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가 표현된 조선 후기 경기도 광주(廣州) 지역의 채색지도.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은 국방 강화를 목적으로 하여 1872년(고종 9) 3월부터 6월에 걸쳐 전국 지방의 지도를 제작해 올리게 했는데, 이것이 필사본 회화식으로 제작된 총 459장의 『1872년 지방지도(地方地圖)』이다. 전국 차원의 군현 지도 중 하나인 『1872년 지방지도』에는 주요 산과 하천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모습을 그린 조선 후기 지도. 조선 후기에 편찬된 전국 군현 지도집은 『광여도』·『해동지도(海東地圖)』·『여지도(輿地圖)』·『여지편람(輿地便覽)』 등이 있다. 19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광여도』는 사찬(私撰) 회화식 전국 군현 지도집이다. 『해동지도』처럼 18세기 전반의 사정이 반영되어 있고, 상당수 군현 지도의 윤곽도 비슷하다. 『광여도』가 『...
-
서울특별시 강남구[옛 경기도 광주부(廣州府)] 일대의 개항기 읍지(邑誌). 읍지는 부·목·군·현 등의 지방 각 읍을 단위로 하여 작성된 지리지로서, 방리·도로·형승·풍속·능침·단묘·역원·군병·진공 등 해당 읍과 관련된 여러 사안에 대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광주부읍지』는 1899년에 광주부에서 만들어 올린 읍지로써 건치연혁에서 책판까지의 전반부와 선생안의 후반부로 구별된다. 전...
-
1789년에서 1795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여지도(輿地圖)』에 수록된 광주부(廣州府) 지도. 조선 후기에 편찬된 전국 군현지도집은 『광여도(廣輿圖)』·『해동지도(海東地圖)』·『여지도』·『여지편람(輿地便覽)』 등이 있다. 『여지도』는 「천하도지도(天下都地圖)」, 「조선전도」, 「도성도」 및 조선 군현지도를 망라한 채색 필사본 지도이다. 제1책에는 「한양도성도」, 「의주...
-
1846년(헌종 12) 광주부윤 겸 수어사이던 홍경모(洪敬謨)가 편찬한 경기도 광주읍지인 『남한지(南漢誌)』를 1862년에 필사한 중정본(重訂本). 1779년(정조 3)에 서명응(徐命膺)이 수어사 재직 중에 왕명을 받고 착수하여 미완으로 그친 『남성지(南城志)』와 『여지승람(輿地勝覽)』 등 여러 사서와 지리지를 참고하고 수정·보완하여 홍경모가 편찬한 것으로써 사찬(私撰) 읍지에 속...
-
1750년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동지도(海東地圖)』에 수록된 「광주부(廣州府)」 지도. 『해동지도』로 묶인 지도집에는 「조선전도」, 「도별도」, 「군현지도」 뿐만 아니라 「세계지도」, 「관방지도」 등이 망라되어 있다. 국가 차원에서 제작된 방대한 분량의 채색 필사본 회화식 지도이며, 지도에 지리지를 결합하고 있어서 우리나라 군현 지도집을 대표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해동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480에 있는 근린공원. 갈매기공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의 현대 아파트 내에 위치한 공원으로 풍부한 녹음과 운동 시설이 배치되어 있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갈매기공원은 1982년 5월 2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8년 5월 2일에 개장하였다. 갈매기공원의 면적은 7,732㎡이며, 녹지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율현동 108-9에 위치한 강남 지역의 중고차 매매단지 강남 자동차 매매 단지의 생성 배경은 강남 지역의 도시 발달사와 관련이 있다. 초기 중고차 매매단지는 1986년에 삼릉공원 후면인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43-1에 33개 업체가 입주한 모습으로 개장하였다. 1990년대에는 중고차 수요가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삼성동 무역센터 후면 지역에 무계획적으로 자동차...
-
서울특별시 동남부에 위치한 구. 강남구는 서울특별시의 동남부에 위치하는 무역·금융·첨단사업·패션·예술·행정·교통의 중심지이다. 강남구의 지리좌표는 동경 127°0′~128°1′, 북위 37°54′~37°59′이다. 동쪽으로는 송파구의 잠실동·삼전동·가락동·문정동 등과 접하며, 서쪽으로는 서초구의 잠원동·반포동·서초동·양재동 등과 마주한다. 남쪽은 서초구의 염곡동·내곡동 및 경기도...
