나는 일대가 옛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이었던 데서 유래하였다. 언주로는 연장 10.8km, 폭 40m, 8차선 도로이다. 언주로는 강남구와 서초구의 남·북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언주로는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제 268호로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 가로명 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언주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창의, 인성, 실력을 다져가는 ‘언주인’을 교육하는 것이다. 교육목표 구현을 위해 창의와 진로 교육의 활성화, 인성 및 생활지도의 내실화, 실력향상을 위한 교육력 극대화라는 노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교훈은 ‘자주, 성실, 협동’이다. 언주중학교는 1980년 12월 27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1년 1월 23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엄지빌딩은 일우준건축의 유승문이 설계를 맡고, 예건알씨엔이 시공을 맡아 2005년 완공되었다. 도로 폭에 의한 사선 제한 및 일조권 제한을 디자인 모티브로 사용하여 4, 5층에 자연스럽게 외부 데크를 제공하였다. 노출콘크리트를 기본으로 일부 T30석회석 숫돌, 컬러복층유리를 사용하여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559.70㎡이고, 건축면적은 30...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에르메스 사옥은 테트라아키텍트에 이태웅이 설계를 맡고, 삼일기업공사가 시공을 맡아 2006년에 완공되었다. 에르메스 사옥은 입방체로 이중의 유리벽으로 감싸여 있으며, 바깥 유리벽은 황금빛 스크린으로 빛의 변화에 다양한 모습 드러낸다. 대지면적은 1,143.90㎡이고, 건축면적은 625.27㎡이다. 용적률은 264.76%, 건폐율은 54.66...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네트워크 솔루션 전문업체. 에스넷시스템은 세계 정보통신 및 솔루션 시장에 진정한 리더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에스넷시스템은 1999년 2월 설립되었고, 2000년 4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7년 4월 독일에 법인을 설립했다. 에스넷시스템은 네트워크통합[NI : Network Integration]을 근간으로 하는 소프트네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SDA 사옥은 SKM건축사사무소의 민성진이 설계를 맡고, SDC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5년에 완공하였다. 6m도로의 사선제한을 디자인의 모티브로 사용하여 넓고 투명한 커튼월 면을 네 번 접어 도로면에 대응시켜 매스의 분절없이 연속성을 부여하였다. 필지 특성상 장방형의 건물이 불가피하여 경직된 면처리 대신 곡면 처리된 입면으로 건축물의 아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중소창업기업 투자지원 업체. SBI인베스트먼트는 국내·외의 유망 벤처기업을 발굴하여 가치를 상승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한다. SBI인베스트먼트의 모체인 한국기술투자는 1986년 11월 설립되었고, 1989년 8월에 장외주식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1996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8-1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983-3으로 본사를 이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IT마케팅 전문 업체. 에스에이엠티는 창조적 기업 문화를 만들어 IT마케팅 전문가 조직으로 발전하고자 설립되었다. 에스에이엠티의 모체인 삼테크는 1990년 6월에 설립하였고, 2000년 5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하였다. 2002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54-16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1001-13으로 본사를 이전하였고, 2006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엔터테인먼트 업체. 에스엠은 한국을 대표하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에스엠은 1995년 2월에 설립되었다. 1997년 경기도 파주시 고하면 야당리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0년 4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4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521번지로 본사를 이전했다. 에스엠은 음반기획 및 제작·배급·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자전거판매, 전시사업, 정보통신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 에이모션은 새로운 녹색 성장산업인 자전거사업을 주력사업으로 하고 기존 전시사업과 정보통신사업을 더불어 성장 발전시켜 나갈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에이모션의 모체인 삼우통신공업은 통신업 법에 근거하여 통신판매업, 인터넷사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79년 9월에 설립되었다. 이 후 바이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창업 중소기업 벤처투자업체.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는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조기 발굴 및 성장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의 모체인 제일창업투자는 1988년 10월에 설립되었다. 1991년 7월에 장외주식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1년 4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133-10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68-26으로 본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섬유·의복 유통업체. F&F는 패션기업의 중심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2년 2월 설립되어 1984년 10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8년 4월에 본사를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62-9 F&F빌딩으로 이전했다. F&F는 1996년 7월 라이센스 브랜드인 RENOMA SPORTS 런칭에 이어 다음 해인 1997년 6월 MLB 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전자상거래 기반의 유통업체. 아이에스이커머스는 행복과 가치를 전 세계에 제공하는 창조적 유통 지식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아이에스이커머스는 2001년 3월에 SK글로벌에서 독립 분사하였다. 2001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 1가 226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31-3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2년 에스케이디투디로 상호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반도체 개발업체. 엔스퍼트의 모체인 넥실리온은 2001년 9월 설립되었고, 12월에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본동 78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6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79-5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8년 1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10년 3월 엔스퍼트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59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투자증권사. NH투자증권은 1969년 1월 16일 한보증권으로 설립되었고 1975년 7월 대보증권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3년 11월 대보증권과 럭키증권이 합병하여 럭키증권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1991년 런던, 1993년 뉴욕, 1995년 홍콩의 현지법인 영업을 개시하였다. 1996년 상해에 사무소를 개설하였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비즈니스 데이터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와 IT서비스 제공업체. 엔텔스는 혁신적인 컨버전스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엔텔스는 2000년 7월 설립되었고, 2007년 6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12년 2월 자회사 엔컴즈를 설립했다. 엔텔스는 유·무선 통신 서비스, 방송 사업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공급하는 회사이다. 고객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서 1997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2급 호텔. 호텔 엘루이는 1997년 관광호텔로 개관하였다. 호텔 이름인 ‘엘루이’는 불어로 신사, 숙녀를 부르는 존칭에서 유래하여 만든 것이다. 지하 5층, 지상 14층 건축 규모의 호텔에는 총 139개의 객실이 있다. 한강이 보이는 전망 좋은 더블 룸과 트윈 룸은 중후하고 고급스러운 실내 인테리어를 기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LIG 사옥[현 KB손해보험 사옥]은 창조건축의 김홍철이 설계를 맡고, GS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6년에 완공하였다. 땅으로부터 유리매스를 휘감으며 하늘로 올라가는 스테인리스 기둥을 상승을 지향하는 기업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한 요소로 건물에 적용하였다. 주 구조는 철골철근콘크리트로 외부는 메탈판넬과 THK24,28 복층 유리를 사용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LS전선, LS산전, LS니꼬동제련, LS엠트론 등을 계열사로 둔 LS그룹의 지주회사. LS는 2008년 세워진 LS그룹의 지주회사로서, 최대주주는 구자열 회장이며 보유 지분은 특수관계인을 포함해 33.43%다. LS는 2010년 9월 현재 LS전선[87.0%], LS산전[46%], LS니꼬동제련[50.1%], LS엠트론[100%] 등 4개 회사를 직접...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기성복 및 패션 잡화 제조업체. LF는 기성복 및 패션 잡화를 제조하고 판매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LF의 전신은 락희산업으로 1953년 11월에 설립되었다. 이후 1956년 6월에 반도상사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1974년 반도패션이 설립되었다. 1995년 9월에 반도패션에서 LG패션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1996년 3월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빌딩. M.J빌딩. 알도꼬뽈라는 건축사사무소 주가인의 박준영이 설계를 맡고, 신나래건설에서 시공을 맡아 2004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로 외부는 송판무늬 노출콘크리트와 편마암 켜 쌓기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763㎡이고, 건축면적은 372.77㎡이다. 용적율은 296.26%, 건폐율은 48.86%로 지하2층, 지상 7층으로 되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국내 및 해외 유망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업체. 엠벤처투자는 창업자에 대한 투자, 중소기업 창업투자조합 자금의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엠벤처투자의 모체는 1986년 12월 설립된 신영기술금융이다. 2005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22로 본사를 이전하였고, 2006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59-9로 본사를 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엠스페이스(Mspace)는 이야디자인에 정준석과 솔건축사사무소에 신용현이 설계를 맡고, 아시아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하였다. 노출콘크리트와 유리로 마감재로 선택하여, 강조된 매스에는 송판 노출콘크리트로 마감하였다. 정형을 탈피한 창호는 3, 4층의 리듬을 1, 2층의 전면유리에 에칭문양으로 연장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건물. MWORKS는 디아아크의 정현아가 설계를 맡고, 건현종합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동판으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193.8㎡이고, 건축면적은 109.92㎡이다. 용적률은 199.3%, 건폐율은 56.7%로 지하 1층, 지상 5층으로 되어 있다. 현재 사무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붉은 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었던 손해보험회사. MG손해보험의 전신은 1947년 1월 17일 세워진 국제손해재보험이다. 고려화재, 대동화재 등이 한꺼번에 세워지면서 대한민국에서 모두 8개 손해보험회사가 영업을 시작했다. 1946년 4월 신동아손해보험이 허가를 얻어 영업을 시작한 것을 필두로 5월 대한화재보험이 세워졌다. 1949년 국제손해보험으로 이름을 바꿨다. 국제손해보험은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빌딩. MK빌딩은 테제건축사사무소 유태용이 설계를 맡고, 태제건설에서 시공을 맡아 2003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이고 최고 높이가 20.7m이다. 대지면적은 369.2㎡이고, 건축면적은 219.87㎡이다. 용적율은 205.14%, 건폐율은 59.55%로 지하 2층, 지상 4층으로 되어 있다. 현재 포토스튜디오가 들어서 있다. 타원형...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섬유·의복 유통업체. 엠케이트렌드는 새로운 패션문화를 선도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95년 3월 티비제이 법인으로 설립되어 2000년 12월 엠케이트렌드로 상호를 변경했다. 2011년 6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엠케이트렌드의 주요브랜드는 TBJ, AnDew, BUCKAROO이다. TBJ는 1994년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출신 중심의 향우회. 강남구 역삼동 구마을[역말]의 역말한국청년단에 의해 조직된 향우회로 역말에서 자라고 생활했던 사람들이 모여 친목과 권익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45년 역말 출신 17명이 모여 역말한국청년단을 조직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1991년 역말대동향우회를 설립하였다. 1996년 강남구청에 기타단체로 등록하였다. 역말향우회는 회원들의 친목...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강남구 관할 세무 행정 기관. 역삼세무서는 세법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집행하여 시민의 성실한 납세 의무를 이행하도록 지원하고, 국세 수입의 원활한 확보로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역삼세무서는 1996년 7월 대통령령 제15036호에 의거 개포세무서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신설되었을 때의 주소지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78-...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역삼1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강남구 역삼1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역삼1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역삼1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역삼1동은 조선 시대 경기도 광...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역삼2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강남구 역삼2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역삼2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역삼2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역삼2동은 조선 시대 경기도 광...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35에 위치한 근린공원. 역삼공원은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휴게 시설 위주의 휴식 공간이다. 역삼공원은 1971년 8월 7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3년 11월 1일에 개장하였다. 공원의 노후화로 2007년 공원 시설물에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였다. 역삼공원의 면적은 2만 8,519㎡이며, 공원 영...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건물. 역삼근린공원 내 화장실은 경재구조엔지니어링의 김경민이 설계를 맡고, 광백개발이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하였다. 이 건물은 부지 뒤쪽에 낮은 구릉의 모습을 닮아 있다. 대지에 순응하여 높인 건물은 THK20 고밀도 데크목과 THK18 칼라복층유리로 외부를 마감하였다. 바닥면적은 86.42㎡로 국기원 경내에 자리 잡고 있다. 2008년 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역삼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행정동인 역삼1동, 역삼2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법정동이다. 강남구의 업무·상업·문화뿐만 아니라 교통의 중심지로 도시환경이 쾌적한 상업·주거 혼합지역이다. 역삼동(驛三洞) 동명의 유래는 조선 시대 역촌이었던 말죽거리, 상방하교[윗방아다리], 하방하교[아랫방아다리] 등 세 마을을 합쳐 역삼리라 한데서 붙여진 이름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서 설립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역삼동성당은 지역 신앙공동체의 설립과 그리스도 복음전파를 위해 설립되었다. 역삼동성당은 강남 지역 교세신장에 따라 1984년 8월 1일 대치동본당과 양재동본당의 관할구역 일부를 분할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공사를 시작하여 1997년 9월 21일 건축면적 13091㎡[3,960평]에 달하는 대형 성당을 축성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영동아파트 1단지를 재건축한 공동주택단지. 역삼래미안은 1974년에 준공된 영동아파트 중 1단지를 재건축한 공동주택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57의 대지면적 2만 5,757㎡에 12층~22층 규모의 12개동으로 용적률이 276%, 건폐율 18%이고, 단위면적 80㎡, 81㎡ 109㎡로 1,050세대로 이루어져 있다. 난방은 지역난방으로 열병합방식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공동주택 단지. 역삼럭키아파트는 강남구 도곡동 963의 대지면적 52,825.5㎡에 15층 높이의 10개동으로 건설되었다. 단위세대는 112㎡[방 3개, 욕실 1개] 674가구, 144㎡[방 4개, 욕실 2개] 210가구, 145㎡[방 4개, 욕실 2개] 210가구로 총 1,094가구의 대규모 공동주택 단지를 형성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과 대치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역삼로는 도곡동길 이라고도 부른다. 역삼로는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역삼동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역삼로는 연장 3.5km, 폭 35m, 6차선도로이다. 역삼로는 강남구의 동·서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1년 1월 21일 서울특별시공고 제14호에 의해 30개 가로명이 제정될 때 도곡로로 이름 지어졌다. 이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04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2호선 지하철역. 역삼역은 서울도시철도 2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1983년에 건설되었다. 역삼역은 플랫폼길이 205m, 시설규모 3층, 총 면적 8,853㎡이며, 1~8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시설로는 역무실 1개소, 자전거보관소 1개소, 무인민원발급기 2개소, 만남의 장소 1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노인 재가 복지 시설. 역삼재가노인복지센터는 강남구청이 경제적,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인 장애로 인해 스스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곤란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및 저소득 대상 노인에게 후원자와 봉사자를 연계하여 생활에 도움을 주고, 지역 내 노인들의 복지를 증진하고자 설립되었다. 역삼재가노인복지센터는 1999년 2월 개관하였고, 같은 해 5월부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역삼중학교는 글로벌 시대를 주도할 실력과 역량을 겸비한 창조적 역삼인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교훈은 ‘자율·협동·창조’이다. 역삼중학교는 1984년 12월 8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5년 3월 1일 초대 송영섭 교장이 취임하였고, 3월 5일 개교하였다. 2002년 9월 1일 정보화 지원센터를 준공하였다. 2015...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56 일대에 위치한 지구단위계획 지정지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56 일대[47,054.8㎡]에 대하여 서울특별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의 심의[제16차, 2010년 6월 9일]를 거쳐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30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5조에 따라 도시관리계획[역삼지구 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을 결정·고시하였다. 역삼지구의 지정 목적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배우가 각본에 따라 어떤 사건이나 인물을 말과 동작으로 관객에게 보여 주는 예술 활동. 배우가 연희(演戱) 장소에서 희곡 속의 인물로 분장하여 관객 앞에서 몸짓과 대사로써 만들어내는 예술인 연극은 음악·무용과 같이 공연(公演)의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공연예술 또는 무대예술이라고 한다. 연극을 구성하는 본질적 요소로서 흔히 배우·무대·관객·희곡의 4가지를 든다....
-
서울특별시 청담동과 압구정동 일대에 극장과 다양한 연예기획사업체가 밀집한 거리. 연예인의 거리는 극장과 연예기획사가 다수 위치하고 있는 강남구 선릉로 일대를 말한다. 2008년 지정한 강남 청담·압구정 패션특구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 특성에 맞게 전략적으로 명명한 거리의 이름이다. 연예인의 거리가 위치한 강남 청담·압구정 패션특구는 패션업체들은 물론 극장과 연예기획사, 방송아카데미...
-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이 운영하는 시민을 위한 열린 도서관 강남구청을 방문하는 민원인과 지역 주민들을 위해 강남구청이 직접 구청 건물에 도서관을 개관하여 운영하였다. 2019년 7월에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열린도서관은 민원인의 민원처리에 따른 대기 시간 등 자투리 시간을 유익하게 활용하고 구청공간을 행정서비스 뿐 아니라 문화서비스도 제공하자는 취지에...
-
서울특별시 내에서 도심의 기능을 분담하는 강남구 일대를 이르는 말. 인구 100만을 넘는 대도시로 발전하면 시가지 주변에 도심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번화가가 형성되는데 이를 부도심이라고 부른다. 서울의 대표적인 부도심으로는 강남, 서초구를 포함하는 영동 부도심과 영등포, 청량리, 신촌 등이 있다. 영동 부도심은 ‘1966년 서울도시기본계획’에 따라 서울의 3개 주요 부도심의 하...
-
1976년 강남 일대의 아파트지구 개발을 위해 수립된 기본계획. 1976년 12월 서울특별시는 ‘영동 아파트지구 개발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1977년 3월 중앙동시계획위원회에서 아파트지구 개발기본계획이 승인되었다. 영동 아파트지구 개발기본계획은 「도시계획법」의 절차에 따라 시행되었으며, 서울시 및 공공기관이 직접 나서서 영동 지구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서울 강북에...
-
1966년에 지정된 현재 강남구 일부를 포함한 한강 이남의 대규모 토지구획정리사업. 영동1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은 1966년 지구지정을 받아 1968년 사업시행 허가가 이루어진 것으로 한남대교와 경부고속도로의 건설로 구체화 되었다. 이는 경기도 과천시와 성남시의 갈림길까지의 고속도로 용지를 무상으로 확보하기 위해 고속도로 건설 예정지와 주변지역 1,273.8만㎡[386만평]을 대상으...
-
강남구 일대 영동 제2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누락된 지역을 사업지역으로 추가 지정하여 이루어진 토지구획정리사업. 영동2지구 구획정리사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공부 단지와 상공부 산하 12개 단체·기관 직원들의 이주와 관련하여 주택단지 등을 조성할 목적으로 토지를 매입하였다. 그러나 영동2지구 구획정리사업지구가 완전히 확정되기 이전에 토지를 구입하였기 때문에 사업지구 내가 아닌...