-
한강·평야·구릉지가 조화를 이루는 강남구의 자연환경은 거주에 적합한 조건을 제공하여 오래 전부터 문화의 집산지를 이루는 바탕이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재 강남구는 무역·금융·패션·예술·문화 등 첨단 문화 산업과 부를 상징하는 서울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 강남구가 건강하고 아름다운 문화 도시 이미지를 가지게 된 데에는 현대적 면모를 자랑하는 도시 조경이 기여한 바가 크다. 강남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제2동 1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7호선 지하철역. 강남구청역의 명칭은 인근에 위치한 강남구청에서 유래하였다. 강남구청역은 지하철7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강남구청역은 2000년 8월 개통되었으며, 2012년 분당선 연장구간이 환승개통 되었다. 강남구청역은 시설규모 3층, 총 면적 10,359㎡이며 1~4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한남대교 남단에서 서초구 양재동 양재대로에 이르는 도로. 강남대로는 강남구와 서초구의 경계를 이루며 남북으로 관통한다. 강남대로는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구명(區名)에서 유래하였다. 강남대로는 연장 6.9㎞, 폭 50m, 왕복10차선 도로이다. 강남대로는 강남구와 서초구 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강남대로는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 공...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21-1 일대에 위치한 2호선·신분당선 지하철역. 강남역이 위치한 역삼동은 역촌(驛村)의 세 마을인 말죽거리, 하방하교, 상방하교를 병합하여 역삼리(驛三里)라 하였고 그 뜻을 따서 동리 명칭으로 삼았다. 강남역은 강남구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강남역으로 이름을 지었다. 강남역은 지하철2호선·신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신분당선의 환승역인 강남역 주변 사거리. 강남역 사거리의 중심인 강남역은 현재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신분당선의 환승역인 동시에 신분당선의 기점이다. 이때 강남역 사거리는 일반적으로 강남역 또는 강남역 주변에 형성된 상권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과거 강남역 주변 상권은 한강 이북의 명동과 함께 서울의 양대 번화가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무허가 집단거주지. 개포동 구룡마을은 1983년 88올림픽 준비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개포동개발계획에 의해 개포동에서 밀려난 주민들이 구룡산 북사면에 거주하면서 형성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영농 비닐하우스에서 시작되었으나,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을 거치면서 무허가 집단거주지로 그 성격이 바뀌었으며, 최근에는 서울시가 공영개발...
-
압구정동은 조선시대 권신이었던 한명회가 지은 압구정이라는 정자에서 위치했던 곳이라는 사실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압구정동의 가장 오래된 모습은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 시대 겸재 정선의 경교명승첩 속에 있다. 1741년(영조 17년)에 비단 위에 그려진 31×20㎝ 크기의 그림이다. 최완수 간송미술관장에 따르면 지금의 잠실 쪽에서 배를 타고 오면서 본 시각이기 때문에 압구정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구룡산 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개암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산 53-40에 있으며 1988년도에 개발되었다. 개암약수터는 달터공원 후면과 구룡산 북서쪽 산기슭에 위치한 강남구 소유의 약수터로 이용면적은 500㎡이다. 1일 취수량은 9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900명으로 활발한 이용을 보인다. 사각정자 안에 약수터가 조성되어 있으며, 주변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501에 위치한 근린공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삼성타워팰리스 전면에 위치한 공원으로 다양한 구기 종목을 할 수 있는 운동장과 휴게 시설을 갖춘 공원이다. 개포5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7년 5월 21일에 개장하였다. 개포5공원의 면적은 19,812㎡이며, 녹음이 우...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39에 위치한 근린공원. 개포공원은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의 개포주공아파트 2단지와 3단지 사이 구릉지에 위치하고 있다. 공원 주변이 주택가 밀집지역으로 주민들의 휴식 공간에 대한 이용도가 높다. 개포공원은 1984년 9월 2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2년 12월 15일에 개장하였다. 2008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개포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행정동인 개포 1,2,4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법정동이며,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이 고루 갖춰진 아늑하고 쾌적한 주거지역이다. 인접한 대모산은 표고 293m이며 산모양이 늙은 할미와 같다고 하여 옛날에는 할미산이라 불렀다. 조선 시대 제3대 태종 대왕의 헌릉을 모신 후 어명에 의하여 대모산으로 고쳤다고 한다. 서편...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82-1에 위치한 근린공원. 개포동공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령대가 즐길 수 있는 시설물이 조성되어 있다. 개포동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8년 12월 23일에 개장하였다. 개포동공원의 면적은 9,706㎡이며, 공원의 중심부에는 우레탄 포...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95 일대에 위치한 분당선 지하철역. 개포동역의 유래가 되는 개포동 동명은 이 마을에 있던 갯벌을 개펄이라고 부르다가 그것이 변하여 ‘개패’ 또는 한자명으로 ‘개포(開浦)’로 불렸던 데서 유래하였다. 개포동역은 지하철 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개통]되었다. 개포동역은 2003년 9월 개통되었다. 개포동역은 시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과 서초구 양재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개포동길은 1993년 7월 23일 가로명 제정 때 개포길·매헌로 등과 같이 상정되었다가 개포로로 결정되었다. 개포로는 이 길이 지나는 개포동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개포동길은 연장 4.4㎞, 폭 20m, 4차선 도로이다. 개포동길은 강남구와 서초동의 동·서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2012년 현재 개포로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80에 위치한 근린공원. 개포서공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청소년을 위한 운동 시설과 주민을 위한 휴게 시설이 풍부한 공원이다. 개포서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8년 12월 30일에 개장하였다. 개포서공원의 면적은 11,219㎡이며, 공원의 중심부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근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개포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39에 있으며, 강남구가 1992년 개발한 약수터이다. 개포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서울시립개포도서관 후면에 있는 약수터로 이용면적은 100㎡이다. 1일 취수량은 5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500명으로 활발한 이용을 보이고 있다. 사각정자 안에 약수터가 있으며, 주변은 산책로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개포우성6차아파트 앞 도시고속도로의 일부를 이루는 도로시설물. 이 차도가 접하는 개포동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230m, 폭 16.8m, 왕복4차선 지하차도이다. 양재대로와 영동대로의 교차점을 지하로 횡단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8년 6월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개포지하차도는 강남구 개포동 개포우성6차아파트 앞 도시고속도로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한남IC와 연결되는 서울에서 부산을 잇는 고속도로. 고속도로(高速道路)는 간선도로의 일종으로 고속교통을 위한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따라서 자동차 이외의 교통수단이나 보행자 등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고속도로는 입체교차로[인터체인지]를 통하여 진입할 수 있다. 경부고속도로는 서울과 부산을 잇는 고속도로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경부고속도로는 연장416㎞, 왕...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공원. 강남구의 공원은 2011년 현재 96개소로 이중 자연공원은 3개소 5,632,162㎡, 근린공원은 32개소 1,806,482.5㎡, 어린이공원 61개소 94,171.8㎡이다. 이는 강남구 전체 면적의 19%를 차지하고 있다. 강남구의 공원 중 자연공원은 대부분 구의 남쪽인 수서동과 일원동에 속해 있으며, 각각 서초구와 성남시 등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관광 산업. 최근 서울특별시에서는 명동과 보조를 맞춘 첨단 고급 관광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강남구의 관광산업이 부각되었다. 강남구의 관광산업이 주목받는 이유는 첨단산업과 패션 등 볼거리의 풍부함, 강북과 차별화된 고급화 전략, 한류 스타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마케팅, 의료 관광, VIP 관광 등 적극적인 관광객 유치 기법 개발이 제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과 송파구 문정2동을 연결하는 교량. 광평교는 대모산 기슭에 위치한 세종의 다섯 째 아들인 광평대군 묘역에 의해 명칭이 유래된 광평로와 연결되어 있어 광평교라 이름 지어졌다. 연장 325.5m, 폭 25m, 6차선 교량이다. 1996년 수서택지개발지구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광평터널, 일원지하차도 등과 같이 교통량증가에 대응하여 계획된 교통 간선시설로 강남구 수...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서 수서동까지 이어지는 도로. 광평로는 세종 대왕의 5남인 광평대군 묘역을 지나는데서 유래되었다. 연장 3.3㎞, 폭 30m, 6차선 도로이다. 강남구의 동·서간 원활한 교통을 위해 건설되었다. 1992년 12월 광평로로 명칭이 부여된 이후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2012년 현재 광평로는 강남구 개포동 산4904[양재대로]에서 수서동 228-1[탄천]...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교통시설 중 하나로 시내나 강을 사람이나 차량이 건널 수 있게 만든 다리. 1970년대 강남의 본격적인 개발[영동개발계획]에 앞서 건설된 교량인 제3한강교[한남대교]는 강남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이 다리가 착공될 때 서울 시민 대다수는 건설 사실을 거의 알지 못했으며,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 7월 7일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되자 제3한강...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이루어지는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사람이 오고가거나, 짐을 실어 나르는 일. 강남구에서 분류할 수 있는 교통[시설]이나 관련시설로는 도로, 교량, 지하철, 터널, 보도육교, 지하보도, 지하차도, 주차장 등이 있다. 2010년을 기준으로 강남구에는 자동차 등록 수 386,450대, 주차면 수 386,450면, 도로 총 연장 423,124m, 보도육교 10개소, 지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구룡산 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구룡산 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9년도에 개발되었다. 구룡산 약수터는 능인선원 측면의 구룡산 자락에 위치한 약수터로 이용면적은 300㎡이다. 1일 취수량은 1.5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150명 정도이다. 비교적 소박한 형태의 약수터로 주변에는 휴식을 위한 의자 5개소·체력 단련시설 6...