-
1966년에 지정되었으며 1971년 2차적으로 시행된 현재 강남구의 대부분을 포함한 한강 이남의 대규모 토지구획정리사업. 영동2지구는 강북 지역의 인구소산을 목적으로 한 신시가지 건설을 위해 현재의 압구정, 신사, 논현, 역삼, 염곡, 포이, 도선 등 각 동을 포함하여 1,301.2㎡[393.6만평] 면적에 시행되었다. 1971년 11월 추가지구가 지정되어 총 1,315.7㎡[39...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과 개포동을 연결하는 교량. 영동3교는 교량이 위치한 강남구를 영등포의 동쪽 즉, 영동(永東)이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영동3교는 연장 160m, 폭 40m, 8차선 교량이다. 영동3교는 1986년 12월 강남구 도곡동과 개포동 사이 양재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준공되었다. 영동3교는 2012년 현재 양재천을 중심으로 강남구 도곡동 465 사이에 위치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과 개포동을 연결하는 교량. 영동4교는 교량이 위치한 강남구을 지칭하는 영동(永東)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150m, 폭 20m, 4차선 교량이다. 강남구 대치동과 개포동 사이 양재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대진건업에 의해 준공되었다. 1982년 12월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영동4교는 선릉로를 연장하는 교량으로 양재천이 지나는 강남구 대치동 501과 개포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과 대치동을 연결하는 교량. 영동5교는 교량이 위치한 강남구를 지칭하는 영동(永東)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152m, 폭 35m, 6차선 교량이다. 강남구 개포동과 대치동 사이 양재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정우개발에 의해 건설되었다. 1986년 4월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영동5교는 삼성로를 연장하는 교량으로 강남구 대치동 506에 위치하고 있으며 양재천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과 개포3동을 연결하는 교량. 영동6교는 교량이 위치한 강남구를 영등포의 동쪽 즉, 영동(永東)이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영동6교는 연장 320m, 폭 50m, 8차선 교량이다. 영동6교는 1985년 6월 강남구 대치2동과 개포3동 사이 양재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준공]되었다. 영동6교는 2012년 현재 양재천을 중심으로 강남구 대치2동 512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 영동고등학교는 민족의 영원한 발전을 교육의 지표로 삼아 투철한 민족의식과 뚜렷한 가치관을 확립하여 국가와 민족을 위해 스스로 봉사하는 참되고 부지런한 지성인과 민주 시민을 교육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참되고 부지런한 지성인’을 교훈으로 삼고 있다. 영동고등학교는 1972년 4월 18일 학교법인 해청학원을 설립하고 4월 20일 김형목...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처음으로 신축된 현대식 5층 아파트. 영동공무원아파트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22의 대지 2만 3,738㎡에 5층 건물 12동 중 39m²[12평형] 210세대와 49m²[15평형] 150세대로 총 360세대가 건설되었다. 1970년 4월 1일 사업승인이 되어 다음 해 연말인 1971년 12월 28일 준공되었다. 사업주체는 서울특별시이고, 시공업체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1979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1급 관광호텔. 영동관광호텔은 강남구 내 호텔 중에서 가장 오래된 호텔로써 논현동과 신사동 일대에서 상징적 랜드마크가 되었다. 영동관광호텔은 일본, 중국, 태국 등 아시아 여행객과 사업 차 서울에 온 외국인 방문객들이 주로 이용하는 비즈니스 호텔이다. 1973년 10월 26일 설립하여 호텔업 인가를 받은 용창산...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의 교회. 영동교회는 예배와 교육, 교제, 섬김과 나눔을 위해 설립된 교회이다. 영동교회는 1972년 서울특별시 성동구 청담동에서 이시환 목사 외 24명이 모여 창립했다. 1973년 10월에 청담동 부지를 매입해 교회 건축을 시작했으며, 다음 해 3월에 완공하였다. 이후 1987년 강남구 포이동에 부지를 매입해 1988년 4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과 성동구 성수동을 연결하는 교량. 영동대교는 한강에 건설된 7번째 교량이다. 영동대교는 교량이 위치한 강남구를 영등포의 동쪽 즉, 영동(永東)이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영동대교는 연장 1,065m, 폭 25m, 6차선 교량이다. 영동대교는 서울특별시 도심권 인구분산과 영동지구 개발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영동대교는 1970년 8월 13일 착공하여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서 일원본동까지 이어지는 도로. 영동대로는 도로가 위치한 강남구를 영등포의 동쪽 즉, 영동(永東)이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영동대로는 연장 4.6km, 폭 50~70m, 왕복 10~14차선 도로이다. 영동대로는 강남구 남·북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영동대로는 1972년 서울특별시가 한양천도 578주년을 맞아 도로명칭이 없는 시내 59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강남구청역 사거리에 위치해 있던 백화점. 영동백화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강남구청역 사거리에 위치해 있던 백화점으로, 현재는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오피스빌딩인 파로스타워가 들어서 있다. 옛 백화점 건물은 폐점 후 오랫동안 방치되어 오다가 2008년 10월 31일 건물 철거 공사 도중 붕괴되었다. 1983년 8월 강남 지역 최초의 백화점인 영동백화점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5층 1동의 상가아파트. 영동시장아파트는 서울특별시의 영동지구 지역개발촉진책의 일환으로 건립되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122-8에 5층 건물 1동을 건립, 최소 36m²[11평]에서 105m²[32평]에 이르는 다양한 점포 94개로 구성된 상가로 1973년 9월 27일에 건립되었다. 2006년 9월 소유주가 명도소송을 거쳐 강제철거가 이루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1974년에 준공된 2,220세대의 대단지 아파트. 영동아파트는 대한주택공사가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57의 대지면적 8만 2,309㎡에 5층 건물 46동으로 건설되었다. 42m²[13평형]의 2,200호 대단지아파트로 난방은 개별난방이었으며, 원료는 연탄이 이용되었다. 영동아파트는 영동공무원아파트, 영동AID차관아파트, 영동시영아파트 등은 1970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미국의 대외원조기관인 국제개발처[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로부터 제공받은 차관으로 지어진 아파트.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6, 16-2, 50의 대지 8만 8,066㎡에 5층 건물 30동으로 총 1,680세대가 건설되었다. 이 중 49m²[15평형] 1,510세대와 72m²[22평형] 22세대로, 난방방식은 중...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1973년 1월 5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217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 영동제일교회로 설립되었다. 이후 1979년 11월 24일 구 예배당을 신축하고 이전하였으며, 1993년 지금의 교회 1차 공사, 1997년 2차 증축공사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영동제일교회는 건강한 교회를 이루고 행복한 성도가 되기 위해서 설립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의 교회. 영동중앙교회는 강남 지역에서는 매우 빠른 시기인 1970년에 설립된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의 교회이다. 영동중앙교회는 복음을 전하고, 예배의 영광을 경험하고, 복음적인 인재를 양육하며, 이웃을 위해 존재하는 교회를 위해 설립되었다. 1970년에 한원경 집사 집에서 30여명이 모여 시작됐다. 이후 1972년에 현재의...
-
1960년대 강남 일대를 이르는 말로 1966년 현재의 강남구, 서초구 일대를 토지구획예정지구로 지정하면서 붙여진 이름. 강남이라는 말 자체는 서초구 한강 이남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서울 한강 이남의 동부 지역인 강남구와 송파구, 중앙부 지역인 서초구 등의 지역만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강남이라는 이름이 정착되기 전에는 영등포의 동쪽이라는 의미로 영동(永東)이라...
-
1973년 강남구 일대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소득기반 조성 및 생활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지역 개발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도록 당시 건설부가 주관한 지정. 영동 1, 2구획정리사업지구 3,166만㎡[959만4천평]의 개발촉진지구는 1973년 지정되었는데, 이는 1972년 제정된 ‘특정지구 개발촉진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의거하여 건설부장관이 지정하였다. 이에 따라 영동지구는 주...
-
1972년 5월 서울특별시가 강남구 일대에 직접 단독주택을 건립하여 분양하겠다고 발표한 계획. 서울시는 1970년대 초반 세계경제의 불황과 국내경기의 침체로 영동지구 개발의 어려움에 봉착하자 서울시가 보유한 체비지를 매각하여 공사비로 사용하기 위해 직접 주택을 건설하여 주민을 유치하는 방법을 추진하였다. 1971년 3월~12월 서울시는 논현동에 공무원아파트를 건설하여 서울시 공무원...
-
1973년부터 1975년까지 오늘날 강남·서초 양 구(區)와 송파구 일부 지역의 행정 사무를 담당했던 공공기관. 1963년 1월 1일을 기하여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이 크게 확장되었다. 이 때 광주군 언주면 전역과 대왕면 중 5개 동리가 성동구에 편입되었는데, 오늘날 그 대다수는 강남구가 되어 있다. 즉 성동구 언주출장소 관내로 도곡동·역삼리·도곡리·포이리·개포리·사평동·신사리·압...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비철금속 전문회사. 영풍은 자연을 생각하고 산업을 선도하는 세계 초일류 비철금속 기업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영풍은 1949년 11월에 영풍기업사로 설립되었다. 1976년 6월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78년 4월 현재의 상호인 영풍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1979년 1월 영풍 JAPAN을 설립하였다. 1995년 영풍전자를 인수하여 사업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산업용 펌프와 밸브 제조 업체. 영풍정밀은 펌프와 밸브에 대해서는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신뢰받는 기업이 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영풍정밀은 1983년 1월에 영풍정밀공업으로 설립되었다. 1999년 12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0년 영풍정밀로 상호를 변경했다. 영풍정밀은 미국의 FLOWSERVE사와의 기술제휴로 부식과 마모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연속 촬영으로 기록한 필름상의 화상을 스크린에 투영하여 영상을 보여 주는 행위 및 그 작품. 강남구는 2000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국내 최초의 도심형 복합 엔터테인먼트 상업시설로 코엑스몰이 개관한 이래 이 지역은 충무로와 더불어 한국영화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현재 강남구에는 소형 영화관을 제외하고도 많은 영화관이 있으며, 영화 기획사와 제작사도 몰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영화를 상영하는 시설. 영화는 요지경으로 된 상자에서 시작되었으나 순회영사(巡廻映寫) 형식과 뮤직홀 등의 여흥영사(餘興映寫)를 거쳐 1900년경에는 미국에 니켈 오데온이라고 하는 상설관이 생겼다. 비교적 저렴한 관람료와 쉽고 일상적인 즐거움을 담고 있는 내용으로 인해 영화는 점차 대중들의 주요 오락꺼리가 되었다. 점차 영화제작이 증가하고 시장의 세계화에 따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하고 있는 영화사.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하고 있는 영화사 집[대표 이유진]은 2006년에 설립하였다. 2007년부터 영화 「그놈 목소리」, 「행복」,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 「전우치」, 「내사랑 내곁에」, 「초능력자」 6편의 영화를 제작하였다. 영화사 집은 2007년에 「그놈 목소리」를 제작하였다. 각본·감독은 박진표가 맡았다. 정체를 알 수 없...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하고 있는 법인 저축은행. 예가람저축은행은 2005년 5월 법인저축은행으로 설립되어 2006년 5월 29일 태광산업 계열의 흥국금융 소속의 저축은행으로 출발하게 된다. 예가람저축은행은 소외된 영세서민과 중소기업들에게 금융편의를 제공하고, 대금업, 사채업 등의 사금융을 양성화하고자 설립된 금융기관이다. 예가람저축은행은 최신의 금융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개관한 어린이전용극장. 2005년에 어린이전용극장으로 개관한 웅진싱크빅아트홀은 「어린이난타」를 무대에 올렸다. 2011년에 예림당아트홀로 재개관하였다. 어린이도서 전문출판사 예림당과 PMC프로덕션이 함께 운영하고 있다. 아이들의 상상력을 키워주는 상상놀이터를 목표로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통해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공연과 문화행사를 공연하고 있다. 460...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영동사거리에 위치한 상업화랑. 강남구 논현동 영동사거리에 위치한 예맥화랑은 1992년 9월에 개관한 상업화랑으로 ‘영동예맥화랑’이라고도 불린다. 예맥화랑은 1991년에 소격동에서 개관한 ‘예맥화랑’을 모체로 한 화랑으로 1992년에 인사동 예맥화랑과 프랜차이즈 운영계약을 맺고 강남구 영동사거리에 개관하게 되었다. 1991년에 소격동에서 ‘예맥화랑’이 개관하...
-
서울특별시 청담동과 압구정동 일대에 밀집한 상업화랑 지역. 예술의 거리는 청담역 사거리에서 갤러리아 백화점에 이르는 청담패션거리의 이면에 위치하고 있다. 40여 개에 달하는 갤러리가 밀집하고 있는 지역으로 지역내 갤러리 대표, 미술관련 협회, 건물주 대표, 지역주민 대표 등이 모여 ‘청담지역 예술의 거리 추진위원회’를 발촉, 관련시설을 활용하는 등 이 지역을 하나의 아트 밸리로 조...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모산 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예약수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산 52-1에 위치한 약수터로 1989년 개발되었다. 예약수약수터는 개포동 주공아파트 3단지 후면과 대모산 북서쪽의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근에는 대모산 소년소녀체력단련장이 있다. 명칭은 ‘옛약수’ 또는 ‘예약수’ 두 가지로 불리고 있다. 이용면적은 600㎡이며, 1일 취수량은 4t...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예일화랑[대표 김석원]은 1990년에 개관한 상업화랑이다. 이준, 변시지, 황유업, 최예태, 우제길, 김병종, 박영근, 김유철, 김종익 등 원로와 중견, 청년 작가들을 여러 기획 전시로 소개해 왔다 1990년 3월 김수익, 송용 등 사실 계열의 중견 작가 11명의 작품전인 ‘서울구상 11인 전’을 개최하였다. 1990년 7월에 열린 강승...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예화랑은 1978년 종로구 인사동에서 처음 개관한 상업 화랑이다. 이후 1982년 강남구 신사동으로 이전하였는데 당시로는 강남 지역 첫 화랑이었다. 예화랑 개관 이래로 한국 근현대미술사의 중요한 흐름과 성과 등을 전달할 수 있는 전시를 구성해 왔다. 한국의 거장들 구본웅, 권옥연, 김환기, 남관, 도상봉, 변종하, 손응성, 오지호, 이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예화랑은 운생동건축사사무소의 장운규, 신창훈이 설계를 맡고, 구진산업개발에서 시공을 맡아 2005년에 완공하였다. ‘스킨스케이프’라는 스킨+스케이프의 개념을 사용하여 4개의 큰 스킨을 ‘주름의 공간적 표피’로 외피를 표현 하였다. 외부는 T50 베이스패널과 노출콘크리트 T24투명복층유리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567.5㎡이고, 건축면적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생명보험회사.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오렌지라이프는 인보험업, 인보험에 대한 재보험 및 이와 관련된 자산운용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오렌지라이프는 1989년 조지아 생명보험의 한국지사로 설립되었고 1991년에 네덜란드 생명보험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한국현지법인으로 설립되었다. 당시 네덜란드 소재 ING Insurance Internatio...
-
부모 세대가 성취한 물질적 풍요를 바탕으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일대에서 향락적 소비문화를 즐기는 젊은이들. 오렌지족은 1970~80년대 경제성장의 혜택을 받고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에 자리를 잡은 상류층 2세와 부를 바탕으로 해외여행이나 유학경험이 있는 유학생부류이다. 이들은 1970년대 전후해 상류층 가정에서 태어나 고도경제성장 시기에 젊은 시절을 보냈다. 씀씀이에 구애받...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캐릭터 디자인 전문기업. 오로라월드는 웃음과 행복을 기반으로 하는 세계적인 캐릭터 콘텐츠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오로라월드는 1981년 9월에 설립되었고, 1999년 8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997로 본사를 이전했다. 2000년 9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오로라월드는 캐릭터 디자인 전문기업으로서 캐릭터 디자인을 개발하고 캐릭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종합광고대행사. 오리콤은 기본에 충실한 광고로 경쟁력 있는 광고회사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오리콤은 1967년 3월 합동통신사 광고기획실로 출발하여 1979년에 오리콤으로 사명을 바꾸었다. 2000년 10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오리콤의 사업영역은 광고부문과 매거진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미디어, 디지털, 프로모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지점을 두고 있는 법인 저축은행. OSB 저축은행은 일본 금융그룹 오릭스가 푸른2저축은행을 인수하여 설립한 저축은행으로 고객에게 가치 있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여 끊임없이 사회에 공헌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OSB 저축은행은 고객에게 가치 있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여 끊임없이 사회에 공헌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OSB 저축은행은 서울특별시 중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빌딩. 오이타워는 G.D.L 건축사사무소의 오세왕이 설계를 맡고, 요진건설산업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되었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라임스톤, 마천석 잔다듬, THK24 저반사 복층유리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979.50㎡이고, 건축면적은 586.82㎡이다. 용적률은 524.23%, 건폐율은 59.91%로 지하 3층, 지상...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오페라갤러리는 2007년 12월에 개관한 갤러리로 청담동의 랜드마크와 같은 갤러리 빌딩인 네이처포엠 1층에 입점하였다. 규모는 전시장 총 면적이 595.044㎡, 수용인원은 50~60명 정도이며 소장품은 200여 점이 되었다. 2012년 10월에 현재의 위치인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318[논현동 92] SB타워 1층에 확장 이전하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526 일대 압구정동 한양아파트 21동·71동·81동에 있었던 자연마을. 옥골은 과거 한강의 압구정(狎鷗亭)이 있었던 부근으로 옥(玉)과 같이 맑고 깨끗한 한강 물이 마을을 지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까지는 한강이 마을 앞을 흘렀던 옥골은 경기도 광주면 압구정 주변이었으며, 1963년 1월 1일에 서울특별시 신사동으로 편입되었다.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모산 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옥수천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산 53-32에 위치한 자연 발생된 강남구 소유의 약수터로 1990년에 개발되었다. 옥수천약수터는 개포동 주공아파트 3단지와 4단지 교차로에서 150m 정도 떨어진 대모산 북서쪽의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용면적은 100㎡이다. 1일 취수량은 2ton 정도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올리브빌딩은 서아키텍스건축사사무소의 서을호가 설계를 맡고, 제효가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하였다. 기본 입방체를 기준으로 상부로 갈수록 사선제한으로 4층에는 옥외 데크를 가지고 있다. 최상부층에는 직육면체의 mass가 돌출되어 부각된다. 외부는 송판 노출 콘크리트로 거친 표면으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260.00㎡이고, 건축면적은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빌딩. 올림푸스 사옥은 올림푸스 한국 설립 10주년을 맞아 문화 예술 분야 대중화라는 보다 큰 비전을 안고 클래식 전문 콘서트홀과 아트 갤러리로 구성된 문화 소통 공간인 올림푸스홀을 개관하여 2010년 4월에 준공되었다. 올림푸스 사옥은 지하 5층, 지상 12층으로 이루어진 업무시설이다. 최첨단 복합 문화공간을 갖춘 ‘올림푸스타워’는 A동과 B동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의 한남대교 남단과 연결되는 간선도로. 간선도로(幹線道路)는 도로망의 기본이 되는 주요도로이며, 도시사이를 연결하거나 중요 지구를 연결하기 위한 도로를 의미한다. 올림픽대로는 서울특별시의 대표적인 간선도로이다. 올림픽대로는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를 기념하기 위해 이름 지어졌다. 올림픽대로는 연장 42.5km, 폭 40m, 왕복 8차선 도로이다. 올림픽대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YD 클리닉 센터는 최수익, 권희덕이 설계를 맡고, 아산이엔씨가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T30화강석물갈기, 라임스톤, T24복층유리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831.60㎡이고, 건축면적은 398.15㎡이다. 용적률은 249.11%, 건폐율은 47.88%로 지하 3층, 지상 8층으로 되어 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가죽 의류 제조 및 수출회사. 와이비로드는 피혁원단을 제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5년 4월 영창실업교역로 설립되었다. 1988년 2월 영창실업교역에서 영창실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1994년 6월 주식 장외거래 종목으로 등록하였다. 1997년 7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다. 2007년 8월 현 위치로 본사를 이전하였으며, 2009년 1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생체용 금속[Implants] 수입 대리점 업체. 와이오엠은 자연친화적인 바이오종합메디컬서비스 회사를 목표로 설립되었다. 와이오엠의 모체인 선우엔터테인먼트는 1999년 1월에 설립되었다. 1999년 2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61-15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61-9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2년 12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가정 밖에서 소비하는 음식 및 음식전문점과 이와 관련된 식생활. 1960년대 이후 강남이 개발되면서 강남구에는 수많은 외식 전문점이 등장하였다. 특히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은 국내에 외국음식을 보급하는 주요한 계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외식문화의 중심지로 강남구가 부상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현재 강남구에는 한식 전문점을 비롯하여 중식·일식...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하고 있는 법인 금융기관. 우리금융저축은행은 우리금융그룹의 일원으로서, 고객에게 가장 신뢰받고 사랑받는 중소서민금융기관이 되는 것은 물론, 시장을 선도하는 전문 역량과 미래를 향한 혁신을 통해 고객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지역 금융기관이다. 아주저축은행의 전신인 하나로 저축은행은 1972년 충북서울무진으로 첫 영업을 시작하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중·소 벤처기업 창업지원 투자업체. 우리기술투자는 중·소 벤처기업 창업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우리기술투자는 1996년 12월 설립되었다. 2000년 6월 장외주식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4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945-1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우리기술투자는 중소창업기업에 대한 투자지원과 창업투자조합의 결성·관리와 성장지원을 위한 경...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우리금융지주의 자회사인 민간은행. 우리은행은 고객제일의 현장 경영과 고객이 편리한 경영 실현을 통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리딩뱅크 설립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은행의 전신은 1899년 1월 세워진 대한천일은행이다. 대한천일은행은 고종 황제의 지원 아래 1899년 5월 인천에 첫 지점을 개설했다. 1911년 조선상업은행으로,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개관한 복합 문화 공연장. 우림청담씨어터는 뮤지컬, 연극, 콘서트, 기타 행사 등 여러 장르의 공연을 수용할 수 있는 복합 문화 공연장이다. 원래 영화관으로 사용된 ‘키네마극장’을 공연장으로 바꾼 것이다. 주식회사 우림건설이 공연장을 임대 후원하는 형식으로 주식회사 PMC프러덕션이 운영·관리한 공연관이다. 2002년 4월에 개관한 이래 넌버블 퍼포먼스 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던 디지털미디어기기 전문기업. 우전앤한단은 세계적인 수준의 디지털 멀티미디어기기 전문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우전앤한단은 1997년 9월 한단정보통신으로 설립되었다. 1997년 9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891-43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97-11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8년 11월 병역특례 지정업체로 선정되었고, 200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건물. 우혁이네집은 차운기가 설계를 맡고, 꼴건축이 시공을 맡아 1997년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로 외부 마감을 노출콘크리트와 유리, 코르텐강으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128.7㎡이고, 건축면적은 68.71㎡이다. 용적율은 140.14%, 건폐율은 53.39%로 지하1층, 지상 4층으로 되어 있다. 1층은 웨딩관련 시설이 들어서 있...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Water Gate는 피케이투건축의 조택제가 설계를 맡고, 피케이투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7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다. 대지면적은 1,104.50㎡이고, 건축면적은 547.34㎡이다. 용적률은 248.8%, 건폐율은 49.56%로 지하 1층, 지상 6층으로 되어 있다. 부산저축은행과 워터게이트갤러리가 있었으나 2011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과 압구정동 일대에 웨딩샵이 밀집한 지역. 웨딩의 거리가 위치한 ‘강남 청담·압구정 패션특구’는 수십여 개의 웨딩업체들이 운영되고 있는 지역이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육성·관리하여 국내외 관광의 유치와 고부가 가치 창출로 지역경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강남구청은 연구용역과 자문위원회와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공청회를 열어 2008년 7월 2...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업무용 건물. 웰타임 사옥은 2001년에 건립된 업무용 건물로서 해외브랜드 시계 무역업체인 웰타임 코리아의 사옥으로 건립되었다. 건축적으로 건립 당시에는 파격적으로 형태주의적이고 표피주의적인 건축양상을 보여 눈에 띠는 건물이었다. 지상 5층, 지하 1층 규모의 건물로 현재는 일반 근린생활시설로 이용되고 있다. 웰타임 사옥은 건축가 공철이 2000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용역 통합서비스업체. 위즈코프는 e-비지니스 솔루션, 모바일비지니스, 유비쿼터스 비지니스 분야에서 선두에서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위즈코프는 위즈정보기술로 1995년 3월에 설립되었고, 2000년 5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6년 3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15-5로 본사를 이전했다. 2013...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청담초등학교 맞은 편에 위치한 유 아트스페이스[대표 유병국]는 상업미술전시관으로서 미술전시는 물론 각종 문화행사와 공연 등이 열리고 있다. 주변 주거 지역과 압구정로 건너 유명 패션숍과 디자이너 작업실 등이 모여 있는 상업지역인 화려한 청담동 거리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곳에 위치해 있다. 유 아트스페이스는 원래 인사동에서 시작되었는데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클래식 전용 공연장. 유림아트홀[운영자 송경화]은 클래식 전용 음악회장이자 실내악 연주회장이다. Steinway Sons와 Yamaha Concert용 피아노 2대와 2백 60석의 객석을 갖추고 신인들을 위주로 대관하고 있다. 유림아트홀은 다양한 기획공연을 열고 있다. 봄을 여는 클래식 음악회, 실내악 축제, 가을음악회, 송년 음악회 등 계절별 특성...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던 유선 인터넷 데이터 전송장비 제조 및 판매업체. 유비쿼스는 세계 스위치시장에서 인정받는 글로벌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0년 7월에 주식회사 로커스네트웍스로 설립되었다. 2003년 9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467-12로 본사를 이전했다. 2005년 3월 상호를 유비쿼스로 변경했고, 2009년 1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강남역에서 교보타워 사거리까지의 IT 기반의 최첨단 디자인 거리. U-Street는 가로 환경 재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으며 강남역에서 교보타워 사거리까지의 위치를 말한다. 강남역 중심상업지역 760m 구간에 시설물을 통해 엔터테이먼트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U-Street는 강남구청 주도로 진행된 특화거리 사업으로써 ‘강남대로 U-Stre...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토목엔지니어링 업체. 유신은 자연과 인간의 공생을 목표로 한 친환경적인 엔지니어링 업체를 목표로 설립되었다. 유신의 모체인 유신특수설계공단은 1966년 1월에 설립되었다. 1996년 유신코퍼레이션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2년 1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10년 3월 유신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유신은 도로, 철도, 공항, 교량, 항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개관한 공연장.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유씨어터[대표 유인촌]는 1999년 4월에 개관한 공연장이다. 지상 6층, 지하 2층 건물 지하에 마련된 유씨어터는 250석 규모의 객석을 갖춘 다목적 공연장으로 연극을 중심으로 소극장용 오페라나 클래식음악회, 콘서트 공연장으로도 활용된다. 유씨어터 공연장의 규모는 객석 및 무대 면적이 1층은 215.6㎡, 2층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증권사. 유안타증권은 1962년 6월 4일 일국증권으로 설립되어 1962년 6월 12일 증권업 허가를 받았다. 1985년 6월 18일 일국증권에서 동양증권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6년 11월 27일 본점을 이전하였다. 1992년 2월 12일 해외현지법인을 설립하였다. 1994년 5일 2일 을지로에서 여의도로 본점을 이전하였으며 2000...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던 전원공급 장치, 혼성집적회로 및 LED 솔루션의 제조, 판매 업체. 유양디앤유는 디지털디스플레이, 신재생 에너지와 융합한 유비쿼터스의 선도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6년 11월 유양화학으로 설립되어 1995년 12월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4년 4월 유양정보통신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2008년 3월 현재의 상호인 유양디앤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하고 있는 법인 저축은행. 저축은행은 중소기업과 영세상공인 및 서민들의 경제적인 고충을 지원하는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자본의 대형화 및 전문경영인 체제의 확립과 정부의 지속적인 법 개정과 일련의 행정조치 등으로 현재의 저축은행으로 발전하였고 이후에도 대외공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부와 업계의 꾸준한 노력으로 출범초기와 비교하여 질적·양적인 면에서 비약적인...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증권사. 유진투자증권의 모체인 서울증권은 1954년 5월 12일에 설립되어 1957년 본점을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가로 이전하였다. 1987년 8월에 주식을 한국거래소에 상장하였고, 1989년 10월 21일 외국에서의 증권업 허가를 받았다. 2001년 8월 1일 기업집단 대림에서 계열이 분리되었으며 2002년 12월 17일 제일선물을 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인능산 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율암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 산 52-1에 위치한 자연발생적인 약수터로 1989년 개발되었다. 율암약수터는 인능산의 북사면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2012년 현재 이용면적은 300㎡이며, 1일 취수량은 5ton,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약 500명이다. 등산로와 연계하여 위치해 있으며, 주변에는 의자 13개소·체력 단련...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율현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는 법정동으로 세곡동 관할 하에 있다. 대부분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지역이다. 율현동(栗峴洞) 동명의 유래는 율현동에서 세곡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에 밤나무가 많이 있었으므로 밤고개, 한자명으로 율현(栗峴)이라 한 것에서 유래한다. 밤나무들은 조선시대 숙종 때 영의정을 지낸 유상운(柳尙運)[1636~1707]...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 있었던 자연마을. 은곡마을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 있었던 마을로 남양 홍씨(南陽洪氏)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으며, 현재는 대왕초등학교가 입지해 있는 지역의 과거 지명이다. 은곡마을은 과거에 망골[望谷] 또는 막은골이라고 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막은골이라는 명칭은 나무를 심어서 마을 입구를 막은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망골에는 남양 홍씨(南陽洪氏)...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사립 여자고등학교 은광여자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미래의 지식기반사회를 주도할 책임감과 리더십이 강하며, 자기계발에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세계인으로서 타인과 살아가는 지혜를 배우고 봉사하는 전문인을 육성한는 것이다. 은광여자고등학교는 ‘진취적인 미래인, 창조적인 지성인, 자주적인 봉사인’을 교훈으로 삼고 있다. 은광여자고등학교는 1946년 10월 16...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민간건설업체가 건설한 대단지 공동주택. 은마아파트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316 대지 23만 9,224㎡에 14층 규모 건물 28개동으로 건설되었다. 단위세대는 101㎡ 2,674가구, 115㎡ 1,750가구로 총 4,424가구로 구성되어 있다. 민간건설업체인 한보주택이 1978년 5월 27일 사업승인을 취득하고, 1979년 9월 3일 준공하였다. 강...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사립중학교 은성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올바른 인성 교육을 통한 도덕적인 사람, 서로 협동하고 봉사하며 자율과 질서 존중을 익혀 미래에 대비하는 세계화의 주역이 될 참된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제로운동, 걷기운동 생활화, 기본생활습관 정착을 위한 노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교훈은 ‘진취적인 미래인, 창조적인 지성인, 자주적인 봉사인...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예금의 수입(受入), 유가 증권 또는 기타 채무 증서의 발행에 의하여 일반 대중으로부터 널리 채무를 부담함으로써 획득한 자금을 규칙적·조직적으로 대출하는 업무를 영위하는 기업. 한국에 근대적 은행제도가 도입된 것은 일본 제일은행 부산지점이 개설된 1878년(고종 15)이다. 1909년 중앙은행으로서 구(舊)한국은행이 설립되었으나, 국권피탈 후 업무를 조선은행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소리를 소재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 전근대 시기까지 강남 일대는 농경지 내지 저습지가 대부분이었고 도성에서 가까운 만큼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전국 각지에 전승되는 전통음악의 흔적을 찾기는 매우 힘들다. 그러나 서울이 커지고 강남이 한국의 사회, 문화, 경제 전반의 중심지로 부상하자 전통음악의 전승 및 향유에서 또한 중심...
-
서울특별시 강남구가 추진하고 있는 의료서비스와 휴양·레저·문화 등 관광활동이 결합한 관광 산업 의료관광은 의료서비스와 관광 상품을 연계한 적극적 마케팅을 바탕으로 추진되는 산업으로 일반 관광 산업보다 이용객의 체류기간이 길고 비용이 높기 때문에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2009년 5월과 2010년 1월 의료법 개정 후 병원에서의 외국인 환자 유치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통합 보안 관리업체. 이글루시큐리티는 통합보안관리 및 융·복합 보안 분야에서 선도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이글루시큐리티는 1999년 11월에 설립되었고, 1999년 12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43-42로 본사를 이전했다. 2010년 8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이글루시큐리티는 통합 보안 관리시스템을 국내에 처음 도입...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있던 엔터테인먼트업체. 이매진아시아는 해외에 적용이 가능한 수익모델을 창출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회사가 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매진아시아는 1976년 7월에 반포산업으로 설립되었다. 1982년 10월 6일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513-3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0년 3월 24일 반포텍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6년 2월 주식회사 스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이브갤러리는 1996년 10월에 침실제품 유통기업인 이브자리가 사회공헌을 목적으로 동대문구 휘경동에 개관한 갤러리이다. 2008년 5월에는 갤러리를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이브자리 유통매장인 삼성동 코디센 5층으로 이전하였다. 회화, 조각, 공예, 설치, 의상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이 연중 내내 전시되고 있는데 사회공헌을 목적으로 개관한 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서 2003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라이프 스타일 비즈니스 호텔. 앰배스텔은 현재 이비스 스타일 앰배서더 서울 강남 호텔과 이비스 스타일 앰배서더 서울 명동 호텔을 운영하고 있는 법인이다. 이비스 스타일 앰배서더 서울 강남 호텔은 한국의 대기업들과 신(新) 벤쳐 기업들의 본사가 대거 집중된 서울의 경제 중심지역인 강남구 대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설립된 터키 정부의 문화원. 대한민국과 터키의 문화교류의 확대와 이해증진을 위해 설립된 이스탄불문화원[터키문화원]은 1998년 마포구 동교동에서 개원하였다가 2007년 1월 강남구 역삼동의 조용한 주택가로 이전하였다. 터키는 다양한 문명이 공존하는 곳으로 풍부한 문화유산을 자랑한다. 터키문화원에서는 다양한 문화강좌와 한국, 터키 교류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있는 아동복지센터. 이웃사랑 일원지역아동센터는 지역 아동의 복지증진을 위해 2009년 5월 설립되어 사회복지법인 이웃사랑실천회에 위탁하여 운영하고 있다. 2006년 8월 물댄동산네트워크와 이웃사랑실천회는 2006년 8월 아동 지역 센터 컨소시엄을 구성하면서 1호로 난곡아동지역센터를 설립하였다. 2009년 5월 일원지역아동센터가 4호로 설립되었다. 2012...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LPG수입 및 국내 공급을 주요사업으로 하는 업체. E1은 LPG의 원활한 공급을 그 목적으로 한다. 1984년 9월 여수에너지로 설립되어 1993년 11월 LPG도입 판매량 1,000만톤을 돌파하였고, 1994년 10월 업계 최초로 ISO9002 인증을 획득했다. 2004년 3월 E1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E1은 LPG차량의 보급 확대를 위해 L...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미생물제제 및 효소제를 생산하는 업체. 이지바이오는 식품, 의약, 농업, 축산 등 생물자원분야에서 생명공학을 응용한 고부가가치의 신제품을 개발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자연과 조화된 건강한 삶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로 설립되었다. 이지바이오는 1988년 3월 이지시스템으로 설립되었다. 1989년 12월 1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22-4에서 서울특별...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경운박물관에 소장된 이해상 내외가 입었던 상복. 이해상 내외 상복은 영왕(英王)[1899~1970]의 재종질인 이해상과 부인 신계완이 영왕의 장례식 때 입은 옷이다. 이해상과 신계완의 딸인 이남주가 경기여자고등학교에 기증하였다. 기증된 상복은 굴건(屈巾), 건(巾), 수질(首絰), 최의(縗衣), 상(裳), 요질(腰絰), 중단(中單), 대수장군(大袖長裙),...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전원 공급 장치 및 전력변환장치 제조 업체. 이화전기공업는 전력전자 업계의 일류기업으로 도약하는 것이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이화전기공업의 모체인 이화전기공업은 1956년 1월 설립되었고, 1985년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210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4년 12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0년 1월 11일 상호를 이티아이로 변경했...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의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업체. 1980년 9월 문화데스크로 설립되어 1989년 6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7년 12월 현재 상호인 인디에프로 상호를 변경했다. 인디에프는 의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여성복으로는 "조이너스, 꼼빠니아, 예츠, 예스비", 신사복으로는 "트루젠, S+", 캐쥬얼 브랜드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인문·지리적 요소. 강남구는 현재 서울특별시 남부 지역의 사회·문화·산업·행정·교통·관광의 중심지이다. 1960년대의 서울특별시는 경제 발전과 인구 팽창이 급격히 진행되었다. 이에 1963년 광주군에 속했던 강남 일대를 주상복합 전원도시의 개발을 목표로 하여 성동구에 편입하였다. 강남 지역은 개발 붐을 바탕으로 더욱 인구가 증가하였고, 197...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체성분 분석기 개발 및 제조업체. 인바디는 국내 대표 의료기 전문회사가 되어 모든 이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인바디는 바이오스페이스로 1996년 5월에 설립되었다. 2000년 12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8년 10월 중국에 현지법인을 설립했다. 2013년 3월 22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2길 5...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었던 모바일서비스 관련 네트워크 인프라 솔루션 업체. 인스프리트는 우수한 기술로 미디어 컨버전스 전문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인스프리트의 모체인 인프라빌리는 2000년 10월 설립되었고, 2005년 1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7년 9월 인트로 모바일을 흡수 합병하였고, 2007년 12월 인스프리트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8...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서 1999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1급 관광호텔.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는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와 함께 강남구 삼성동의 한국종합무역센터 단지를 구성하고 있다. 1985년 한무개발로 출범하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를 개관하고 경영하며 우리나라 호텔 전문 기업으로 성장한 파르나스 호텔은 1999년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자원 개발 사업업체. 일레덱스홀딩스는 글로벌 에너지 전문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일레덱스홀딩스의 모체인 한국강업은 1979년 1월에 설립되었고, 1998년 1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1999년 알레덱스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8년 4월 1일 전자부품사업을 물적 분할했다. 2007년 12월 룩손에너지홀딩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건물. 일원 까치어린이공원 내 화장실은 MC스페이스건축사사무소의 백남권이 설계를 맡고, 서림종합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하였다. 직육면체를 기본으로 가운데 두꺼운 사다리꼴 벽이 삽입되어 있다. 그 벽을 중심으로 정면은 THK 18 칼라복층유리로 마감하였고, 나머지는 THK 20 고밀도 데크목으로 마감하였다. 일원까치 어린이공원 내에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있는 일원1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일원1동 주민센터는 강남구 일원1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일원1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일원1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조선 시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일원2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일원2동 주민센터는 강남구 일원2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일원2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일원2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조선 시대 말까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일원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으며 행정동으로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으로 구성된 법정동이다. 일반 단독주택 및 대단위 아파트단지로 형성된 주거지역이다. 일원동은 옛날 이 마을에 일원서원이 있었으므로 ‘일원’ 또는 ‘일언’이라 한데서 연유한다. 또한 이 근처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이므로 ‘본동’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일설에는 이 마을의 사방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소재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일원동성당은 1994년 2월 22일 개포동성당과 수서동성당에서 분리하여 1,235세대 3,784명으로 본당을 설립하였다. 하상복지관 지하강당을 임시성당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95년 현재 위치의 대지를 매입하고 1996년 착공하여 1999년 3월 14일 준공 축성하였다. 일원동성당은 지역 신앙 공동체의 설립과 그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도로.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일원동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1.4km, 폭 20m, 4차선 도로이다. 일원동의 남·북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9년 지정되어 1996년 완료된 수서택지개발지구 사업으로 남쪽구간이 연장되었다. 2012년 현재 일원로는 일원동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다. 남쪽으로는 광평로와 교차하고 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있었던 자연마을. 일원마을은 대모산 북쪽 사면과 산록에 위치한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의 어원이 되었던 마을의 과거지명이다. 일원마을은 과거 일원서원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마을의 사방이 대모산에 가려져 있기 때문에 ‘편안한 마을’ 또는 ‘숨어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일원마을은 일원동이라는 동명의 유래가 되었는데, 조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있는 일원본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일원본동 주민센터는 강남구 일원본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일원본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일원본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조선 시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717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3호선 지하철역. 일원역은 서울도시철도 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1993년 10월에 건설되었다. 일원역은 플랫폼길이 205m, 시설규모 4층, 총 면적 10,584㎡이며, 1~7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시설로는 역무실 1개소, 환승주차장 1개소, 자전거보관소 3개소, 무인민원발급...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 청소년 등에 학습공간과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구립 독서실 일원청소년독서실은 강남구 지역 저소득층 청소년 등에게 학습 공간을 제공하고 학습지원을 중심으로 특기적성교육, 문화, 체험활동 기회를 마련한다. 공부방, 도서자료실, 인터넷 정보자료실, 교육문화프로그램, 청소년 상담실 등을 운영하여 강남구 지역 청소년과 주민에게 열린 문화공간을 제공한다. 강남구청이 설...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과 일원동으로 이어지는 광평로의 일부를 이루는 쌍굴 터널. 매봉터널은 쌍굴 터널로 편도 차선마다 터널이 따로 분리되어 있다. 일원터널의 명칭 유래가 되는 일원 동명은 옛날 이 마을에 일원서원이 있었던 데서 연유한다. 또한 이 근처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이므로 본동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일설에는 이 마을의 사방이 대모산에 가려져 숨겨있는 마을 또는 편한 마을이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교회. 임마누엘교회는 1986년 12월 백남석 목사에 의해 시작되었다. 1987년 1월에 일원동 682 옥천탕 3층을 전세로 빌려 이전하였다. 이후 2010년 9월에 일원동에서 개포4동 1198-2로 이전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임마누엘교회는 매일 하나님의 말씀을 가까이 하고, 날마다 기도로 성령 충만 하고, 주님의 명령에 순종하고, 전도에 힘을...
-
청동이나 철, 백동의 기물 표면에 문양을 새겨 넣는 장인과 그 기술. 입사장은 청동이나 철 등 금속제 표면 위에 무늬를 새기고 그곳에 금은실을 박아넣어 장식하는 장인이다. 삼국 시대에 환두대도를 비롯하여 고려 시대의 향완이나 정병 등 불교용품을 장식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는데, 고려 시대의 장인 중에 입사장의 명칭은 보이지 않는다. 조선 시대에는 조선 초기 『경국대전』부터 근대 개항...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자곡동(紫谷洞)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는 법정동으로 세곡동(細谷洞) 관할 하에 있다. 대부분 개발제한구역 지정되어 있는 지역이다. 자곡동은 대모산 인근에 있었던 자연마을인 자양동의 ‘자(紫)’자와 지곡동의 ‘곡(谷)’자를 따서 자곡리라 칭한 것이 서울특별시에 편입되면서 자곡동이 되었다. 자곡동의 연혁은 조선 후기까지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의 자...