-
강남구 개포로 지하 403 일대에 위치한 분당선 지하철역. 구룡역은 구룡산에서 유래하였다. 구룡역은 지하철 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개통]되었다. 분당선 수서역~선릉역 구간은 2003년에 개통하였으나, 구룡역은 공사 지연으로 인하여 2004년에 개통되었다. 구룡역은 시설규모 5층, 1~4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2016년 현재 구룡역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모산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구룡천 약수터는 자연발생된 약수터로 1988년도 개발되었다. 구룡천 약수터는 개포동 주공아파트 2단지 후면과 대모산 북서쪽의 산기슭에 위치한 약수터로 이용면적은 500㎡이다. 1일 취수량은 10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1,000명으로 활발한 이용을 보이고 있다. 사각정자 안에 약수터가 조성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의자 4...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서 서초구 내곡동에 이르는 언주로의 연장구간을 이루는 터널 구룡터널은 구룡산을 직선으로 통과하는 터널로 터널 명칭의 유래가 되는 ‘구룡’은 구룡산에서 용 열 마리가 승천하는 것을 본 임신한 여인이 소리를 질러 한 마리가 떨어지고 아홉 마리만 승천하였다 하여 붙여진 마을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구룡터널은 강남구 개포제2동 방면에서 내곡동 방향 직선통과를 위하여...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자연마을.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자연마을로 과거에는 구마을로 불렸으나 현재는 행정구역상 달터근린공원 구역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달터마을’로 불리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곳은 노후된 무허가 건물이 집중되어 있는 마을이다. 구마을[현 달터마을]이 있는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開浦洞)은 과거 양재천과 탄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자연마을. 궁마을은 서울도시철도 3호선 수서역에서 개포동 방면의 광평로 인근에 있는 자연마을로 전주 이씨 집성촌이 있다. 궁마을의 유래를 보면 1470년(성종 원년)에 세종의 손자인 영순군(永順君)을 당시 경기도 광주 수토산(水土山)인 궁마을 앞의 대모산(大母山)[293m]에 예장(禮葬)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 1496년(연산군 2)에 무안...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1989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1급 관광호텔.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은 1989년 9월 18일 1급 호텔로 개관하여 1995년 11월에 특2급 호텔로 승격되었다. 이후 3년만인 1999년 6월에는 다시 특1급 호텔로 승격하였다. 2002년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은 대규모 증축 공사를 시행하여 로비, 컨벤션 센터, 최첨단 IT 시설을 갖춘 15...
-
1988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서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1급 관광호텔. 강남의 대표적 업무지구인 테헤란로 상에 위치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는 코엑스 컨벤션센터, 도심공항, 면세점, 코엑스몰 등과 함께 한국종합무역센터 단지를 구성하고 있다. 파르나스 호텔은 1985년 한무개발로 출범하여 1988년 서울올림픽 본부 호텔로써 인터컨티넨탈 호텔을 개관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서 1989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1급 관광호텔. 강남구 삼성동 테헤란로에 위치한 그린그래스 관광호텔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올림픽대로를 통해서 약 1시간이면 도착하는 거리에 있다. 또한 삼성역 인근 한국도심공항터미널에서 택시로 5분, 도보로 15분이면 도착하고, 서울 도심까지는 30분이 소요된다. 잠실종합운동장과 코엑스 컨벤션센터에 인접해서 외국인...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통과하는 순환도로. 순환도로(循環道路)는 도시 외부나 도시중심부에서 외곽을 순환할 수 있게 만든 도로를 말한다. 남부순환로는 이 길이 서울특별시의 남부지역을 동서로 순환하는 데서 유래하였다. 연장36.3㎞, 폭40~50m, 왕복8~10차선 도로이다. 서울의 한강 남쪽 동~남~서를 잇는 매우 중요한 도로로, 지역 간 균형발전과 서울 도심지 교통량을 분산시키고자 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서 1993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1급 관광호텔.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은 한국의 앰배서더즈와 프랑스의 아코르 아시아 퍼시픽사가 합자하여 개관한 프랑스풍 특급 호텔이다. 1955년 2월, 19개의 객실을 가진 서양식 여관 금수장으로 시작되었다. 1987년에는 아코르와 합자하여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을 개관하였으며, 1993년 연평균 96.6%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의 7호선 논현역과 학동역 사이에 위치한 가구 판매 거리. 논현가구거리는 논현동의 교통 중심지에 70여 개의 가구 판매 업체가 밀집되어 있는 거리이다. 혼수용 가구·공예 가구·나전칠기·부엌 가구·사무용 가구·인테리어·수입 가구 등 다양한 가구를 살 수 있다. 논현가구거리는 1970년대부터 형성되었으며, 이때부터 ‘가구거리’라고 불렸다. 가구관련 업체들이 10...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논현동(論峴洞)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행정동인 논현1동·논현2동으로 구성된 법정동이며, 집합주택형식의 주거지역과 상업 및 업무시설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논현동의 유래는 이 동에 ‘논고개’라는 고개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 논현동 천주교회 마루턱이 높은 고개였으며, 또 강남우체국 위에서 반포아파트까지의 산골짜기 좌우로 벌판이 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서 양재동까지 남·북으로 이어지는 도로. 논현로는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논현동 동명에서 유래되었다. 논현로는 연장 7.2㎞, 폭 30m, 6차선 도로이다. 강남구의 남·북간 원활한 교통을 위해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26일 서울특별시공고 제268호로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 가로명 제정 때 영동2로로 이름 지어졌다. 이후 1976년 남1로, 198...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7호선 지하철역. 논현역의 유래가 되는 논현동의 명칭은 논고개라는 고개의 지명을 본떠서 만들어진 이름이다. 논현역은 지하철7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논현역은 2008년 8월 개통되었다. 논현역은 시설규모 3층, 총 면적 11,834㎡이며 1~8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시설로는 역무실 3개소, 에스컬레...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1993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2급 관광호텔. 강남구 학동역 사거리와 차병원 사거리 사이에 위치한 뉴힐탑 관광호텔은 1993년 관광호텔로 출발하였으며, 강남의 사무실 밀집 지역에 위치하여 비즈니스 목적의 방문객들을 위한 숙소를 제공하고 있다. 뉴힐탑 관광호텔은 2006년 이후 호텔의 일부를 개·보수하여 대형 웨딩홀과 연회장을 갖추었다. 뉴힐...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근린공원 늘푸른공원은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휴게 시설이 조성된 휴식공간이다. 늘푸른공원은 1985년 1월 15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5년 1월 15일에 개장하였다. 늘푸른공원은 다양한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그리고 휴게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적...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1989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2급 관광호텔. 다이내스티 관광호텔은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 호텔, 영동 관광호텔, 임페리얼 팰리스 서울,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강남, 뉴힐탑 관광호텔 등과 함께 비즈니스맨들과 외국인들이 비즈니스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호텔이다. 다이내스티 관광호텔은 1989년 12월 16일 관광호텔업을 목적...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달터공원은 운동 공간, 체육센터와 함께 체험학습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달터공원은 1983년 9월 2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2년 11월 30일에 개장하였다. 2008년에는 공원내 시설물의 노후화로 공원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였다. 달터공원의 면적은 23...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약수터 달터약수터는 1992년에 강남구가 개발한 약수터이다. 달터약수터가 있는 달터공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운동 공간·체육센터와 함께 체험학습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위치상으로는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 서울시립개포도서관 후면에 있으며 이용면적은 100㎡이다. 1일 취수량은 5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500명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과 송파구 문정제2동을 연결하는 교량. 대곡교는 인근 대모산의 ‘大’자와 세곡동의 ‘谷’자를 따서 대곡교(大谷橋)라 이름 지어졌다. 대곡교는 연장 175m, 폭 50m, 10차선 교량이다. 대곡교는 강남구 세곡동과 송파구 문정제2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대곡교는 1974년 12월 준공되었으며, 1995년 12월 폭50m 교량으로 확장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모산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대룡약수터는 자연 발생된 약수터로 1992년에 개발되었다. 대모산은 높이 293m의 산으로 산 모양이 늙은 할미와 같다 하여 할미산으로 불리다가 태종(太宗)의 헌릉(獻陵)을 모신 후 어명으로 대모산(大母山)으로 고쳤다고 한다. 대모산에는 불국사(佛國寺)와 같은 유서깊은 절과 수질 좋은 약수터가 18개소가 있다. 이 중 대룡약수터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서초구 경계에 있는 대모산에 만들어진 공원. 대모산은 강남구 개포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 대고산, 할미산이라고도 한다. 모양이 늙은 할미와 같다하여 할미산이라 하다가, 태종의 헌릉을 모신 후에, 어명으로 대모산으로 고쳤다고 한다. 대모산으로 이름을 바꾼 이유는 여승이 앉은 모습과 같다고도 하고 어머니 앞가슴 모양과 닮았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주변으로 아파트 단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분당선 지하철역. 대모산입구역은 대모산에서 유래하였다. 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2003년 9월 개통되었다. 시설규모 4층, 1~8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의시설로는 무인민원발급기·엘리베이터·장애인화장실·휠체어리프트·장애인 편의시설 등이 있다. 2016년 현재 대모산입구역은 강남구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모산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대모천약수터는 자연발생된 약수터로 1989년도에 개발되었다. 대모천약수터는 일원동 청솔 빌리지 후면과 대모산 북사면에 위치한 약수터로 이용면적은 700㎡이다. 1일 취수량은 5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700명으로 활발한 이용을 보이고 있다. 사각정자 안에 약수터가 조성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의자 19개소, 배드민턴장 3...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과 송파구 문정동을 연결하는 교량. 대왕교는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로 편입되기 이전, 광주군 대왕면 관할이었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대왕교는 연장 150m, 폭 14.5m 교량이다. 대왕교는 서울과 예전 광주군 대왕면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대왕교는 1955년 준공되었으며, 1963년 광주군 대왕면이 서울특별시로 편입되면서 관할지역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대진공원은 운동 공간, 어린이 놀이터, 휴게 공간의 구분이 명확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대진공원은 1989년 3월 21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3년 7월 10일에 개장하였다. 