-
보금자리 시범 지구인 서울 강남 지구의 경관과 품격 향상 목적으로 건립한 전통 한옥. 보금자리 시범 지구의 경관과 품격 향상 및 한옥 문화 체험 등을 위하여 서울 강남 보금자리 주택지구 제5호 근린공원 내에 건립된 전통가옥이다. 영남 지방의 폐쇄형 평면과 남도 지방의 개방형 평면이 혼합된 튼ㅁ자의 중부 지방 평면 형식을 갖춘 논산 윤증 고택을 원형으로 설계·시공되었다. 남성의 공...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에 있는 단독주택. ‘자곡동 주택’은 엠엔에이건축의 윤근남이 설계를 맡고, 전무태가 시공을 맡아 2006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다. 대지면적은 301㎡이고, 건축면적은 127.59㎡이다. 용적률은 75.96%, 건폐율은 42.39%로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되어 있다. 건축계획에서 가장 신경을 쓴 부분은 이웃과의 융화였는데, 기존 지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에 있는 단독주택. 자곡동 타운하우스은 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의 김승회, 강원필이 설계를 맡고, 삼성중공업이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로 외관은 라임스톤, 징크, 적삼목으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315.00㎡이고, 건축면적은 157.32㎡이다. 용적률은 197.15%, 건폐율은 49.94%로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되어 있...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자립형 푸드 마켓. 자립형 푸드마켓 미소는 전국 최초로 수익을 내는 매장을 운영하는 푸드 마켓이다. 자립형 푸드마켓 미소는 후원에 의존하던 기존의 푸드 마켓 형태에서 벗어나 수익을 내는 매장을 운영하여 필요한 물품을 고루 구비함으로써 이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설립되었다. 자립형 푸드마켓 미소는 1층에 카페를 두어 테이크아웃커피를 저렴하게 판매한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에 있었던 자연마을.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 중앙에 있었던 자연마을이며, 현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의 전원주택단지로 조성되었다. 자양골이란 명칭은 서쪽으로 산을 등지고, 동쪽을 향한 터에 마을이 위치하고 있어 날이 밝으면 돋는 해의 붉은 햇빛을 받기 때문에 자양골 또는 쟁골이라 불렀다. 한자 명칭으로는 자양(紫陽)이라 하였다. 대모산 산기슭에 있었던...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물리, 화학, 농학, 의학 및 기타 자연과학 및 공학에 관하여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산업 활동. 표준산업분류상으로는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은 연구개발업의 한 분야에 속한다. 연구개발업은 자연과학, 인문과학 및 사회과학 등의 각 연구분야에서 새로운 지식을 얻기 위한 기초탐구, 실용적 목적으로 연구하는 응용연구, 제품 및 공정개발을 위한 실험개발 등의 연구개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주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지질·기후·자연재해 등의 자연지리적 환경. 서울특별시 강남구는 남쪽 경계부에 입지한 대모산(大母山)[293m]과 구룡산(九龍山)[306m] 주변 지역을 제외하고 전체 면적의 75.2%가 해발고도 40m 이하, 경사 5% 이내의 낮은 평지로 구성됨으로써 시가지와 교통 발달에 유리한 지형 조건을 갖추었다. 강남구 북쪽과 동쪽 경계부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소년소녀가장 후원 사회단체. 작은사랑 실천운동 시민연합은 소년소녀가장들을 돕기 위해 결성된 시민연합 모임이다. 작은사랑 실천운동 시민연합은 소년소녀가장 장학금 및 생활 보조금 지원 사업, 위탁가정 아동 장학금 및 생활 보조금 지원 사업, 편부 편모 가정 아동 장학금 및 생활 보조금 지원 사업, 수용자 가정 자녀 장학금 및 생활 보조금 지원 사업,...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제2금융권 은행. 1972년 설립된 지역 금융기관으로 본래의 명칭은 상호신용금고였다. 그러나 2001년 3월 상 「상호신용금고법」이 「상호저축은행법」으로 개정되고, 2002년에 현재의 명칭인 저축은행으로 상호가 바뀌었다. 대표적인 서민금융기관인 저축은행은 제2금융권에 속하는 금융기관으로 서민과 영세 상공인의 금융 편의도모와 저축증대를 위해 1972년 「상호...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법률 자문 및 대리, 회계기록 및 감사, 광고대행, 시장조사 및 경영컨설팅 등과 같은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활동. 전문서비스업은 전문지식을 갖춘 인적자본이 주요 요소로서 투입되는 산업으로서, 표준산업분류상 법무관련 서비스업, 회계 및 세무관련 서비스업, 광고업, 시장조사 및 여론조사업, 회사본부, 지주회사 및 경영컨설팅 서비스업으로 세분된다. 강남구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지방은행. 전북은행은 경제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전라북도 지역과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기업과 시민들에게 금융서비스의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전북은행은 1967년 정부의 1도 1행 원칙에 따라 1969년 12월 지방금융 활성화를 목적으로 세워졌다. 1971년 8월 본점을 현재 위치인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6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1972년 3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전시·문화·관광의 명소인 코엑스[한국종합무역센터]에 대한 소개. 원래 코엑스(COEX)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규모 종합전시공간인 한국종합전시장을 가리키는 명칭이나, 넓은 의미로는 전시장이 위치한 건물에 속한 모든 시설과 업체를 모두 망라하는 장소의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흔히 전시·문화·관광의 복합공간으로서 코엑스는 후자와 같이 넓은 의미의 대상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문을 연 국내 유일의 공예전문전시관. 전통공예전시관은 전통의 무형문화를 보존과 계승을 위해 개관한 공예전문전시관으로 국가무형문화재의 기능과 예능 보유자나 단체의 전승활동 공간이며 다양한 전통 공연과 전시, 체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공예전시관은 처음 1988년 9월 1일 경복궁 내에서 전통공예관이라는 이름으로 개관하였다. 1995년 8월 14일에 전통공...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2동에 있는 구립도서관. 강남구청이 운영하는 14개 구립도서관 가운데 한 곳이다. 정다운도서관은 강남구 지역주민의 독서진흥을 위해 설치, 운영하는 도서관으로 강남구청이 통합·관리하고 있다. 정다운도서관은 2004년 11월 1일 개관하였다. 2005년 3월에 개관도서를 입고 하고 도서관 대출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지속적으로 장서와 도서관 회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상가시장. 정동상가시장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상가시장으로서 상설재래시장이라기보다는 정동상가 내에 주로 음식점들이 입점해 있는 형태의 점포 집합이다. 정동상가시장은 1977년 일반주거지역 내 근린생활시설로 설치된 상가로서 건립되었다.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에 점포가 입점하여 상업활동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과거에는 재래시장으로 유...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 및 기타 방식의 정보제공 서비스 활동. 정보서비스업을 표준산업분류상으로는 다시 자료처리, 호스팅,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서비스업, 기타 정보 서비스업으로 한다. 강남구의 2009년 기준 정보서비스업 사업체 수는 총 190개이며, 이 중 자료처리, 호스팅,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서비스업은 79개, 기타 정보 서비스업은 111...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영어교육서비스 제공업체. 정상제이엘에스는 글로벌 리더를 키워가는 기업을 목표로 설립 되었다. 정상제이엘에스의 모체인 정상어학원은 1986년 9월에 개원되었고, 2007년 12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정상제이엘에스는 오프라인 직영 영어 학원을 기반으로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활용위주의 영어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온라인 콘텐츠와 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IT전문 유통업체. 정원엔시스는 대한민국 IT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비즈니스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정원엔시스의 모체인 한미시스템은 1978년 4월에 설립되었다. 1997년 12월 정원과 합병해 상호를 정원엔시스템으로 변경했다. 2000년 9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11년 4월 정원엔시스로 상호를 변경했다. 정원엔시스의 주요...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는 아동청소년 상담센터. 정인아동청소년상담센터는 1998년 1월에 개원하여 아동청소년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한 전문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정인아동청소년상담센터는 아동청소년이 성장과정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회적응을 돕기 위한 전문적인 상담기관으로 설립되었다. 정인아동청소년상담센터의 상담 대상은 아동과 청소년이다. 아동의 전반적인...
-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에서의 통치와 지배, 복종, 협력, 저항 등 인간 활동의 총체. 정치란 국가권력 또는 지방권력을 둘러싼 여러 인간 집단 사이의 갈등과 대립이 표출되는 양상이자 그를 조정하는 행위이다. 따라서 정치는 권력과 함께 출현했다고 할 수 있다. 한반도에서 권력집단이 출현하고 정치가 시작된 것은 청동기 시대 이후이나, 현재의 강남구 일대가 독립된 정치적 단위로 포착...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중소기업 창업 관련 투자, 융자, 경영 지원 등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업체. 제미니투자는 중소기업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제미니투자의 모체인 대신종합개발은 1986년 11월 설립되었고, 1987년 1월 23일 대신개발금융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89년 3월 장외주식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1999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빌딩. 최초 오로라 빌딩(AURORA Building)은 조광연, 김창석, 유대종이 설계하고, 윤석구조엔지니어링이 구조설계 했으며, 승민종합건설이 시공하여 2010년 3월에 준공되었다. 2019년 3월 19일 JW정원성형빌딩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이다. 총 연면적은 2303.36㎡, 대지면적 551.6㎡, 건축면적 270...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제이타워는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의 이영희, 정영균이 설계를 맡고, 삼성물산이 시공을 맡아 2005년에 완공하였다. 전면 폭을 최대로 확보하고 수직성을 강조하기 위한 디자인을 계획하였다. 저층부의 디자인 개념을 통일하고 루버에 의한 일사량을 조절하도록 디자인되었다. 대지면적 1,336.2㎡이고, 건축면적은 784.2㎡이다. 용적율은 781.27...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장로교파 교회. 제일교회는 농어촌선교와 지역선교 및 인재양성을 위해 설립되었다. 제일교회는 1982년 서울특별시 은평구 238 배희수 장로 집에서 첫 예배로 시작되었다. 이후 1982년 1월에 석창세 목사가 담임 목사로 부임했으며 같은 해 3월에 강남구 대치동 은마상가 204호로 옮겼다. 이후 1983년 대치 3동 65의 304호를 매입하여 이전했...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원재료[물질 또는 구성요소]에 기계적·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투입된 원재료를 성질이 다른 새로운 제품으로 전환시키는 산업 활동. 2009년 기준 강남구의 제조업은 1,482개 사업체에 17,057명이 종사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전체의 제조업체 수는 54,947개이고, 종사자 수는 282,583명이기 때문에, 강남구의 서울시 전체 제조업체 대비 사업체 수 비중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소재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Seventh-day Adventist Church, SDA] 소속의 교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예수의 재림과 안식일 엄수를 주장하는 그리스도 근본주의 성격의 교파로 제임스 화이트, 엘렌 화이트, 조세프 베이트, J.N. 앤드류스 등에 의해 창립되었다. 흔히 ‘재림교’, ‘안식일 교회’, ‘재림교회’라고도 불린다. 제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제포빌딩은 종합건축 연미건축의 인의식이 설계를 맡고, 하임건설에서 시공을 맡아 2003년에 완공하였다. 건물은 기능에 따라 2개의 블록으로 분절하였고, 분절된 블록들은 다리로 동선을 연결하였다. 입면은 붉은 사암으로 구성하였고, 알루미늄의 수평, 띠로 입면을 분절시켰다., 전면도로 방향의 목재계단 데크는 데크 사이의 조명과 함께 내부로 관입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포함하여, 초·중·고등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초·중·고등학생이 해외로 유학을 가는 경우. 국제화와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1990년대 중반 이후에 시작된 조기유학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조기유학의 주요 원인으로는 과열된 입시제도, 어학능력의 향상, 진학에 대한 부담,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환경, 국제적인 경험 및 안목 형성 등으로 볼 수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조선화랑[대표 권상능]은 1971년 서울특별 중구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개관하여 23년간 운영하다가 1993년 청담동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2001년 4월에 다시 삼성동 코엑스 2층으로 이전하여 운영 중이다. 조선화랑의 규모는 전시면적이 80평, 부대시설이 30평 정도이다. 조선화랑을 설립한 권상능은 1958년 미성기록영화사[1958~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조이빌딩은 초이건축사사무소의 최철수가 설계를 맡고, 진건종합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7년 완공하였다. 층층이 엇갈려 쌓여지는 2차원 유선형 곡선들은 입면에서 3차원적인 하나의 흐름을 만들어 이 건물만의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다. 외부는 커튼월과 마천석으로 마감되었다. 대지면적은 378.40㎡이고, 건축면적은 184.82㎡이다. 용적율은 246...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행해지는 제반 신앙 행위의 총칭. 현재의 강남구 일대에 불교가 언제 수용되었는지는 분명치 않다. 다만, 384년 백제가 동진에서 온 호승(胡僧)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한 뒤 이듬해 한산주에 절을 지었는데, 이 때 이후 한강 유역 즉 오늘날의 강남구에 해당하는 지역에 불교가 전래되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는 동안 이 지역에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주민자치센터 설치 및 운영 조례’ 제1조의 목적을 위한 각종 문화·복지·편익시설과 프로그램을 총칭. 주민자치센터는 강남구의 각 행정동의 동사무소의 기능을 민원 등 행정사무처리 중심으로 하면서, 거기에 주민복지·문화서비스 기능을 부수적으로 더하는 수준의 주민 편의시설이다. 2001년 이전의 동사무소는 강남구의 행정서비스 및 정보를 전달하고 민원처리, 주민등록등초본...
-
서울특별시 강남 지역의 주택과 주거지에서의 삶. 오늘날 주거 형태는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등이 있는데 서울특별시 아파트의 경우 비중이 59%을 넘어서고 있는 반면에 강남구는 아파트가 전제 주택의 78%를 넘어서고 있다. 강남구는 강남개발과 함께 197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고층아파트가 건설되었고, 압구정동, 역삼동, 대치동, 개포동 등에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 중동고등학교는 인류사회에 공헌하는 창조적 글로벌 리더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이를 위해 인재상의 실력 있는 사람, 창조적인 사람, 공헌하는 사람을 통한 학교교육방침을 설정하였다. 또한 중동고등학교는 정직, 근면, 청결 을 교훈으로 삼고 있다. 1906년 4월 2일 관립외국어학교[현 종로구 견지동 체신기념관 자리]내에 오규신, 유광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사립중학교 중동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참된 사람, 실력 있는 사람, 창조적인 사람을 통해 21세기형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며 효도실천, 순리존중, 사회봉사를 통해 꿈을 갖고 사는 참인간이 되는 것이다. 교훈은 정직(正直), 근면(勤勉), 청결(淸潔)이다. 1906년 4월 2일 관립외국어학교[현 종로구 견지동 체신기념관 자리]내에 오규신, 유광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 중산고등학교의 교육목표는 우리의 내일은 꿈과 열정을 갖고 창의적으로 개척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학교 교육 방침으로서 인성교육 강화, 창의력 향상, 국제 감각을 지닌 학생 양성, 단계적 진학지도의 정착을 교육 방침으로 정했다. 또한 중산고등학교는 ‘정직, 근면, 성실’을 교훈으로 삼고 있다. 중산고등학교는 1989년 12월 19일 학교...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 함양, 학생의 잠재능력 계발을 위한 진로지도, 예절 지도를 통한 인성 교육 강화, 창의적이고 국제적인 감각을 위한 교육통해 인성과 지성을 겸비한 글로벌 인재육성이라는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교훈으로는 ‘윤리 도덕을 존중하자. 타인에게 아량을 베풀자. 어두운 곳을 밝히는 등불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중등 보통 교육 담당 기관 중학교 교육은 1948년 교육법의 개정, 1954년 의무교육 6개년 계획[중학교와 고등학교의 분리], 1955년 8월 중학교 교육과정의 제정·공포, 1968년 중학교 무시험 입학제도와 국민교육헌장의 선포 등으로 성장을 거듭해 왔다. 특히 1968년 중학교 무시험입학제도가 실시되기 전까지 중학교 입학도 시험을 치렀다. 결국 중학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쥴리아나 갤러리[대표 박미현]는 1980년 개관한 기획전문 화랑이다. 개관 초기 한국 미술사에서 중요한 작가들을 Top Show로 기획하여 개인전을 열어 왔는데 천경자, 전뢰진, 남관, 문학진 등 다수의 전시를 선보였다. 2010년에는 갤러리를 대대적으로 재단장하고 20세기 현대미술의 세계적인 거장들의 작품으로 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4동에서 있는 관내 구립도서관 강남구청이 운영하는 14개 구립도서관 가운데 한 곳이다. 즐거운도서관은 강남구 대치4동 지역주민의 독서진흥을 위해 설치, 운영하는 도서관으로, 강남구청이 통합·관리하고 있다. 즐거운도서관은 2004년 9월 1일에 개관하여 오늘에 이른다. 즐거운도서관에서는 다양한 정보서비스 제공, 우리문학 콘서트, 저자 초청강연회, 책 만들기 등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증권 면에 일정한 권리나 금액이 기재되어 있어 자유롭게 매매나 양도 또는 증여 등이 가능한 증서. 증권산업은 기업의 필요자금을 증권을 매개로 하여 조달토록 하는 금융 산업으로서 기업에는 장기 안정적인 산업·재정자금을 조달케 하고, 투자자에게는 증권 투자를 통한 재산증식의 기회를 제공하며, 사회적으로는 자본의 효율적 배분의 기능을 수행한다. 증권업은 국가의 경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아동도서 출판 전문업체. 지경사는 미래의 초석인 어린이를 생각하는 마음으로 어린이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양질의 도서를 보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8년 11월 12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수동 445-5에 도서출판 지경사를 설립하였다. 1984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반포1동으로, 1986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반포1동 우진빌딩 402호로, 1989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GS를 지주회사로 하는 에너지·유통사업 중심의 대규모 기업집단. GS는 LG그룹 허만정 회장 일가의 지분을 끌어내어 독립했고, 출범 당시 계열사는 지주회사인 GS홀딩스를 비롯하여 16개사였다. GS그룹의 주력회사는 GS칼텍스[구 호남정유]이다. GS칼텍스는 1967년 국내 최초의 민간 정유회사로 설립된 석유·석유화학 분야의 에너지 전문기업이다. 2005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오피스 지구인 테헤란로에 위치한 업무용 건물. 2000년에 완공된 GS강남타워는 업무용 건물로 다양한 업종의 업체들이 입주해 있으며 건물 내에는 공연이나 전시 등 도심 속에서 문화를 즐기고 휴식할 수 있는 문화집회시설도 입주해 있다. GS강남타워는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와 미국 S.O.M[Skidmore Owings & Merrill LLP Chicago] 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GS강남타워에 위치한 상업화랑. 강남 중심가인 테헤란로 GS강남타워에 위치한 더스트릿 갤러리는 미술전시를 위한 열린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2006년부터 GS강남타워에서는 다양한 문화 이벤트, 전시, 박람회 등을 열며 강남구 지역의 문화예술 활동에 동참해오고 있으며, 더스트릿 갤러리는 미술부문의 활동을 소화하고 있다. 더스트릿 갤러리는 GS타워의 지상 1...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일부 구간으로 포함하는 서울도시철도 2호선. 지하철 2호선은 서울 지역 도시철도 중 유일한 순환선이다. 지하철 2호선은 1977년 4월 서울특별시가 발표한 ‘서울도시기본구상’에서 서울특별시의 중심기능을 3개의 핵으로 나누는 3핵 도시구상과 함께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1980년 10월 31일 신설동과 종합운동장 구간이 최초로 개통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일부 구간으로 포함하는 서울도시철도 3호선. 지하철 3호선은 초기 건설계획 수립단계에는 지하철2호선과 동시 건설됨에 재정여건적 측면에서 민간투자 사업으로 추진방향을 잡았고, 논의과정을 거쳐 1980년 2월 19일 민간투자건설 계획을 확정 발표하였다. 같은 해 2월 25일 서울지하철건설주식회사를 설립하고 2월 29일 건설 및 운영 위탁 협약 체결과 동시 기공식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일부 구간으로 포함하는 서울도시철도 7호선. 지하철 7호선은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온수역과 경기도 의정부시의 장암역을 잇는 도시 철도로 개통되었다. 이후 2012년 10월 25일 온수역에서 부평구청역이 연장 개통되었다. 1980년대 말 자동차 증가추세에 따른 교통체증과 공해요인을 줄이기 위한 서울특별시 지하철계획의 일환으로 1기 지하철 2,3,4호선이 준공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일부 구간으로 포함하는 서울도시철도 9호선. 지하철 9호선은 서울특별시 지하철 가운데 처음으로 수익형 민간투자사업[BTO]방식으로 건설된 노선이다. 지하철 9호선은 제3기 지하철로 강남·강서 간 원활한 대중교통을 지원하기 위해 계획수립 및 건설되었다. 지하철 9호선은 2009년 7월 24일 개화역~신논현역 구간이 1단계로 개통되었고, 그로부터 약 1년만에 수송승...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 진선여자고등학교는 불교의 신앙 위에서 자아를 완성하게 하고 바른 가치관의 정립으로 창조적이고 민주적인 여성을 기르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진선여자고등학교는 ‘참되고 착한 사람이 되자’를 교훈으로 삼고 있다. 진선여자고등학교는 1964년 3월 25일 학교법인 위덕학사 설립인가를 받았다. 1976년 12월 28일 진선여자고등...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사립중학교 진선여자중학교의 교육목표는 대한불교진각종의 교리인 지혜, 자비, 용맹을 바탕으로 인격을 완성하게 하고, 21세기를 이끌어 나갈 미래의 주역을 기르며, 충효로써 국가 사회에 봉사하는 튼튼하고 창의적인 여성을 기르는데 있다. 교훈은 ‘참되고 착한 사람이 되자’이다. ‘참됨’은 智(지)[眞(진)]를 겸비한 사람이 되자는 것이고, ‘착함’은 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의약품과 섬유·의복의 제조와 판매를 하는 업체. 진원생명과학은 DNA백신의 개발과 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1976년 1월 설립되어 1987년 11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14년 3월 27일 ‘진원생명과학(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진원생명과학은 DNA백신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바이오의약품 연구 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빌딩. (주)참존 대치사옥은 참존 모터스가 만든 아시아 최대 규모의 아우디 전시장으로 2010년 3월에 준공되었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 일반철골구조이다. 총 연면적은 11385.21㎡, 대지면적 1900.7㎡, 건축면적 933.41㎡으로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 일반철골구조이다. 자동차영업소, 수리점[지하 1층], 일반음식점, 미용원[지하 2...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자전거 제조 및 판매와 여행상품제공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업체. 참좋은레져는 지속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만족스러운 상품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참좋은레져는 2007년 2월 삼천리자전거로부터 인적 분할하여 첼로스포츠라는 상호로 설립되었다. 2007년 4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8년 참좋은레져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가톨릭교. 우리나라에 그리스도교가 들어온 것은 제1차 서세동점을 배경으로 해서 중국을 통해 들어온 것이다. 17세기 초부터 중국에 외교사절로 파견된 부연사행(赴燕使行)을 통해 먼저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 소개되었으며 18세기 후반에 종교로 발전하였다. 선교사의 전교 없이 오로지 한역 서학서를 매개로 하여 자발적으로 천주교회가 창설되었던 것...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1동과 송파구 잠실1동을 연결하는 교량. 청담1교는 옛날 이 일대 한강변의 물이 맑아 마을을 청숫골이라고 부른데서 유래하여 원래 청담교로 이름 지어졌다. 이후 청담2교가 준공됨에 따라 청담교는 청담1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청담1교는 연장 450m, 폭 18.5m 4차선 교량이다. 청담1교는 강남구 삼성1동과 송파구 잠실1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1동과 송파구 잠실1동을 연결하는 교량. 옛날 이 일대 한강변의 물이 맑아 마을을 청숫골 이라고 부른데서 유래한 청담교[청담제1교]가 옆에 있어 청담2교라 이름 지어졌다. 청담2교는 연장 500m, 폭 17.4m, 4차선 교량이다. 청담2교는 강남구 삼성동과 송파구 잠실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1988년 건설[준공]되었다. 청담2교는 2012년 현재 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청담갤러리는 1987년 9월 서울 강남구 청담동 9-1에서 ‘청담미술관’으로 개관하여 원로작가, 중진작가, 신진작가의 개인전 초대와 기획전을 열어오고 있다. 전시장 규모는 제1전시장이 175㎡[53평][전시공간 132㎡[40평]], 제2전시장이 231㎡[70평][전시공간 198㎡[60평]] 정도이다. 청담갤러리는 미술품 전시판매 외에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공립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의 교육목표는 미래지향적이고 창조적인 인간, 명예와 신의를 존중하는 인간으로 21세기의 주역이 될 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이상(理想), 창조(創造)’를 교훈으로 삼고 있다. 청담고등학교는 1990년 1월 20일 설립인가를 받고 3월 1일 초대 구창모 교장이 취임하였다. 1990년 3월 3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66에 위치한 근린공원. 청담공원은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산지 형 공원으로 운동시설, 약수터, 골프연습장을 조성한 주민들의 휴식공간이다. 청담공원은 1971년 8월 7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0년 4월 30일에 개장하였다. 청담공원의 면적은 5만 9,347㎡이며, 운동시설·휴게 공간·청소년회관·골프연습장이...