2007년 1차로 공원 일부분을 리모델링 한 후 2008년 6월 2차로 최종 리모델링 공사를 마무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대청공원은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휴게 시설이 조성되어 있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대청공원은 1984년 9월 2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 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5년 1월 15일에 개장하였다. 공원 시설물 노후화로 인해 2007년 공원 리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대청공원의 면적은 14,08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있는 자연마을. 대청마을은 마을로 조성되기 전 일원2동 주민센터 위치에 99칸 한옥이 있었다고 한다. 탄천을 건너면서 잠실 일대를 바라보면 99칸 한옥의 대청마루가 보인다고 하여 일대를 대청마을로 불렀다고 전해진다. 대청마을은 현 수서 인터체인지에서 대청역 주변 부근으로 전면에는 탄천이 흐르고 있다. 대청마을 일대에는 대청공원과 목련공원이 입지하고 있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3호선 지하철역. 대청역의 유래가 되는 ‘대청’은 조선 시대 이곳 마을에 99칸이 한옥이 있었는데, 옛 잠실 일대에서 이곳을 바라보면 한옥의 대청 큰 마루가 보인다 하여 이곳 지역을 대청마을로 불리게 되었다. 대청역은 지하철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개통]되었다. 대청역은 1993년 10월 개통되었다. 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대치공원은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휴게 시설이 조성되어 있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대치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를 갖춘 공원으로 1987년 5월 21일에 개장하였다. 2008년 6월 3차에 걸쳐 리모델링 공사를 완료하였다. 대치공원의 면적은 10,...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과 일원2동을 연결하는 교량. 대치교는 교량이 연결하는 지역인 대치동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120m, 폭 40m, 8차선 교량이다. 서울특별시의 공용청사부지 확보를 위한 탄천부지 매축사업과 함께 계획되어 강남구 대치2동과 일원2동 사이 양재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한산공영에 의해 준공되었다. 1979년 2월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대치교는 강남구 대치2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대치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행정동인 대치 1, 2, 4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법정동이다.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는 주거지역으로 쾌적한 주거환경 및 교통망이 발달한 지역이다. 대치동(大峙洞)은 조선 시대 이곳에 있던 자연마을 중 큰 고개 밑에 있는 가장 큰 한티[또는 한터] 마을을 한자명으로 ‘대치(大峙)’라 한데서 비롯되었다. 당시 대치동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 일대에 위치한 3호선 지하철역. 대치역의 유래가 되는 대치동은 조선시대 말까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대치리였다. 당시 자연부락 한티·움말·응달짝 등 8개 마을 중 큰 고개 밑에 있는 한티[또는 한터] 마을을 한자명으로 대치라 한데서 비롯되었다. 대치역은 지하철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대치역은 1993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도곡공원은 산지형 공원으로 운동 공간, 휴게 공간, 녹음이 어우러진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도곡공원은 1971년 11월 30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 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77년에 개원하였다. 공원의 노후화로 2008년 공원 리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도곡공원의 면적은 298,165㎡이며, 산지형 공원으...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도곡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행정동인 도곡1동, 도곡2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법정동이다. 수도서울의 남쪽관문이자 성남, 분당으로 통하는 지역으로 주간 유동인구비율이 높고, 복합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하는 지역이다. 도곡동(道谷洞)의 동명 유래는 마을 뒤에 매봉산이 둘러 있고 산부리에 돌이 많이 박혀 있으므로 독부리...
-
강남구 남부순환로 지하 2814에 위치한 분당선 지하철역. 도곡역의 유래가 되는 도곡은 마을 뒤에 매봉산이 둘러있고 물 아래쪽 산부리에 돌이 많이 박혀 있어 돌부리라 하던 것이 변하여 독구리, 독곡이 되어, 지금의 도곡이라 명명되었다. 도곡역은 지하철3호선 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2년 12월 개통하였으며, 2003년 9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교통시설 중 하나로 사람이나 차들의 이동을 위한 비교적 큰길. 강남구의 도로 계획은 1970년대 계획된 영동지구개발[토지구획 정리 사업]과 크게 관련되어 있다. 영동지구개발계획에서 도로의 경우 너비 40~70m의 넓은 간선도로를 축으로 격자형 가로망을 구축했다. 도로율은 24.6%로 선진 대도시의 기준 가로율 이상으로 계획하였다. 한남대교와 영동대교 사이를 몇...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근린공원. 도산공원은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도산 안창호 선생과 부인 이혜련 여사의 묘소, 안창호 선생의 동상이 있는 공원이다. 도산공원은 도산 안창호 선생의 애국정신과 교육정신을 기리고자 1971년 8월 6일 공원으로 지정하였고, 1973년 11월 10일에 개장하였다. 1998년에는 도산 안창호 선생의 기념관을 개장하였다. 도산공원은 1970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과 청담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도산대로의 명칭은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선생의 호를 따서 붙인 것이다. 도산대로변에 도산의 묘원인 도산공원이 있다. 연장 3.2km, 폭 50m, 10차선 도로이다. 강남구의 동·서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 제 268호에 의해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 가로명 제정때 도산...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근린공원. 독골공원은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휴게 시설이 조성된 휴식 공간이다. 독골공원은 1982년 5월 21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7년 5월 21일에 개장하였다. 독골공원의 면적은 10,023㎡이며, 논현로에서 우성아파트로 진입하는 통로의 역할을 담당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었던 ‘도곡동’의 어원이 되었던 자연마을. 독구리 마을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의 어원이 되었던 과거 지명으로 서울도시철도 3호선 양재역 동쪽의 양재천 주변 지역이다. 도곡동(道谷洞)의 어원인 독구리 마을은 조선 시대 한양으로 입성하는 중간에 있어 한양을 왕래하는 사람들이 하룻밤 묵거나 쉬어가는 마을이었다. 마을의 명칭의 유래에는 두 가지가 전해진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대치동·일원동·수서동을 통과하는 간선도로. 간선도로(幹線道路)는 도로망의 기본이 되는 주요도로이다. 도시 사이를 연결하거나 중요 지구를 연결하기 위한 도로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의 간선도로는 고속도로·국도·특별시도·광역시도·지방도 등이 있다. 동부간선도로의 명칭은 서울 북동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데서 이름 지어졌다. 동부간선도로는 연장33km, 폭26m, 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과 성동구 옥수동을 연결하는 교량. 동호대교는 일명 금호대교라고도 불린다. 동호대교는 조선 시대 옥수동 앞의 한강을 동호(東湖)라고 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동호대교는 연장 1,220m, 폭 20.4m, 4차선 교량[2차선 복합]이다. 동호대교는 강남구·성동구 간 원활한 진입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4년 12월 31일 준공되었다. 성수대교 붕괴 이후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동호대교 남단]에 이르는 강남구에서 중구까지 이어지는 도로. 동호대로의 명칭의 유래가 되는 동호(東湖)는 성동구 금호동 4가 한강변의 옛 지명이다. 동호대로는 연장 4.4km, 폭 40m, 8차선 도로이다. 동호대로는 강남구와 중구 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55년 장충고갯길을 만든 후 확장 공사를 거쳐 장충로로 이름지어졌다. 이후 197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서 1986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2급 관광호텔. 라마다 서울 호텔은 삼릉공원을 마주한 곳에 입지한 비즈니스 호텔이다. 1986년 12월 강남구 삼성동에서 개관한 뉴월드 호텔은 2004년 2월 라마다 서울 호텔로 재개관하였다. 라마다 서울 호텔은 전신인 뉴월드 호텔로 불리기도 하는데, 호텔이 입지한 주변을 뉴월드 호텔 사거리라고 부를 정도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서 1995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1급 관광호텔. 리츠칼튼 서울은 1995년 개관하였다. 왕관과 사자상으로 이루어진 리츠칼튼의 로고에서 왕관은 품위 있는 영국 왕실을 상징하며, 사자상은 프랑스 파리 리츠 호텔 개관을 위하여 재정 지원을 제공한 금융사의 로고이다. 두 가지 상징을 합성함으로써 ‘기품과 부’를 의미하는데, 로고가 보여주는 바와 같...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근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매봉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산 31-1에 위치하며, 강남구가 1994년 개발한 약수터이다. 매봉약수터는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도곡근린공원 내부에 위치한 약수터로 이용 면적은 1,100㎡이다. 1일 취수량은 6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600명으로 활발한 이용을 보이고 있다. 약수터 주변에는 휴게시설로 의자 26개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179-2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3호선 지하철역. 매봉역 명칭은 매봉산에서 유래되었다. 매봉역은 서울도시철도 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1993년 10월에 건설되었다. 플랫폼 길이 205m, 시설 규모 2층, 총 면적 7,321㎡이며, 1~4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시설로는 역무실 1개소, 수유방 1개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언주로의 일부를 이루는 쌍굴터널. 매봉터널은 쌍굴터널로 편도 차선마다 터널이 따로 분리되어 있다. 강남구 역삼2동 방면에서 도곡2동 방향 직선 통과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매봉터널은 1992년 7월 14일 준공되었다. 터널 높이 9.5m, 차도 폭 10.6m, 보도 폭 2m, 연장 250m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현재 매봉터널은 강남구 도곡동 146~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양재천을 따라 조성된 3.5km의 메타세콰이어 길. 메타세콰이어 거리는 서울도시철도 3호선 양재역에서 성남 방면으로 가다 보면 양재천의 영동1교를 건너기 전 왼쪽으로 접어들면 양재천의 산책로 옆에 나란히 메타세쿼이아 길이 3.5km 정도 이어져 있는 길을 말한다. 양재천의 영동1교에서 영동2교에 이르는 700m 구간에는 와인바와 레스토랑 등이 밀집해 있으며, 이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 중앙에 있었던 자연마을.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 중앙에 있었던 자연마을의 과거 지명으로 현재는 서울시 강남구 자곡동의 전원주택단지이다. 못골은 조선 시대 효종(孝宗)[1619~1659]때 우의정을 지낸 완남 부원군(完南府院君) 이후원(李厚源)[1598~1660]의 묘 앞에 연못을 판 것에서 ‘못골’ 또는 ‘목골’이라 칭했으며, 한자로 ‘지곡(池谷)’이라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과 세곡동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도로. 밤고개길은 밤고개·율현로라고 부르기도 한다. 밤고개길은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율현동(栗峴洞) 동명을 우리말로 풀은 데서 유래하였다. 밤고개길은 연장 3.5km, 폭 30m, 6차선 도로이다. 밤고개길은 강남구의 남·북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7년 5월 2일 밤고개길로 이름 붙여졌다. 2012년 현재...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81에 위치한 근린공원. 배밭공원은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휴게 시설을 갖춘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배밭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8년 12월 30일에 개장하였다. 배밭공원의 면적은 11,627㎡이며, 양재천과 인접한 녹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공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2004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2급 호텔. 