-
강남구 청담동, 도곡동에 위치한 아파트지구. 영동 토지구획정리사업구역 중 아파트 4지구인 청담도곡지구는 총 923,416㎡에 대하여 지정되어 있다. 주구별로 별도의 사업을 실시한 경우로 각 지구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지구 중심은 조성하지 못했다. 4-1지구는 영동대교 남단 동측에 위치한 평탄지이며, 4-2지구는 강남구청 뒤편의 구릉지에 위치하고 있다. 4-3지구는 도곡동의 완만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1동에 있는 구립도서관 강남구청이 운영하는 14개 구립도서관 가운데 한 곳이다. 청담도서관은 강남구 청담1동 지역주민의 독서진흥을 위해 설치, 운영하는 도서관으로, 강남구청이 통합·관리하고 있다. 청담도서관은 1999년 1월 개관한 이래 오늘에 이른다. 청담도서관에서는 주로 도서 대출과 열람실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종 독서관련 문화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청담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법정동과 행정동이 모두 청담동이다. 한강변 주거지역과 화랑 및 패션특구로 이루어진 문화시설이 우수한 지역이다. 청담동(淸潭洞) 동명은 현재 청담동 134 일대의 한강변 물이 맑아 이 마을을 청숫골이라 부른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후기까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에 청숫골·숫골·큰말·작은말·솔모퉁이 등으로 구성...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2동 77에서 청담2동 99에 해당하는 명품을 판매하는 거리. 청담동 명품거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갤러리아 백화점을 기점으로 삼성동 방향으로 이어진 일대를 말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패션과 문화의 거리이다. 청담동 명품거리는 1995년 갤러리아백화점 명품점이 들어섰고, 1996년 서울특별시의 특화거리 조성사업으로 명품거리라는 이미지를 굳혔다. 청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청담동의 행정을 관할하는 기관. 청담동 주민센터는 강남구 청담동의 주민 등록, 호적, 인감 증명 등의 민원 서비스 및 여러 가지 사무를 맡아보는 행정 기관이다. 청담동 주민센터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구정의 주요 업무 안내 및 정보 제공의 행정 서비스를 통하여 청담동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청담동은 강남구의 북...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명품거리와 연계한 카페가 즐비한 거리. 청담동 카페촌은 갤러리아 백화점에서 청담사거리를 거쳐 학동사거리에 이르는 지역일대가 청담동 거리의 뒷골목으로 이국적인 카페와 바·레스토랑이 들어서면서 형성되었다. 청담동 카페촌은 결혼사진 촬영 장소로도 잘 알려진 거리이다. 배후 주거지인 청담중학교 뒤편과 영동대교 남단 빌라촌 등에 연예인들이 다수 살고 있고, 이들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성당. 1903년 현 중림동[약현]성당 공소로부터 시작되어 1972년 양재동성당 공소에 이르기까지 약 70년의 공소시절을 거쳐 1973년 11월 22일 청담동본당으로 승격되었다. 1976년 성당신축공사를 시작하여 1977년 준공[대지 1005㎡|304평), 건축부지 1233㎡|373평)]하였다. 1974년부터 1978년까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빌딩. 청담마리 산부인과 빌딩은 2010년 6월에 준공되었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다. 총 연면적 3132.9㎡, 대지면적 560.1㎡, 건축면적 311.58㎡이다. 준주거지역에 위치한 제1종 근린생활시설로 지하 3층, 지상 7층, 옥탑 1층으로 되어있다. 건물의 지하, 지상층 모두 의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청담마리 산부인과 빌딩은 건축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과 압구정동 일대에 지정된 패션 특화 지역 ‘강남 청담·압구정 패션특구’ 국내·외 명품 패션숍이 밀집되어 있는 강남구 청담동과 압구정동 지역으로 압구정 로데오거리, 갤러리아 백화점, 청담명품패션거리, 도산공원 학동사거리, 모델라인, 청담사거리,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센터, 강남패션지원센터 등이 있는 곳이다.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청담동과 압구정동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청담근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청담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66-3에 위치한 자연발생적인 약수터로 1990년 개발되었다. 청담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청담근린공원 내부에 있는 약수터로 이용면적은 100㎡이다. 1일 취수량은 5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약 500명이다. 약수터로 주변에는 휴게 시설인 의자 4개가 설치되어 있다. 서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77-76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7호선 지하철역. 청담역은 서울도시철도7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청담역은 2000년 8월 개통되었다. 청담역은 시설규모 2층, 총 면적 2만 302㎡이며 1~14번 출구로 구성되어있다. 역사길이가 긴 것이 특징이며[약655m] 내부시설로는 역무실 2개소, 엘리베이터 2개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설재래시장. 청담제일시장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설재래시장으로, 1978년 5월 1일에 개장하여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대규모 점포로 등록되었다. 소규모 시장으로서 전체 점포 수가 45개였으나, 현재는 89채의 도시형 생활주택이 들어설 ‘청담제일시장 정비사업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1978년 5월에 건립되어 상인들이 이 곳 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청담중학교의 교육목표는 남을 배려하고 실력과 갖춘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열심히 배우고, 서로 사랑하며, 바르게 행동하자’이다. 청담중학교는 1984년 1월 9일 설립인가를 받고 3월 1일 초대 신용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06년 12월 18일 단위학교 교실수업 개선 우수학교로 선정되었다. 2007년 1월 3일에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소재의 패션 명품거리. 청담패션거리는 청담역에서 갤러리아 백화점까지의 1.2km 구간의 패션 중심 거리로 2008년 패션특구로 지정된 우리나라 유일의 명품거리이다. 청담패션거리는 서울특별시의 1996년 특화거리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에서 청담동을 패션거리로 특화하면서부터 청담패션거리라는 명칭이 일반화되었다. 청담패션거리가 위치해 있는 청담동(淸潭洞)은 196...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649-1에 위치한 근린공원. 청룡공원은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이 조성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청룡공원은 1985년 1월 15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5년 1월 15일에 개장하였다. 청룡공원의 면적은 9,367㎡이며, 휴게시설과 녹지대 위주의 공원이다. 양재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134-13에 위치한 근린공원. 청수공원은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이 조성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청수공원은 1982년 1월 25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0년 11월 29일에 개장하였다. 청수공원의 면적은 1만 7,402㎡이며, 운동시설과 휴게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공동주택 단지. 청실아파트의 사업주체는 청화기업이다. 청실1차아파트는 1979년 7월에 준공했으며, 청실2차아파트는 1981년 1월 14일에 준공을 마쳤다. 청실아파트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633의 대지 8만 4,967㎡에 청실1차와 청실2차로 분리되어 건설되었다. 청실1차아파트는 11층과 12층 건물 14개동으로 단위세대유형은 102㎡ 33...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교회. 청운교회는 정원종합건축의 임용택이 설계를 맡고, 서희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6년에 완공하였다. 현대건축에 요구되는 단순함과 교회건축의 대표적 조형의 기도하는 손을 형상화한 입면은 부드러운 곡선의 조화로, 안정된 효과를 얻는다. 외벽은 커튼월 유리로 마감하고 양 측면에 12개의 청동 부조물[촛대형 창호]를 세워, 외관 이미지로 상징성을 표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청각 장애인 전문복지관. 청음복지관은 1985년 김기창 화백이 설립한 청각 장애인 전문복지관으로, 청각 장애인의 불편을 줄이고자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청음복지관은 청각 장애인의 평등한 사회 참여와 행복한 삶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청각 장애인이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을 다하고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청음복...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상업 화랑. 청작화랑[설립자 및 대표 손성례]은 1987년 개관한 상업 화랑으로 한국화, 서양화, 조각, 판화 등 작가 초대전을 개최하며, 역량 있는 젊은 작가들을 지원하고 있는 갤러리이다. 전시 외에도 뉴욕, 시드니, 독일, 쾰른, 상하이 등 해외 아트페어에 참여하고 있다. 규모는 건평 100평, 전시실 50평 정도이다. 1987년에 개관 초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청화랑[대표 유혜선]은 1987년 신교동에서 개관하여 1994년 청담동 62-24 이전 개관하였다. 청화랑은 현재 청담동 7-21에 위치하고 있다. 월 1회 이상 초대전을 하는 화랑으로 국내 중견 이상의 회화, 조각, 공예, 판화 등 장르에 구분없이 전시하고 있다. 매년 화랑미술제, 판화제,...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신체활동으로, 인간의 잠재능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인간을 형성하고자 하는 신체활동. 원시인의 교육은 일차적으로 생존을 위한 것이었다. 사냥과 고기잡이 기술, 종족 보존을 위한 전투 능력 배양 등이 주된 교육의 내용이었다. 선사 시대의 원시인들은 문자가 없어 그들의 문화적 성취 수준을 파악할 길이 없지만 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만 6~11세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치된 초등교육기관 초등학교의 역사는 갑오개혁 이후 근대적 교육제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생긴 소학교에서 시작되었다. 1894년 지금의 교동초등학교 자리에 최초의 관립소학교인 한성사범학교 부속소학교[1897년에 관립고등소학교가 됨]가 설립되었다. 1895년 8월 1일 ‘소학교령’이 시행되면서 한성에는 수하동소학교를 비롯한 8...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업체. 초록뱀미디어는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초록뱀미디어는 1998년 5월에 설립되었다. 1999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88-1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41-26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1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517-6으로 본사를 이전하였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축하하여 벌이는 큰 규모의 행사.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주요한 축제로 강남구청과 강남구 체육회가 공동 주관하는 강남구민체육대회, 2008년 10월에 설립한 강남문화재단이 주관하는 대모산축제와 강남패션페스티벌, 청담동미술제 운영위원회가 주관하는 청담미술제, 청담동 박영덕화랑과 아트컴퍼니미술시대가 공동 주관하는 한국현대미술제[KCAF], 서울오픈아트페어가 주관하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주민의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행해지는 정책 및 제반 활동. 강남구청은 서울특별시 평균보다 저조한 출산율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위해 2011년 160여 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 2011 강남구출산장려정책을 추진하는 등 저출산 문제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출산장려사업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가고 있다. 출산과 양육에서부터 자녀를 안심하고 키울 수 있는 보육환경 조성 마련까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성결교회. 1945년 김광전 목사와 소수의 교인이 충무로4가와 충무로5가 중간지점 김목사댁 2층에서 이현[진고개]교회로 창립되었다. 그 후 1946년 서울시 중구 충무로 5가 18-1 소재 적산 가옥을 매입해 교회를 이전하였고, 행정구역 개칭으로 교회명도 충무로교회로 개명했다. 1953년 서울이 수복되었을 때 박명원 목사를 중심으로 상경하여 옛 충...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1952년 설립된 부산 동일교회의 김창인 목사와 서울로 올라온 신자들을 중심으로 1953년 아현동에서 설립된 서울동일교회가 충무로에 이전한 후 이듬해인 1954년 충무로의 ‘충’자와 아현동의 ‘현’자를 따 충성된(忠) 고개(峴) 위에 세워진 시대의 등불이란 뜻의 충현교회로 개명하였다. 이후 1980년대 강남개발 붐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사회복지관. 충현복지관은 충현교회가 기독교 교리에 입각하여 지역사회 복지증진을 위해 설립했으며, 사회복지법인 충현복지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충현복지관은 지역사회의 소외된 이웃의 복지증진에 기여하고자 이웃사랑의 실천을 하고자 한다. 특히, 지적장애인, 발달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자립을 위한 선도적인 복지관을 지향한다. 충현복지관은 1995년 5월 강남...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상업화랑. 카이스 갤러리는 국내외 작가들의 개인전과 그룹전을 열거나 국내외 아트페어에 참여하여 국내외작가들간의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규모는 전체 약 991㎡[300여 평] 정도로 전시장은 2층과 3층에 100여 평 규모이다. 게르하르드 리히터(Gerhard Richter)의 개인전을 시작으로 김기린, 민병헌, 이강소, 김택상, 양만기 등 한국의 중...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모바일 콘텐츠 제작 및 제공 업체. 캔들미디어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의 선도하는 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캔들미디어의 모체인 비트윈은 1999년 2월에 설립되었다. 2001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4동 889-11로 본사를 이전하였고, 2003년 12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5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26-2로 본사를 이전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건물. 커피스미스(Coffee Smith)는 종합건축사사무소 두이건축의 박범영이 설계를 맡고, 손태영이 시공을 하여 2008년에 완공하였다. 가로수길이라는 지역의 특징에 잘 어울리도록 기둥과 가벽을 가늘고 길게 뽑아 올려 돌출시킨 후 최상부에서 연결함으로써 가로수들을 형상화 하면서, 이와 더불어 나무무늬 노출콘크리트로 마감하여 가로수의 거친 볼륨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KB손해보험 사옥에 설립한 공연장. KB아트홀 강남공연장은 공익사업의 일환으로 1998년부터 문화 예술활동을 지원해 왔던LG화재가 2006년 LIG손해보험[현 KB손해보험]으로 CI를 공식 변경하고 강남 신사옥으로 이전하면서 본격적인 기업 메세나 활동을 펼치기 위해 설립한 공연장이다. KB아트홀은 KB손해보험에서 메세나 활동의 일환으로 운영중인 공...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에 50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예금, 대출, 인터넷 뱅킹을 주요 업무로 하는 국내 민영은행. KB국민은행은 담보능력과 신용이 미약한 일반국민과 중소기업자에게 금융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설립목적이다. 1963년 2월 서민경제의 발전과 향상을 위해 제정된 국민은행법 「법률 1201호」이 공포됨에 따라 국민은행이 세워졌다. 1960년 이전까지 사설 무진회사가 15...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1동에 위치하고 있는 보험회사. KB손해보험은 보험업계에서는 후발주자로 출발했지만 국내 최초로 토털 법률서비스 보험시장을 여는 둥 국내 손해보험 시장의 발전을 선도해 온 보험회사이다. KB손해보험의 전신은 1959년 1월 27일 세워진 범한해상보험이다. 1961년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77-5로 본사를 이전하였고, 1962년 6월 27일 범한해상화재보험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던 네트워크 인프라 관련 사업 업체. 케이아이엔엑스는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인프라로 국내 인터넷의 중심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케이아이엔엑스는 2000년 6월 설립되었다. 2001년 4월 서울특별시 종로구 내수동 167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467-4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10년 11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15년 8...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전자문서 중계서비스 등 물류 IT서비스제공업체. 케이엘넷은 세계적인 물류 IT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케이엘넷의 모체인 한국물류정보통신은 1994년 4월에 설립되었고, 1995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80-1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2년 3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6년 3월 케이엘넷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20...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던 철강제품 제조 및 판매업체. KG동부제철은 글로벌화·전문화·고부가 가치화를 통해 경쟁력 세계 제일의 제철회사를 목표로 설립되었다. KG동부제철은 1982년 10월 설립 되었다. 1985년 1월 주식회사 동부제강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6년 2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8년 4월 전사프린트 강판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했다. 2008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KT 산하 지사. KT 신사지사는 강남구민들에게 보편적이고 수준 높은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KT 신사지사는 1983년 3월 19일 서울 영동전신전화국 신사분국으로 신설, 개국되었다. 이후 1990년 2월 1일 신사전화국으로 승격되었으며 2001년 12월 한국통신에서 KT로 기업 CI가 변경되면서 KT 신사지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KT 산하 지사. KT 양재지사는 강남 구민들에게 보편적이고 수준 높은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KT 양재지사는 1993년 1월 서울 영동전신전화국 양재분국으로 신설, 개국하었다. 1994년 1월 25일 도입된 서울특별시 네자리 수 전화번호를 최초로 도입한 전화국이다. 2001년 12월 한국통신에서 KT로 기업...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KT 산하 지사. KT 영동지사는 강남구민들에게 보편적이고 수준 높은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4월 1일 서울 영동전화국으로 개국하였다. 2001년 12월 한국통신이 KT로 CI를 바꾸면서 KT 영동지사로 변경되었다. 주요 업무는 LTE WARP서비스, 컨버전스 서비스, 올레 모바일 서비스, 올레 Wi...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빌딩. CORNERSTON 빌딩은 트임 A&C건축사사무소에 심재현, 오동진, 이왕주가 설계를 맡고, 소망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커튼월과 스타코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519.36㎡이고, 건축면적은 252.20㎡이다. 용적률은 94.38%, 건폐율은 48.56%로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화장 전문박물관. 코리아나 화장박물관은 우리 옛 여인들의 화장 문화를 널리 알리고자 탄생한 국내 최대 규모의 화장 전문박물관이다. 송파(松坡) 유상옥 박사가 1970년대 초부터 소중하게 모아온 5,300여 점의 컬렉션을 기반으로 운영하고 있다. 코리아나 화장박물관은 전통 문화와 예술, 자연의 아름다움이 함께하는 공간에서 우리 옛 여인들의 화장 및...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종합전시관. 코엑스는 범건축, 창조건축, 희림건축, 건원건축이 설계를 맡고, 현대건설, LG건설, 대우건설, 금호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0년에 완공하였다. 단지 전체의 스카이라인과 입면 구성은 전통과 현대[동, 서]의 상보적이면서도 대비되는 건축적, 공간적 요소들을 주제로 표현하였다. 한편 전체적인 동일감을 유지하고 주변건물들 사이에 랜드마크적...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수족관. 코엑스 아쿠아리움은 국내 최대의 테마파크형 수족관이다. 전시 수조 183개, 사육수조 90개, 수량 3,000톤에 이르는 대형 수족관이 있다. 민물생태계를 보여주는 수조, 해양생태계 수족관 등과 전시 외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1999년 4월 코엑스 아쿠아리움 회사를 설립하고 9월에 코엑스 아쿠아리움 공사가 시작되었다. 2000년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공연장. 코엑스 아트홀은 코엑스 2층에 위치한 공연장으로서 186석 규모로 연극, 무용, 뮤지컬, 국악 등 공연예술은 물론 영화상영도 가능한 복합공연장이다. 코엑스 아트홀은 2009년 4월에 개관하였다. 아트홀이 있는 코엑스 컨벤션센터는 1979년 3월에 설립된 국제전시 및 국제회의장인 코엑스를 2000년 아시아유럽정상회의를 위한 준비로 확장 증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뮤지컬 전문 공연장. 코엑스 아티움(COEX Artium)은 맥스트랫의 신종환, 정낙구가 설계를 맡고, 대우자동차판매가 건설부문에서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하였다. 코엑스아티움(CoexArtium)은 한국무역협회와 코엑스가 공동으로 건립한 808석 규모의 객석을 갖춘 뮤지컬 전문 공연장이다. 2009년 4월에 개관한 이 공연장은 현재 효과적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개관한 공연장. 코엑스 오디토리움은 코엑스 3층에 위치한 1,058석의 객석규모를 갖춘 공연장이다.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ia Europe Summit Meeting]를 위해 설계된 시설로 국제회의, 대규모 심포지움, 시상식, 음악회, 뮤지컬, 콘서트, 영화 상영 등의 다양한 행사 개최가 가능하다. 새의 날개를 형상화한 천장과 부채꼴 형태의 단층 객석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앞 전면공지에 있는 공공시설물. 코엑스 피아노분수광장은 범건축 건축사사무소의 정낙구와 맥스트랫의 신종환이 설계를 맡고, 인본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하였다. 코엑스 전면공개공지내에 3개의 배기탑을 피아노 모형으로 형상화하여 디자인하였다. 외부 마감은 LED 조명, 아크릴, 화강암, 사암으로 하였다. 대지면적은 148,784㎡이고, 건축면적...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지하 쇼핑공간. 코엑스몰은 지하에 조성된 대규모 쇼핑공간으로서 외식, 오락, 문화체험 등도 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다. 멀티플렉스 영화관인 메가박스, 테마형 수족관인 코엑스 아쿠아리움, 대형 서점인 반디앤루니스 등이 입주해 있다. 코엑스몰은 2000년 ASEM[아시아유럽 정상회의] 개최를 위해 건립된 ASEM 컨벤션센터와 함께 조성되었으며, 20...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디지털 디바이스와 콘텐츠 사업을 주로 하는 업체. 코원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문화를 창조하는 선도적인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코원시스템은 1995년 4월 거원시스템으로 설립되었다. 2003년 7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5년 3월 코원시스템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코원시스템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보이스[Digi...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CNG충전소 사업과 집단에너지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 코원에너지서비스는 사업다각화를 통해 에너지사업 중심의 기업으로 성장함으로써 고객들에게 편리한 생활을 제공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나아가 삶의 질을 향상시켜 풍요로운 삶을 만드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1978년 7월 설립되어 그해 10월 공장이 착공되었고 1990년 7월 가스기기 판매사업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쿠쿠홈시스 강남사옥은 1988년 완공한 건물로, 2007년에 종합그룹환경건축의 조재용이 설계를 맡고, R&R건설이 시공을 맡아 리모델링하였다. 돌출된 계단실을 철거하면서 건물 전체 외관의 변화를 모색할 수 있게 되었다. 타일마감 일색이었던 외부에서는 현대적이고 깔끔한 느낌을 준다. 내부에서는 시원한 개방감이 들도록 비내력벽을 철거하고 커튼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반도체 사업과 커피 유통 업체. 큐로홀딩스는 반도체장비사업을 기반으로 하여 바이오·미래에너지 사업을 추진하며 인류의 행복을 추구한다는 목표로 설립되었다. 큐로홀딩스의 모체인 삼호엔지니어링은 1987년 12월 설립되었다. 1995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148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0년 1월 인터스타테크놀러지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1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2동에 위치한 벤처투자, 기업구조조정 및 사모투자업무를 주로 하는 업체. 큐캐피탈파트너스는 기업구조조정, 벤처캐피탈 등 전문투자회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큐캐피탈파트너스"의 모체인 한국개발투자는 1982년 12월 설립되었다. 1993년 장외주식거래시장에 상장하였다. 2004년 3월 큐캐피탈파트너스로 상호를 변경했다. 2014년 10월 22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외국어 교육 서비스 제공업체. 청담러닝은 지식산업의 마켓리더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청담러닝의 모체인 씨아이홀딩스는 1998년 12월 설립되었다. 2002년 5월 법인으로 전환했다. 2008년 6월 장외주식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8년 9월 청담러닝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2011년 12월에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22[대치4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금융기관 솔루션 서비스 업체. 큐로컴은 바이오·미래 에너지 사업을 추진하여 인류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큐로컴의 모체인 그루정보통신은 1997년 4월 설립되었다. 1997년 12월에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본동 107-8에서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본동 102-20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9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7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첨단 여과소재 제조업체. 크린앤사이언스는 1973년 3월 전일공업사로 창업하였다. 1986년 1월 전일여과지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0년 7월에 크린앤사이언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0년 12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크린앤사이언스는 자동차용 및 산업용 필터 소재와 그 응용품인 필터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기업이다. 주요 생산 제품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매니지먼트, 문화 콘텐츠 제작 등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업체. 키이스트는 아시아 문화 콘텐츠의 중심이 되어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가치를 창조하는 기업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키이스트의 모체인 한국툰은 1996년 10월 설립되었다. 2003년 11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4년 7월 오토윈테크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6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722에 위치한 근린공원. 탄천공원은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휴게 시설이 조성되어 있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탄천공원은 1990년 2월 2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4년 1월 1일에 개장하였다. 2008년에는 공원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였다. 탄천공원의 면적...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탄천공원 내 공중화장실 건물. 탄천공원 화장실은 도원건축사무소의 유재우가 설계를 맡고, 선라이즈 종합건설회사가 시공을 맡아 2009년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고 외부는 THK2.0 고밀도 목재널, 0.5B점토벽돌 치장 쌓기로 마감하였다. 건축면적은 91.52㎡이고 지상1층 규모에 기존 오수처리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기존에 있던 화장실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과 송파구 가락1동을 연결하는 교량. 탄천교는 교량이 지나는 하천인 탄천(炭川)에서 유래하였다. 탄천에서 명칭이 유래된 교량은 탄천교, 탄천제1교, 탄천제2교가 있다. 연장 340m, 폭 40m, 8차선 교량이다. 강남과 잠실 지역 개발로 인해 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획된 교량으로 강남구 수서동과 송파구 가락1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한양에 의해 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과 송파구 삼전동을 연결하는 교량. 탄천제1교는 교량이 지나는 하천인 탄천(炭川)에서 유래하였다. 탄천에서 명칭이 유래된 교량은 탄천교, 탄천제1교, 탄천제2교가 있다. 탄천제1교는 연장 518m, 폭 30m, 6차선 교량이다. 탄천제1교는 강남구 대치2동과 송파구 삼전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탄천제1교는 1990년 12월 준공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3동과 송파구 잠실7동을 연결하는 교량. 탄천제2교는 교량이 지나는 하천인 탄천(炭川)에서 유래하였다. 탄천에서 명칭이 유래된 교량은 탄천교, 탄천제1교, 탄천제2교가 있다. 연장 518m, 폭 30m, 6차선 교량이다. 강남구 대치동과 잠실동 간의 도로 신설 및 확장 공사에 따라 계획되었으며 강남구 대치3동과 송파구 잠실7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한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에 위치한 건물 탄허대종사 기념박물관은 건축가 이성관이 설계하고, 성영종합건설의 김상기가 시공하였다. 2010년 1월에 준공되어 2010년 11월에 개관하였다. 지하 1층, 지상3층, 옥탑 1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이다. 이 기념관은 단순히 스님을 추앙하고 기리는 공간이 아니라 스님의 정신과 사상 그리고 학문을 통해 불자의 길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사람들이 많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태보 역삼 아이타워는 서울종합 건축사 사무소가 설계, 현대 산업개발이 시공하여 2010년 10월에 준공되었다. 주 구조는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이다. 총 연면적은 18626.53㎡, 대지면적은 1433.6㎡, 건축면적은 798.46㎡이다. 태보 역삼 아이타워는 지하 8층, 지상 46층으로 건물높이는 190.4m의 사무소 건물이다. 이 빌딩은 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시멘트용 인산정제석고와 자동차용 워터펌프 생산 업체. 태원물산은 1955년 1월 삼양상회로 설립되었고, 1968년 2월 태원물산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75년 6월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76년 3월 석고플라스터 제조설비를 준공했다. 1976년 6월 자동차부품제조 전문공장을 세웠다. 2006년 7월 석고수지몰탈 제조설비를 준공했다. 20...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사업체. 태원엔터테인먼트[대표 정태원]는 영화 투자·수입·배급, 음반 제작, 가수·연기자 매니지먼트 사업체이다. 1995년에 태원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여 영화 「프렌치 키스」, 「마스크」, 「덤앤더머」를 수입하였다. 1997년 영화 「할렐루야」를 제작하면서 20여 편의 영화를 제작하였다. 2005년에는 DVD 제작 사업에도 성과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사회복지관.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은 1921년 태화여자관으로 시작한 최초의 사회복지관으로 사회복지법인 감리회 태화복지재단에서 직영하는 복지관이다.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설립이념은 복음전도, 여성교육, 사회사업이다. 대한민국 최고의 선도적 사회복지관을 비전으로 하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과 사회통합, 선도적인 사업개발과 공유를 통한 사회복지발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비즈니스 거리. 테헤란 벤처밸리는 강남구 역삼동 825-15[현 강남대로]에서 선정릉공원을 거쳐 송파구 잠실동 50[현 삼성교]에 이르는 너비 50m, 길이 4,000m의 주간선도로이다. 강남구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대표적 간선도로로 과거와 현재를 이어가며 서울 경제의 미래를 이끌고 있는 무역 도시의 거리이다. ‘테헤란 벤처밸리’라는 명칭은 이란과 한국과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의 강남역사거리에서 삼성동 삼성교에 이르는 강남 지역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도로. 테헤란로는 기존 삼릉로에서 1977년 이란의 수도인 테헤란 시장의 서울특별시 방문과 테헤란시와의 자매결연을 기념하여 테헤란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테헤란로는 연장 3.9km, 폭 50m, 왕복10차선 도로이다. 1972년 서울특별시가 한양천도 578주년을 맞아 도로명칭이 없는 시...
-
강남 일대의 개발에 따른 땅값 상승에 대한 정부대책으로 1967년 11월 말부터 1974년 말까지 부동산 거래에 대하여 부과·징수한 국세. 투기억제세는 「부동산투기억제에관한특별조치세법」 제정·공포 법률 제1972호[1967년 11월 29일]와 「부동산투기억제에관한특별조치세법」 일부개정 법률 제2281호[1971년 1월 13일]에 근거하고 있다. 투기억제세란 부동산투기를 억제할 목적...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기업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비스 제공 업체. 투비소프트는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IT비즈니스를 선도하는 기업을 목표로 설립 되었다. 투비소프트는 2000년 7월 설립되었다. 2006년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222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10년 5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10년 7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08-7로 본사를 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투자신탁회사. 투자신탁은 1960년대 후반에 중앙정부가 내자 동원의 극대화와 기업의 자기자본 충실화를 위한 직접 금융 시장의 확충을 목표로 1968년 11월 「자본시장육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1968년 12월에는 증권시장의 보조기관으로 한국투자공사를 신설하고 이 공사가 증권투자신탁업무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69년에는「증권투자신탁법」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발달 장애우를 위한 특별한 교육, 혹은 특별한 주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교육. 특수교육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발달 장애 등으로 인하여 독특한 교육적 요구를 지닌 자에게 그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 교육을 말한다. 강남구의 특수교육기관은 지역센터와 특수학교, 특수학급, 복지관으로 구분하여 운영된다. 이 외에 강남구에는 일반인을...
-
강남[영동지역]으로 인구 및 자본이전을 유도하기 위한 강북 도시기능 억제 조치. 1972년 4월 서울특별시는 ‘특정시설제한구역’이라는 제도를 발표하였다. 이는 도심부 인구분산계획의 일환으로 종로·중구의 전역 및 용산·마포·성북·성동구의 일부인 2,780만㎡[840만평]에는 백화점, 도매시장, 공장 등의 신규설치를 불허한 조치였다. 이 조치는 당초 서울특별시장의 행정지시였으나 197...
-
강남구 일대를 ‘개발촉진지구’로 지정하여 주택 및 건축물에 대해 각종 세제혜택을 부여하도록 제정된 법률. 1972년 12월 한시법으로 제정·공포된 「특정지구개발촉진에 관한 법률」은 1978년 12월까지 만 6년간 효력이 지속되었으며, 이 법에 따라 개발촉진지구로 지정되면 주택 및 건축물에 대한 각종 세제혜택이 부여되었다. ‘특정지구개발촉진에 관한 임시조치법’은 대도시 주변지구에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서울특별시와 수도권 지역의 특허 관련 업무를 관할하는 특허청 산하기관. 특허청 서울사무소는 1998년 8월 특허청이 정부대전청사로 이전과 동시에 수도권 지역의 특허업무 관련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특허청 소속기관으로 설립되었다. 특허청 서울사무소의 사업은 먼저 출원등록과에서 다음과 같은 업무를 하고 있다. 출원인코드부여 업무와 출원인정보변경신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하고 있는 법인 금융기관. TS 저축은행은 1972년 설립된 지역 금융기관으로 본래의 명칭은 상호신용금고였다. 2001년 3월 「상호신용금고법」이 「상호저축은행법」으로 개정되면서 2002년에 상호저축은행으로 바뀌었다. 주요업무는 수신업무·여신업무·부대업무로 나뉜다. 수신업무는 예금과 부금·적금 등이 있고, 여신업무는 대출·어음할인 등이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바이오 제약기업. 파미셀은 세계적인 의약·의료 전문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68년 8월 설립되어 1988년 5월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3년 원주기독병원 내에 줄기세포치료센터를 설립했고, 2005년 서울아산병원 내 줄기세포치료센터를 설립했다. 2009년 8월 ㈜로이에서 ㈜에프씨비투웰브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2011년 줄기세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서 2005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1급 관광호텔. 코엑스 국제무역센터가 있는 삼성역 사거리에 위치한 파크 하얏트 서울은 비즈니스 호텔로써 200개 미만으로 제한된 객실을 두어 이용객에게 개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로비, 라운지, 레스토랑, 회의실 뿐만 아니라 모든 객실의 바닥부터 천장까지 통창을 설치하여 자연 채광에 유리하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팍스타워는 건축사사무소 지이의 윤토현, 김동호가 설계를 맡고, 노스웨스트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6년에 완공하였다. 본 대지는 5개의 필지에 노선상업지역이 걸쳐져 있는 경우로 하나의 대지임에도 불구하고 도로 쪽에 면한 대지만 상업지역의 용적율을 적용받게 된다. 도로 쪽으로 접근된 매스, 중앙의 커다란 VOID와 건물 전반에 사용된 사선은 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축산물 유통업체. 팜스토리는 인류와 자연의 조화를 통해 풍요롭고 행복한 삶의 가치를 열어가는 기업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팜스토리의 모체인 서일산업은 1994년 1월에 설립되었다. 1996년 2월 도드람사료로 사명을 변경했다. 1996년 6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1년 3월 도드람비엔에프로 사명을 변경했다. 2010년 12월 30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서 2001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1급 관광호텔. 2001년 팝그린 관광호텔은 관광호텔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지상 5층, 지하 1층 구조의 호텔 건물에는 약 100여 개의 객실이 있는데, 트윈 베드 룸, 베드 스탠다드, 베드 스위트 룸으로 구분되며, 여기에 온돌 스위트 룸이 추가된다. 전 객실에는 비즈니스 테이블과 개인 금고, 초고속 인터넷...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가족·연인·친구 단위로 소비하는 외식 전문점의 한 종류. 가정 밖에서 가족 단위로 음식을 소비하는 문화는 비교적 짧지 않은 역사를 가지고 있을 것이나 패밀리 레스토랑(family restaurants)이라는 명칭이 하나의 특화된 음식 전문점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대략 1980년대 후반부터이다. 1988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개점한 Coco’s는 서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퍼스트 에비뉴(1st Avenue)는 2008년 12월에 준공되었다. 주 구조는 철골 철근 콘크리트구조이고, 건물은 전면 50M[북측]에 접하는 세장형으로 대지의 등고는 평탄하며, 커튼월과 콘크리트 벽면이 적절한 조화를 이룬다. 총 연면적은 3,314.76㎡이고, 건축면적은 204.76㎡이다. 현재는 w항외과, 이노그리드[13층], 미즈러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었던 시스템 냉난방기 및 환기 공조시스템 설치공사 전문업체. 퍼시픽바이오는 인간과 환경의 건강을 추구하는 친환경 공조산업의 혁신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퍼시픽바이오의 모체인 맑은이슬은 1997년 2월 설립되었고, 2002년 9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6년 젠컴이앤아이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7년 티티씨아이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8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공동주택. 퍼즐하우스는 건축사사무소 주가인의 박준영이 설계를 맡고, 에스디에이에서 시공을 맡아 2006년에 완공하였다. 각 세대의 프레임을 다양함과 닦화로 표출하여 독특한 입면을 구성한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로 외부는 노출콘크리트, 티타늄 아연강판, 복층로이유리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737.30㎡이고, 건축면적은 398.30㎡이다. 용적률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빌딩. 페라리 자동차 전시장은 라플래즈건축연구소의 김민제가 설계를 맡고, 두이종합건설에서 시공을 맡아 2004년에 완공하였다. 페라리 자동차 전시장은 전체가 유리로 마감되어 있다. 내외부의 투과성을 살리며 바닥조차 유리로 마감함으로써 2, 3층을 수직으로 투과하고 있다. 대지 면적은 635.3㎡이고, 건축면적은 364.01㎡이다. 용적율은 247....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실용서 및 콘텐츠 기획 제작 전문업체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페이퍼북은 참신한 콘텐츠와 감각적 디자인을 추구하며 뷰티, 여행, 요리 등 문화생활에 도움이 되는 실용서적을 출판한다. 페이퍼북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 기획을 목표로 실용적인 정보를 공유하고 나눌 수 있는 실용서 출판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이다. 2010년 페이퍼북...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형태의 사회 교육 및 그 활동. 한국 교육의 중심에서 그 문화를 선도하고 있는 강남구는 1990년대 이후 정식 학교교육 이외의 평생학습을 위한 교육기관, 문화센터가 상당수 설립되었다. 강남구청은 2007년부터 이들 기관을 네트워크로 엮어 교육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왔다. 강남구 주민들이 이 센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원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포도플라자(PODO PLAZA)는 아이티엠아이엔에이건축의 추경돈이 설계를 맡고, Need21이 시공을 맡아 2005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다. 대지면적은 524㎡이고, 건축면적은 286.30㎡이다. 용적률은 286.97%, 건폐율은 54.64%로 지하 2층, 지상 7층으로 되어 있다. 와인 판매 및 전시와 와인아카데미 등...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소프트웨어 유통과 담배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는 업체. 포비스티앤씨는 정보화 사회를 선도하는 사람 중심의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공급업체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포비스티앤씨의 모체인 삼미전산은 1982년 12월에 설립되었다. 1993년 4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1995년 삼미정보시스템으로 사명을 변경했고, 2008년 우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POS-Tower[포스타워]는 POS. A. C가 종합 감리를 하였고, 이규정, 이선재, 강춘만이 설계와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지상은 철골조로 지하는 철근콘크리트와 철골철근콘크리트로 되어 있고, 외부는 T28칼라복층유리ㅡ T25.52강화 접합유리, T4 알루미늄 복합판넬로 되어 있다. 대지면적은 854.80㎡이고,...
-
포스코 서울사무소는 한국의 제선, 제강 및 압연재 생산 및 판매업체인 포스코가 1995년 9월 1일에 개소한 서울사무소. 포스코 서울사무소는 한국의 제선, 제강 및 압연재 생산 및 판매업체인 포스코가 1995년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세운 서울사무소이다. 포스코의 모태는 1968년 3월 세워진 포항종합제철로서, 자본금 4억[정부 3억 원, 대한중석 1억 원]의 국영기업으로 설립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사립미술관. 포스코미술관은 주식회사 포스코에서 문화예술의 메세나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차원으로 1995년에 포스코 갤러리로 개관하였다. 1998년 2월 13일에는 포스코미술관으로 등록하였다. 2000년에 서울특별시 포스코센터 서관 2층으로 확장 이전하여 현재에 이른다. 전시실 규모는 520㎡, 수장고는 96㎡, 기타 37㎡, 총 653㎡이다. 소장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포스틸타워는 포스-에이.씨.에 심성보, 박경수가 설계를 맡고, 포스코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3년에 완공하였다.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는 건물형태를 반영하는 골격으로 발전시켰고, 건물 표피는 크게 네 부분의 성격이 다른 파사드로 구성되었다. 각 부분은 커튼월[AL+GLASS+SST], SST, 판넬[OPEN JOINT 시스템]으로 마감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239-21에 위치한 근린공원. 포이공원은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휴게 시설이 설치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포이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8년 12월 28일에 개장하였다. 포이공원의 면적은 1만 3,577㎡이며, 녹지대와 산책로 사이의 휴게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폭이 좁...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달터근린공원 포이초등학교 옆에 위치한 테니스 코트. 포이테니스장은 1990년에 준공하여 7월에 개방되었다. 강남구 도시관리공단이 관리하고 있다. 건설 사업비로 6억 원이 소요되었다. 야간 동호인들이 게임할 때 조도가 낮아 다소 불편하여 2009년 3월 말 코트 주변 보조등 20개 라이트를 400W로 확충하여 밝게 정비하였고, 수동식 롤러를 전동식 롤러로 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에 위치하고 있는 상업화랑. 표갤러리 사우스는 용산구 이태원동에 있는 표갤러리의 분관이다. 표갤러리는 사설 미술품 전시·판매장으로 공공미술 및 인테리어 미술, 아트뱅킹 등 다양한 미술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 유명 작가들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1981년 여의도미술관으로 출발하여 강남구 신사동에 총 5층 전시 공간 약 528.92㎡[160여 평] 건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하고 있는 법인 금융기관. 저축은행은 서민과 소규모 기업의 금융 편의를 도모하고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며, 중산층 및 서민의 저축을 증대하기 위해서 1972년 8월 제정된 상호저축은행법에 의하여 설립된 제2금융기관으로서 예금과 대출을 주 업무로 하고 있다. 2002년 3월 저축은행으로의 명칭변경으로 대외 신인도가 크게 제고되었으며, 대표적인 서민금융...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종합 건설회사. 풍림산업은 안락한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풍림산업은 1954년 10월 설립되어 1978년 11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8년 11월 화인종합건설을 흡수, 합병하였고, 2012년 5월 기업회생절차를 개시했다. 그리고 2012년 5월 18일 상장 폐지하였다. 2012년 9월 25일 기업회생절차 인가를 받았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클래식 음반 전문 매장. 2003년 문을 연 클래식 음반 전문매장인 풍월당은 음반의 판매는 물론 풍월채라는 음악감상실을 운영하면서 다양한 클래식 음악 공연과 강의, 영화상영 등 클래식을 중심으로 한 문화 공간의 성격을 띠고 있다. 규모는 입주하고 있는 건물 4층, 5층을 이용하고 있으며 각각 396㎡[120평] 정도의 면적이다. 풍월당은 2003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생명보험 회사. 한국푸르덴셜생명의 모회사는 푸르덴셜 파이낸셜으로서 미국에 있다. 1875년 존 F. 드라이든은 ‘일주일에 3센트(3 cent a week)’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회사를 설립한 후 극소수 가난한 서민들도 가입할 수 있는 상품을 만들었다. 그로부터 푸르덴셜생명보험은 설립 이념인 ‘가족 사랑 인간 사랑’의 정신을 130여 년동안 지킴으로써 세...
-
부동산 전매 시 붙이는 웃돈이나 특정 부류에게 주어지는 혜택·특권. 프리미엄의 사회적 의미는 부동산 전매 시 붙이는 웃돈이나 특정 부류에게 주어지는 혜택·특권을 뜻한다. 프리미엄의 의미 범주에 부동산 전매 시 붙이는 웃돈이 포함된 데에는 1960년대 말부터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가 개발되고 이에 복부인이 등장해 부동산 전매차익으로 돈을 벌기 시작한 배경에 근거한다. 농촌이던 서울특...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플래툰 쿤스트할레(PLATOON Kunsthalle) 사옥은 우일종합건축사사무소, Urbantainer, Graft가 설계를 맡고, 효정개발이 시공을 맡아 2009년에 완공하였다. 28개의 컨테이너가 모여 새로운 형태의 건축물을 구성하여 건물 자체가 상징성을 갖도록 하였다. 주 구조는 조립식 철재구조물로 되어 있고 컨테이너 이외에 유리를 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PC부품의 중간유통업체. 피씨디렉트는 IT부품 유통의 선도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피씨디렉트는 1998년 9월에 설립되었고, 2002년 2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2년 5월 부산광역시에 지사를 개점했다. 2004년 10월 광주광역시에 지사를 열었다. 피씨디렉트는 Seagate 국내총판권[Authorized Distr...
-
영국에 본사를 둔 금융 서비스 회사인 프루덴셜 금융그룹의 계열사. 프루덴셜은 글로벌 금융 서비스 회사로, 본사는 영국 런던에 있다. 1848년 5월 30일 런던에서 프루덴셜 상호신용투자 및 대출협회[Prudential Mutual Assurance Investment and Loan Association]로 정식 설립되었다. 1854년부터 보험을 판매하기 시작하여, 1881년에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빌딩. PS그룹 빌딩은 공감종합건축의 이상림이 설계를 맡고, 금호산업이 시공을 맡아 2005년에 완공하였다. 주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와 철골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THK24로이복층유리, THK4알루미늄 복합판넬, 화강석으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688.20㎡이고, 건축면적은 379.88㎡이다. 용적률은 529.66%, 건폐율은 55.22%로 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알루미늄 탈산제 생산 및 판매업체. 피제이메탈은 대한민국 대표 알루미늄 탈산제 기업으로 경쟁력을 갖추어 우량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피제이메탈은 2010년 6월 알덱스로부터 탈산제 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설립되었고, 2010년 12월 장외주식거래시장에 재상장되었다. 2015년 9월 23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81길 13[삼성동 157-...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상업화랑.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에 위치한 필립강 갤러리[대표 강효주]는 기획전문 화랑으로 2004년에 갤러리 필립강 컬렉션으로 서초구 잠원동에서 처음 개관하였다. 2005년에는 필립강 갤러리로 화랑명칭을 변경하였다. 2007년에는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로 화랑을 이전하였다. 2008년에는 필립강 갤러리 도곡분관을 개관하였다. 2011년 4월 1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민간은행. 하나은행은 초우량 금융서비스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내외 기업에게 양질의 각종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시아 기반의 글로벌 금융그룹으로 성장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하나은행의 전신은 1971년 6월 세워진 한국투자금융이다. 한국투자금융은 순수 민간자본으로 만들어진 국내 최초의 비(非)은행금융기관이다. 1972년 영업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증권사. 하나금융투자는 1968년 12월 16일 한국투자공사로 설립되었고 1977년 1월 18일 대한투자신탁으로 설립등기하고 1977년 2월 14일 영업을 개시하였다. 1994년 7월 본점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으로 이전하였고 1997년 7월 한국기네스협회로부터 최초의 투신사 및 최초의 투자신탁상품 인증을 받았다. 2000년 6월 4...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2동에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특수도서관 하상점자도서관은 1982년 설립된 특수도서관으로 다양한 도서정보자료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의 독서문화 활동 증진과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독서활동과 문화생활을 지원한다. 하상점자도서관은 시각장애인의 독서 정보접근과 문자생활 지원을 위해 1982년 시각장애인 스스로 설...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장애인종합복지관. 하상장애인복지관은 시각장애인을 중심으로 하여 1989년 설립된 사회복지법인 하상복지회가 모태가 되어 1993년 강남구 개포동에 설립되었다. 하상장애인복지관은 천주교 순교 성인 정하상의 이름에서 유래하였으며, 정하상의 개척정신을 본 받아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행복한 삶을 돕는 협조자를 사명으로 하고 있다. 하상장애인복지관은 1993...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하이트진로, 하이트산업, 보배, 하이트주정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 지주회사. 하이트진로홀딩스의 모체인 조선맥주는 1933년 8월 설립되었다. 1973년 9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8년 하이트맥주로 사명을 변경했고, 2004년 7월 본사를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132-12로 이전했다. 2008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인적분할 방식에 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에서 1985년 행정동으로 변경된 동. 학동(鶴洞)은 1992년 10월 1일 폐지되어 논현2동으로 개칭되었다. 학동(鶴洞)은 마을 형국이 학처럼 생겼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학실·학리·학곡 등으로 지칭되었다. 학동은 조선 후기까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학동이었으며,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와 같은 해 4월 1일 「경기도령」제3호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26에 위치한 근린공원. 학동공원은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산지 형 공원으로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이 조성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학동공원은 1985년 1월 15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5년 1월 15일에 개장하였다. 학동공원의 면적은 2만 9,947㎡이며,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로 구성되어...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과 청담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학동로는 이 길이 지나는 학동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학동로는 연장 3.7km, 폭 30~40m, 8차선 도로이다. 학동로는 강남구의 동·서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학동로는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제268호로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 가로명 제정 때 학로로 이름 지어졌으며, 1984년 학동로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208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7호선 지하철역. 학동역의 유래가 되는 학동은 마을모양이 학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학실, 학곡, 학곡동으로 지칭되었다. 학동역은 서울도시철도 7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학동역은 2000년 8월 개통되었다. 학동역은 시설규모 2층, 총 면적 9,293㎡이며, 1~10...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노인복지센터. 학수정노인복지센터는 2009년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학수정 경로당을 리모델링해서 건립되었으며, 사단법인 우리복지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다. 강남구청에서는 노인복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경로당 및 데이케어센터를 설립하여 노인을 위한 재활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자 신사동에 설립하였다. 학수정노인복지센터에는 일반 노인 복지를 위해 외국어...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2동에 위치한 한강의 갈대밭 부근의 옛 지명. 학여울은 양재천과 서울도시철도3호선 학여울역 사거리 사이의 일대를 말한다. ‘학여울’이란 명칭은 탄천과 양재천이 만나는 한강 갈대밭 부근의 옛 지명으로, 조선 시대 『대동여지도』에는 학탄(鶴灘)으로 기록되어 있다. 학여울과 인접해있었던 양재천은 원래 구불구불한 사행천(蛇行川)으로 곳곳에 여울이 형성이 되어 있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83-1에 위치한 근린공원. 학여울공원은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이 조성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학여울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1988년 12월 30일에 개장하였다. 학여울공원의 면적은 1만 2,506㎡이며,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운동 시설로는 산책로 주변을 따라 배치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514-4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3호선 지하철역. 학여울역의 유래가 되는 학여울은 탄천과 양재천이 만나는 지점인 한강 갈대밭 부근의 옛 지명이 『대동여지도』에는 학탄(鶴灘)으로 탄을 한글로 풀어서 학여울이라 제정하였다. 학여울역은 서울도시철도 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학여울역은 1993년 10월 개통...
-
서울특별시 강남구[과거 광주군 언주면]에서 1962년 9월 7일에 발생한 나룻배 전복 사건. 1962년 9월 7일 한강을 건너던 나룻배가 전복되어 현재의 강남구에 해당하는 광주군 언주면(彦州面) 주민 30여명이 익사한 참변(慘變)이다. 1965년 제2한강교[현 양화대교]가 완공되기까지 한강 상의 교량은 1900년에 준공된 한강철교와 1917년에 준공된 한강인도교, 1936년에 준공...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을 조성하는 공유 수면 매립 사업이 추진된 한강 개발 계획 한강변을 따라 제1한강교에서 김포공항까지에 이르는 자동차 전용 도로를 개설한다는 계획이 1966년에 수립되었다. 이는 제방의 기능도 동시에 지니는 강변 제방 도로이다. 제1한강교 남단에서 여의도, 영등포 입구까지의 최초의 유료도로인 강변 1로가 1967년 완공되었고, 이와 때를 같이 하여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북단, 한강에 면하여 통과하는 올림픽대로가 조성되는 계기가 된 한강의 종합개발. 1981년 9월 ‘88서울올림픽대회’ 유치가 결정되면서 1981년 10월 23일 대통령의 지시인 ‘서울 지역 내 한강의 골재와 고수부지 활용방안을 검토할 것’에 힘입어 ‘한강종합개발계획’이 수립되었다. 이는 1982년 9월 28일에 기공하여 1986년 9월 10일에 준공되었는데, 이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도로공원에 한강종합개발사업을 기념하여 세워진 기념탑. 한강종합개발사업은 소양강댐과 충주댐이 지닌 홍수조절 효과를 전제로 한강 연안의 홍수피해를 극소화하는 한편, 한강이 지닌 개발가능성을 극대화하고 버려진 골재를 재원화하여 하천을 종합적·다목적으로 개발 이용하는 것이었다. 사업의 주요내용은 저수로(低水路) 정비, 시민공원 조성, 올림픽대로 건설, 분류하수관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소재한 「발명진흥법」에 근거하여 지식기반사회의 토대마련을 위해 설립된 연구기관.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은 정부가 2005년 말에 「발명진흥법」에 근거하여, 세계 선진국들과 우리나라의 지식재산의 동향 및 관련된 권리제도와 법제, 정부의 정책과 경제·산업계의 동향 등을 연구하기 위해 설립한 연구기관으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다.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은 선진국들과 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국내외 한국인 과학기술단체의 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는 1966년 창립 이후 국내 및 재외한국인과학기술단체를 유기적으로 연합하여 과학기술의 창달을 도모하고 과학기술자의 자질과 지위향상을 꾀하고 있으며 회원단체를 육성하고 국민생활과학운동을 전개하는 등 국가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는 「과학기술진흥법」제14조에 근거,...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준공한 사무용 빌딩. 한국과학기술회관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준공한 사무용 빌딩이다. 한국과학기술회관 본관[구 과학기술회관]은 1971년 10월 28일 착공하여 1976년 9월 24일에 준공하였다. 한국과학기술회관은 과학기술의 진흥을 도모, 과학기술자들의 자질과 지위 향상, 회원단체 육성 및 과학기술 풍토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1966년 9월에 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과학기술 문화의 진흥을 위해 설립한 국가 정책연구기관. 1967년 박정희 대통령이 국가의 과학기술 발전과 진흥을 위해 한국과학기술후원회를 설립하였고 이 재단이 오늘날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전신이 된다. 과학인재의 발굴과 이들을 위한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후생복지를 도모하고 있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지식수준을 높이고 국민생...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터미널로 공항이 아닌 도심에서 입출국 수속을 처리할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도심 속 공항터미널. ‘CALT[City Airport, Logis & Travel, Korea]’는 한국도심공항의 약어이다. 도심 속에서 빠른 공항서비스, 인천공항 및 김포공항을 연계한 도심공항리무진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1985년 4월 한국공항터미널이 설립되었다...
-
우리나라의 무역진흥과 무역업계의 권익증진을 도모할 목적으로, 무역업체를 회원으로 조직하여 운영되는 민간 경제단체. 무역업의 발전을 위하여 무역인 105명에 의해 1946년 7월 31일에 설립된 사단법인이다. 한국무역협회는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등과 함께 경제 4단체에 속하며, 무역업 진흥 및 무역업계 권익보호를 위해 활동한다. 또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문학·학술 또는 예술 저작물 저작권자의 권익 보호 단체. 한국문예학술저작권협회는 저작권자의 권익을 옹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4년 5월 한국저작인협회로 출범하였다가 1988년 7월 문화공보부[현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법인설립허가를 받아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등록을 완료하고 사단법인 한국문예학술저작권협회로 정식 출범하였다. 주요업무로는 저작권의 신탁관리와...
-
한국의 문학과 문화를 해외에 전파하여 세계문화의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 한국문학번역원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해 있다. 한국문학번역원은 한국문학 번역·출판지원 사업, 교류·홍보사업 및 번역가 양성 사업을 통해 한국문화와 문학을 해외에 적극적으로 소개, 홍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우수한 문학작품을 적극 소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한국문화재재단이 설립한 종합 전통 문화 체험 시설.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하고 있는 한국문화의 집은 약칭 코우스(KOUS)로, Korea의 ‘ko’, Cultural의 앞쪽 ‘u’, House의 ‘s’를 집자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옛 문화를 소개하고 이해하는 문화공간이며 내외국인이 함께 한국의 전통문화를 종합적으로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시설이다. 2003...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발명과 지식재산에 대한 제반 사항을 보호·육성하는 특수법인. 한국특허협회에서부터 시작한 한국발명진흥회는 「발명진흥법제52조」에 의거하여 설립된 특수법인으로 우리나라 발명과 특허기술, 지역 지식재산에 대한 사업육성을 도모하고 있다. 한국발명진흥회는 발명진흥사업을 체계적,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발명가의 이익증진을 도모하며 국내 지식재산산업을 보호, 육성...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산업기술 혁신과 관련 정책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산업기술혁신촉진법」제38조에 의해 산업기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기술혁신관련 정책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전신은 한국기술거래소이며, 2009년 5월 4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으로 개편되었다. 산업기술혁신 관련 정책 연구, 중장기 기술기획 및...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KDB금융그룹의 자회사 은행. 한국산업은행은 국가산업의 부흥과 국민경제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중요 산업자금을 공급, 관리함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한국산업은행은 1954년 정부 출자로 산업자금의 공급과 관리를 위해 세워진 정부출자 은행이다. 정부는 1953년 제정된 「한국산업은행법」을 기초로 자본금 4,000만 원으로 은행을 세웠다. 설립...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섬유산업의 장기적인 발전과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협회.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섬유산업의 장기적인 발전과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섬유·패션산업의 혁신전략 수립, 첨단 섬유제품 및 염색가공기술 등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 개발, 기술혁신 및 인재양성을 위한 사업들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서울특...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씨티그룹 계열사 은행. 한국씨티은행은 선진 금융기법을 활용하여 한국기업을 지원하여 경제성장에 기여한다는 목표로 한국 금융 산업에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다. 한국씨티은행의 시작은 1981년 9월 17일 대한상공회의소 주도로 설립된 한미금융이다. 1983년 3월 5일 상호를 한미은행으로 변경하였고, 1989년 1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국내 여성과학기술단체의 총 연합체.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는 여성과학기술단체를 유기적으로 연합하여 여성과학기술인의 발전을 도모하는 비영리사단법인이다.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는 2003년 여성과학기술단체를 연합하여 역량을 강화하고 양성평등을 바탕으로 한 자질 함양과 고용 평등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 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사단법인 골프협회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는 한국프로골프협회의 여자프로부로 시작하였다. 1988년 12월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PGA]는 창립총회를 열고 한장상[전 프로골프협회 회장] 프로를 초대회장으로 추대하였다. 1991년 12월 14일 정부로부터 사단법인으로 인정받아 본격적인 여자프로골퍼 양성을 전개했다. 1970년대 후반까지도 공식적인 여성프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한국은행 강남지점. 한국은행 강남지점은 개점 당시 점차 확대되는 한강 이남 서울 지역의 경제규모 확대에 따라 이 지역 금융기관 예금·대출, 화폐의 발행·환수, 외국환 관리, 화폐 정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개점한 중앙은행 지점이다. 한국은행은 국내 주요 도시에 지역본부를 설치하여 본부에서 취급하는 사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고 있다. 2010...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사립 박물관 한국자수박물관은 전통 자수·보자기·의상 등을 수집, 보관, 전시하고 있다. 1976년 11월 허원실(許原實)·박영숙(朴永淑)이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3가 을지병원 2층에 설립, 개관하였다. 1991년 3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으로 이전하였다. 박영숙과 허원실이 수집한 자수와 보자기들을 일반에게 공개하여 우리나라의 전통 규방문화를 알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한국자유총연맹 산하 강남구지회. 한국자유총연맹은 대한민국 자유 민주주의의 옹호·발전과 이와 관련된 민간단체들과의 협조 및 세계 자유 민주주의 우방국 비정부기구 단체들과의 유대 강화를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한국자유총연맹은 1954년 6월 15일 아시아민족반공연맹으로 출범하였다. 이후 1963년 한국반공연맹법이 제정됨에 따라 1964년 1월 15일 한국...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었던 전력공급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기관. 한국전력공사는 전원개발을 촉진하고 전기사업의 합리적인 운영을 기함으로써 전력수급의 안정을 도모하고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한국전력공사법」제1조] 1887년 3월 경복궁 건청궁에서 최초의 전기점등이 있었다. 1961년 7월 한국전력이 발족되었고, 1981년 12월 한국전력이 해산등기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인쇄용지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업체. 한국제지는 종이를 통해 문화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창업정신으로 설립되었다. 한국제지는 1958년 2월 설립되었고, 1971년 6월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10년 5월에 본점을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942로 이전했다. 한국제지는 인쇄용지[백상지, 아트지, 복사지, 특수지 등] 제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종합무역센터. 한국종합무역센터는 1988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세워졌으며, 트레이드 타워, 서울 코엑스 컨벤션 센터 등 6개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종합무역센터는 좁은 의미로는 트레이드 타워만을 가리키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트레이드 타워를 중심으로 한 일대의 관련 시설 및 단지들을 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한국종합무역센터는 대규모...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전시·회의 시설. 1979년 3월에 문을 연 한국종합전시장[COEX]은 각종 전시 및 회의, 문화 및 예술행사 개최 시설을 갖춘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전시컨벤션센터이다. 원래는 한국종합전시장[Korea Exhibition Center]의 영문 머리글자를 따서 ‘KOEX’라는 명칭으로 불리다가, 1998년 컨벤션(COnvention...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타이어 제조 및 판매회사.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한국 최대·최고의 타이어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국타이어는 1941년 5월 설립되었고, 1968년 12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81년 미국에 현지 판매 법인을 설립했다. 1994년 중국 베이징에 지점을 설립했다. 2019년 5월 8일 사명을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로 변경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토지신탁사업체. 한국토지신탁은 부동산 대중화시대를 선도하고 부동산금융 전문기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국토지신탁은 1996년 4월 구 신탁업법 제3조에 기초해 부동산신탁회사 설립인가를 받고, 한국토지공사의 전액 출자로 설립되었다. 1997년 1월 부산지점, 2월에는 광주지점, 그리고 2002년 5월 중부지점을 개설, 2004년 4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 산하 서울 지역 본부. 한국토지주택공사는 2009년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주택공사 두 공기업이 합병해 만들어진 기업이다. 대한주택공사는 1960년대 정부가 건설업자들의 폭리를 막고 양질의 값싼 주택을 공급한다는 취지로 세운 대한주택개발공사가 그 뿌리다. 한국토지공사의 전신은 1975년 세워진 토지금고이다. 당시 정부는 기업의 비업무용 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증권사. 한국투자증권은 1974년 우리나라 최초의 투자신탁회사로 설립된 한투증권과 1968년에 설립된 동원증권을 합병하여 설립된 증권사이다. 한국투자증권은 1974년 8월 8일, 9월 16일 영업을 개시하여 1996년 3월 21일 뉴욕사무소를 개소하였고 1997년 12월 2일 홍콩에 현지법인을 설립하였다. 2000년 6월 3일 증권사 전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과 용산구 한남동을 연결하는 교량. 한남대교는 한강에 건설된 네 번째 교량이다. 한남대교는 연장 919m, 폭 51.2m, 12차선 교량이다. 한남대교는 1960년대 경제개발과 함께 한강 교량 건설이 본격화됨에 따라 경부고속도로와 더불어 착공되었다. 총 공사비 11억 3,300만원을 투입하여 1966년 1월 19일에 착공하여 4년만인 1969년 12월 25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의약품 및 건강 관련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 한독은 우수한 의약품 및 건강 관련 제품을 제공하여 인류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사회적 책임의 수행으로 사회로부터 존경 받는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독은 1954년 연합약품으로 설립되었고, 1958년 한독약품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제약업계 최초로 1957년 독...
-
‘한류’를 기반으로 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연예산업을 선도하는 서울특별시 강남 일대를 일컫는 말. 한류(韓流)는 한국의 독창적이고 고유한 문화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한류(韓流)’라는 말은 2000년경 에이치오티(HOT)의 중국 공연으로 현지 언론에서 처음 나온 이래, 2003년부터 일본에서 「겨울연가」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이때만 해도 한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건설 사업관리 회사. 한미글로벌는 최소의 공사비로 최고 품질의 건설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미글로벌의 모체인 한미건설기술은 1996년 6월 설립되었다. 1997년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328-10으로 본사를 이전하였고, 1999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32-14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0년 10월 한미파슨스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공동주택 단지. 민간건설업체 한보주택은 1983년 11월 한보 미도맨션 1차를 준공했고, 1985년 4월 한보 미도맨션 2차를 준공했다. 한보 미도맨션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511의 대지면적 19만 5,080㎡에 한보미도맨션 1차와 2차로 나누어서 입주가 이루어진 총 2,435가구가 형성되어 있는 대규모의 공동주택단지이다. 1차는 14층 높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섬유·의복 제조 및 판매업체. 1987년 5월에 설립되어 1996년 7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9년 12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52-1로 본점을 이전했다. 2013년 7월에 현재 위치인 청담사거리 인근의 지하 5층, 지상 17층 규모의 신사옥으로 이전하였다. 한섬은 SYSTEM, MINE, TIME, SJSJ, TIME HOMME...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732에 위치한 근린공원. 한솔공원은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휴게 시설·어린이 놀이터로 조성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한솔공원은 1990년 2월 2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1994년 1월 1일에 개장하였다. 2007년에는 공원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였다. 한솔공원의 면적은 1만 2,878㎡이며, 운동 시설·휴게 시설·어린이 놀이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하고 있는 법인 금융기관. 한신저축은행은 1988년 6월 납입자본금 50억 원을 기반으로 설립한 법인 금융기관이다. 한신저축은행은 1988년 6월 서민과 중소기업의 금융편의를 도모하고 저축을 증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지역금융기관이다. 1988년 7월 설립된 한신저축은행은 1988년 7월 북부지점과 남부지점을 설치하면서 영업을 개시했다. 1994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2동 주변의 과거 지명.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2동 개포 주공아파트 4단지 일대로 과거 600년 수령의 은행나무를 중심으로 자연촌락이 형성되었던 곳을 말한다. 현재는 개포동 주공아파트가 입지해 있다. 한여울은 자연촌락명이며 마을이 갯바닥에 있다고 하여 반곡동(盤谷洞)이라고도 하였다. 한여울이란 명칭은 한강 물이 이곳에 이르면 여울이 세어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소재한 한정식 전문점. 한우리는 1981년 논현동에서 한식당 서라벌로 개점한 후 1990년에 한우리외식산업으로 개칭하였다. 현재 본점 한우리와 2004년에 개점한 한우리한정식을 비롯하여 국내 12개, 해외 9개 지점을 두고 있다. 샤브샤브, 소고기버섯 국수전골, 꽃등심 구이, 양념갈비, 로스편채, 평양냉면 등을 주 메뉴로 하며, 국수, 김치, 된장, 메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종합건설회사. 한일건설은 환경친화적인 건설문화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0년 2월 삼원진흥건설로 설립되었고, 1993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4년 6월 한일건설로 사명을 변경했다. 2015년 초반에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330[역삼동 832-2]에서 현재 위치인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2708[도곡동 411-3]...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정통 한식당. 일제 강점기인 1939년 서울 종로에서 일본식 상호를 단 국밥집 화선옥(花仙屋)으로 신우경이 개업하였다. 1945년 해방과 함께 한일관(韓一館, 한국의 으뜸 식당)으로 상호를 바꾸었다. 1939년 서울 종로에서 화선옥으로 개업한 후 1945년 한일관으로 상호를 바꾸었다. 1950년 한국전쟁 발발로 부산으로 피난을 가 1953년 7월 휴전 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호스팅 및 관련 서비스업체. 한일네트웍스는 인터넷에 필요한 모든 인프라를 제공하는 토털네트워크 서비스와, 차별화된 콘택트 센터[Contact Cente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8년 8월 26일 오늘과 내일로 설립되었다. 2000년 6월 한국통신데이터센터 및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였으며, 2001년 1월 웹에이전시 설립을 위해 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시멘트 제조 및 판매업체. 한일시멘트는 건설문화 발전을 선도하고 인간 존중, 미래 환경을 생각하는 환경친화기업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한일시멘트는 1961년 12월에 설립되었다. 1969년 11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83년 11월 우덕재단을 설립했고, 2011년 1월 대한글로벌을 흡수·합병했다. 한일시멘트는 1961년 시멘트 제조회사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박원호가 소장하고 있는 중국 충칭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1945년 11월 12일 펴낸 애국가 악보. 「한중영문중국판 한국 애국가 악보」는 광복 직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환국하는 임시 정부의 주석 김구(金九)의 위상을 알리고,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가적 대표성을 중국 및 국제 사회에 보여 주기 위해 발행하였다. 2013년 12월 20일 등록 문화재 제5...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212-1에 위치한 근린공원. 한티공원은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휴게 시설·경관 시설이 설치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한티공원은 1977년 7월 14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3년 12월 21일에 개장하였다. 한티공원의 면적은 1만 9,200㎡이며, 남북방향으로 긴 형태이며 휴...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1101-8 일대에 위치한 분당선 지하철역. 한티역은 대치동의 옛 이름인 큰 고개라는 뜻인 한티에서 유래하였다. 건설 당시 임시 역명은 영동역이었으나 경부선 영동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현재 역명이 채택되었다. 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2003년 9월 개통되었다. 시설규모 4층, 1~8번 출구로 구성되어...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한화그룹 계열의 손해보험업체. 한화손해보험은 1946년 4월 신동아손해보험으로 설립한 뒤 1968년 신동아화재해상보험으로 상호변경하였다. 1975년 6월 30일 주식 상장하였다. 2002년 12월 12일 한화그룹 계열에 편입된 후 2007년 1월 3일 현재의 한화손해보험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9년 12월 30일 제일화재를 인수 합병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기판소재사업과 상품권 할인유통, 벤처 기업 투자 등을 영위하는 업체. 키스앤컴퍼니는 인쇄회로기판 소재 분야의 핵심원천기술을 확보하여 영업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품권유통과 벤처 기업 투자 등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기위해 설립되었다. 핫텍의 모체인 내외전기는 1981년 9월 설립되었다. 1989년 9월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2002년 캔디글로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임대 및 관리 사업 업체. 해성산업은 끊임없는 창조와 개발의 자세로 업계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해성산업은 1954년 2월에 설립되었고, 1990년 6월 시설관리 용역사업에 진출했다. 1999년 4월에 주식장외거래시장에 상장되었다. 해성산업의 시설관리용역사업은 1년간의 기간 단위로, 해성빌딩[연면적 3만 5,43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핸디소프트 사옥은 모인포럼건축 이병필이 설계를 맡고, 신구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7년 완공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와 철골철근콘크리트로 되어 있고, 외부 마감은 화강석 버너구이, THK24복층유리로 마감하였다. 대지면적은 1,301㎡이고, 건축면적은 635.22㎡로 되어있다. 용적률은 249.53%, 건폐율은 48.83%로 지하 3층...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에 있는 구립도서관. 강남구청이 운영하는 14개 구립도서관 가운데 한 곳이다. 행복한도서관은 강남구 대치2동 지역주민의 독서진흥을 위해 설치, 운영하는 도서관으로, 강남구청이 통합·관리하고 있다. 행복한도서관은 2006년 10월 도서관 시스템의 전 장비를 구성하고 열람실을 먼저 개방하였다. 2007년 1월 2일에 강남구립 행복한도서관으로 개관하였다. 이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이루어지는 공권력을 배경으로 공공 정책의 합리적인 형성과 집행을 구체화하는 과정. 지방 행정은 지방 행정 기관이 중앙 행정부의 일선 행정 기관으로서 그 지역에 대한 중앙 정부의 일반 행정 사무를 포괄적으로 위임받아 국가 행정의 일환으로 수행하는 행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자치 행정은 그 지역 주민이 스스로의 결정에 의해 중앙 행정 사무 이외의 지역 일반 행정 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을 통과하는 서초구 염곡동에서 경기도 성남시를 구간으로 하는 도로. 헌릉로는 이 길이 지나는 서초구 내곡동 산13-1 대모산 기슭에 조선 태종과 원경 왕후의 능인 헌릉이 있는 데서 유래하였다. 헌릉로는 연장 10.8km, 폭 30~50m, 6~10차선 도로이다. 헌릉로는 서초구와 경기도 성남시 간에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 26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빌딩. 헤리츠타워는 2009년 7월에 준공되었다. 주 구조는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이다. 헤리츠타워는 총 연면적 9460.59㎡, 대지면적 1632.9㎡, 건축면적 812.7㎡로 지하 4층, 지상 7층, 옥탑1층으로 제3종 일반주거지역에 위치한 근린생활, 문화 및 집회, 업무시설이다. 학동역 사거리에 가까이 위치한 헤리츠타워는 전면 커튼월로 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던 어린이 미술관. 헬로우뮤지움 어린이미술관은 사립 어린이 미술관으로서 2007년 12월 6일 서울특별시청에 등록된 어린이 미술관으로 서울특별시에서는 유일하다. 세계어린이박물관협회, 한국박물관협회, 한국사립미술관협회 회원이기도 하다. 2007년 개관전으로 이웅배, 이중근, 황혜선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골라 ‘헬로우 월드’전을 열었다. 이어 어린이를...
-
1945년 8.15 광복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역사.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1962년 말까지도 오늘날의 강남구 지역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과 대왕면 일부에 속해 있었으며, 농촌지대로서의 특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으나 사회 경제적으로는 일부 의미 있는 변화가 진전되었다. 하나는 6.25 전쟁 중 피난민의 주요 이동 경로이자 피난민 수용소가 마련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현대고등학교는 학생들이 개척 정신과 창조 능력을 갖추어 지도자로서의 성품 및 기초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교육의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본교의 졸업생들이 장차 우리 민족과 세계에 선한 영향력을 크게 끼치는 인재가 되도록 한다. 또한 ‘너희는 세계의 빛이라’라는 교훈을 가지고 있다. 1978년 4월 29일 학교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종합물류업과 유통판매업체. 현대글로비스는 신뢰를 바탕으로 물류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글로비스는 2001년 2월 22일 한국로지텍으로 설립되었고, 2003년 7월 글로비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07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25-22로 본사를 이전하였고, 2010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26-20으로 본사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1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개발, 생산, 판매, 수출업체. 현대모비스는 대한민국 자동차 부품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7년 현대정공을 설립하였고, 1985년 9월 현대차량을 흡수·합병하였다. 1983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140-2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99년 공작기계, 철도차량사업, 휠, 컨테이너 사업 등 기존 사업 이관 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백화점 사업이 주요 업종인, 호텔, 식품사업, 종합유선방송을 운영하는 유통서비스 업체. 현대백화점의 전신은 1977년 8월 울산에서 문을 연 현대쇼핑센터[현 현대백화점 울산 동구점]이다. 서울에서는 1985년 12월에 현대백화점 압구정점[현 현대백화점 본점]이 처음으로 문을 열었고, 1988년 9월에는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을 개점했으며, 그 해 12월에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현대그룹 계열의 해상보험 회사. 현대해상화재보험은 1955년 3월 5일 국내 최초의 해상보험 전업회사인 동방해상보험으로 설립되었다. 1963년 8월 동방해상화재보험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6년 일본 지사 및 도쿄에 지점을 개설하였다. 1977년에는 일본 오사카에 지점을 개설하였다. 1980년 5월 동방화재해상보험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영화제작·배급사. 현진씨네마[대표이사 이순열]는 영화제작·배급사로 2000년에 설립되었다. 1960년대부터 운영해오던 영화제작사 세경흥업을 시작으로 1970년대에 세경영화사, 1995년에 순필름, 2000년에 오늘날 현진씨네마로 거듭났다. 1992년 「걸어서 하늘까지」, 1993년 「그대안의 블루」, 1995년 「개 같은 날의 오후」, 1996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사립 박물관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은 성보문화재단이 운영하고 있는 호림박물관의 신사동 분관에 위치해 있다. 호림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 문화유산을 전시하고 있으며 매년 다양한 주제의 특별전을 마련한다. 문화 중심지로 떠오르는 강남구 신사동에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을 설치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보다 쉽게 우리 문화유산의 아름다움을 향유하고 현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아트센터. 호림아트센터는 테제건축사사무소의 유태용, 이정학이 설계를 맡고, 삼성중공업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하였다. 총 3개의 매스가 서로 이어져 하나의 타운을 형성한다. 주 구조는 철골철근콘크리트와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되어 있다. 외부는 THK30지정석재, AL.아노다이징 허니컴 패널, THK 24 칼라복층유리 등으로 마감하였다. 대지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서 1984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1급 관광호텔. 호텔 선샤인은 도산대로와 논현로가 마주치는 강남을지병원 사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호텔 선샤인은 개관 당시 80개의 객실을 가진 3급 관광호텔로 출발하였으나, 2000년 호텔증축 등을 통해서 1급 호텔로 승격하였다. 이후 10여 년이 지난 2010년 2월에는 호텔 개·보수를 진행하여 111개의 객...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서 1988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2급 관광호텔. 1988년에는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객실 확보를 위해 관광호텔 설립을 권장함으로써 1년 동안 관광호텔 15개가 신설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호텔 프리마가 관광호텔로 설립되었다. 2004년 2월, 객실 83실, 레지던스 12실로 호텔 프리마Ⅱ를 개관하였으며, 같은 해 11월에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서 1987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2급 관광호텔. 1978년 만년장으로 회사를 설립하고, 1982년에 관광숙박업 사업 계획 승인을 얻었다. 1984년 청담동에 호텔을 건설 중이던 선관광호텔을 인수 합병하고, 우성관광으로 상호를 변경하여 1987년 12월에 호텔을 개관하였다. ‘리비에라(Riviera)’는 이탈리아령 라스페치아(La Spezia...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예술작품을 전시, 매매하는 시설. ‘화랑’이란 말의 유래는 기원전 3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미술품을 수집한 뒤 저택 회랑(回廊, gallery)에 진열한 데서 유래되었다. 이후 대중들이 미술 감상을 위한 장소로 화랑이 인식된 것은 19세기 이후이다. 오늘날 화랑의 의미는 광범위한데 규모에 상관없이 소규모에서부터 대규모 미술관까지 모두 화랑이라 볼 수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근린생활시설. 화이나트 빌딩은 2006년 완공된 근린생활시설로 업무시설과 주거시설이 함께 계획된 건물이다. 건축가 곽희수[이뎀도시건축 대표]가 건축설계를 맡았다. 건물의 규모는 지하 1층, 지상6층이다. 지하층은 주차장이고 1층에서 5층은 임대사무실로 사용된다. 6층은 주거공간으로 펜트하우스 개념으로 전망이 좋다. 교통편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상거래 기록 작성, 재무제표 작성, 회계 감사 및 증명, 소득세 신고서 작성 등을 수행하는 산업 활동. 서울이 글로벌 비즈니스의 중심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법무, 회계 등의 서비스업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회계 및 세무 관련 서비스업은 기업 활동을 지원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따라서 대기업, 중소기업들이 집적해 있는 지역에 이러한 회계 및 세무 관련 서비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광고대행업을 영위하는 업체. 휘닉스커뮤니케이션즈는 급변하는 광고시장에서 크고 깊게 성장하는 기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휘닉스커뮤니케이션즈는 1996년 11월 설립되었고, 2003년 8월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6년 6월 광고회사 싸치앤드싸치피씨아이를 설립하였고, 2008년 6월 디지털마케팅 전문 광고회사인 인터웍스미디어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 휘문고등학교의 교육목표는 올바른 가치관과 자주 정신 함양(涵養) 및 창의력 신장(伸張)을 통해 자아실현과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21세기 ‘큰사람’을 육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작은 것의 소중함을 깨달아 기초 질서를 생활화하고 자기 행동에 책임을 지며 우리가 자연의 일부분임을 깨달아 자연을 사랑하고 아끼게 한다. 또 전통문화를 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사립중학교. 휘문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첫째, 올바른 가치와 생활태도를 지닌 사람[도덕적인 사람], 둘째,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삶을 사는 사람[미래지향적인 사람], 셋째, 가정과 사회와 국가에 필요한 사람[책임지는 사람], 넷째, 급변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사람[자율적인 사람], 다섯째, 세계화·정보화시대에 리더쉽을 발휘하는 사람[실력 있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강관의 제조 및 판매 업체. 휴스틸은 창립 이래 국내 최대의 강관전문 기업으로써, 산업의 혈관과 기틀을 창조하는 역할을 하고자 한다. 1967년 4월 한국강관으로 설립하여 1973년 6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다. 1995년 12월 산호스틸로 상호가 변경되었다가 2002년 4월 현재 상호인 휴스틸로 변경되었다. 2003년 11월 현재 위치인 서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빌딩. HILL-HEAVEN은 건축사무소 지이의 윤토현이 설계를 맡고, 청오건설이 시공을 맡아 2008년에 완공하였다. 이 건물은 단순한 Box형태에 가운데 강한 상징성을 가진 큰 원을 외벽에 적용함으로써 확실한 인지도를 가지게 하였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고 외부는 THK18복층투명유리, THK30C-Black물갈기, THK4 알미늄 판넬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빌딩. 힐사이드빌딩은 맥스트랫과 위고건축사무소가 설계를 맡고, 미래씨엔알이 시공을 맡아 2007년 완공하였다. 건물과 마주치게 될 4면의 파사드가 각각 다른 덩어리로 읽히도록 계획하였다. 이는 외관을 현무암 노출콘크리트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주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다. 대지면적은 575.70㎡이고, 건축면적은 343.71㎡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있었던 법인 저축은행. 1972년 사금융의 폐해를 막기 위한 8·3 사채동결조치 이후 사 금융을 제도권 안으로 흡수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축은행이 설립되었다. 저축은행은 지역중심, 신용확충, 신속한 자금 집행을 원칙으로 중소기업과 영세상공인뿐만 아니라 개인을 대상으로 소매금융을 영위하며 제2금융권의 한 축으로 위상을 확립하였다. 현대스위스저축은행은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