서울의 문화 중심지인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강남 호텔은 일본인 이용객이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관광객보다 비즈니스 고객의 점유율이 높은 비즈니스 호텔이다. 따라서 일본인 직원을 고용하여 의사소통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강남 호텔은 개관 2년차...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1동과 송파구 잠실1동을 연결하는 교량. 봉은교는 봉은사가 있어 도로명이 유래된 봉은사로의 연결선상에 있어 봉은교라 이름 지어졌으며 1999년 7월 27일 서울특별시가 주최한 지명위원회 회의를 통하여 명칭이 확정되었다. 연장 255m, 폭 25m의 4차선 교량이다. 강남구 삼성1동과 송파구 잠실1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한신공영 외 4개사에 의해 준공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과 삼성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봉은사로가 통과하는 길에 봉은사(奉恩寺)가 있는 데서 유래하였다. 연장 3.8km, 폭 35m, 6차선 도로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삼성동 구간의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 제268호에 의한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 가로명 제정 때 봉은로로 이름 지어진 후, 1984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75에 위치한 사적공원. 봉은역사공원 안에 봉은사(奉恩寺)가 입지하고 있다. 1971년 8월 7일 도시계획시설 중 공원으로 결정된 후 1988년 5월 1일 공원으로 개장하였다. 1971년 공원으로 결정된 후 ‘봉은 근린공원’으로 불리다가 2009년 ‘봉은 역사공원’으로 바뀌었다. 봉은사는 일제 시대에 서울과 경기 일원의 80여 사찰을 관장하던 본사(本寺)였...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일부 구간으로 포함하는 광역철도 분당 노선. 계획 초기 분당선은 오리역~왕십리역 전 구간 동시 개통을 목표로 하였으나 서울시·한국토지개발공사·철도청 등의 사업비 분담에 관한 문제로 사업이 지연되어 수서역~오리역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다. 분당선은 1990년대 초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계획과 함께 추진된 노선으로, 분당 신도시 개발계획과 관련되어 있다. 서울 도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서 2003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1급 관광호텔. 블루펄 호텔은 강남구 청담동에서 개관하였으며 일본인 단골 고객이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블루펄 호텔은 비즈니스를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및 내국인 기업회원 고객을 위한 비즈니스 상품을 만들었다. 2박 투숙부터 조식을 무료로 제공하고, 한국 호텔 최초로 공항 픽업(pick-up) 서비스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과 동작구 동작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사평로의 명칭 유래인 사평원(砂平原)은 한강 쪽에 범람으로 퇴적한 넓은 백사장이며, 이를 통과하는 길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평로는 연장 3.8km, 폭 40m, 8차선 도로이다. 사평로는 강남구와 동작구 간 원활한 교통을 위해 건설되었다. 1966년 서울특별시고시 제1093호에 의해 46개 가로명을 처음 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1동과 송파구 잠실1동을 연결하는 교량. 삼성교는 강남구 삼성동의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260m, 폭 34.8m, 8차선 교량이다. 1970년대 잠실지구 신시가지개발계획의 일환으로서 강남구와 송파구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해 동아건설에 의해 준공되었다. 1975년 12월 24일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삼성교는 강남구 삼성1동 171와 송파구 잠실1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삼성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행정동인 삼성1동, 삼성2동으로 구성된 법정동이다. 테헤란로 주변으로 무역·금융의 경제 중심지가 밀집되어있고, 대단위 아파트 단지와 일반 주거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남구청사가 위치해 있는 강남의 중심 지역이다. 삼성동(三成洞)은 조선 시대 자연 마을인 봉은사마을, 무동도마을, 닥점마을 세 마을을 병합하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과 개포동으로 이어지는 남·북으로 연결하는 도로. 삼성로의 명칭은 통과하는 길목에 있던 삼성동에서 유래하였다. 삼성로는 연장 5km, 폭 35m, 6차선 도로이다. 삼성로는 강남구의 남·북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 제268호로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 가로명 제정 때 영동5로로 이름 지어졌다. 이후 1976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72-66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2호선 지하철역. 삼성역은 서울도시철도 2호선 구간의 역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 교통 체계을 위하여 1982년 12월에 건설되었다. 삼성역은 플랫폼 길이 205m, 시설 규모 2층, 총 면적 6,447㎡이며, 1~8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시설로는 역무실 1개소, 수유방 1개소, 엘리베이터 4개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에서 1982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2급 호텔. 삼정관광호텔은 1982년 관광호텔로 개관하였으며, 2005년에 2층 규모의 컨벤션 센터를 신축하여 웨딩 갤러리를 만들었다. 2009년 9월에는 호텔을 개보수하고, 특2급 호텔로 승격되었다. 삼정관광호텔은 넓은 대지 위에 세워진 지상 12층, 지하 2층 구조의 본관 건물과 지상 2층의 신관 건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과 서초구 방배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서초로는 이 길이 지나는 서초구 서초동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서초로는 연장 4.2km, 폭 40m, 8차선 도로이다. 강남구와 서초구를 연결하는 동·서 방향 교통을 담당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981년 서초1로로 불리게 되었으며 1984년 11월 구간 연장과 함께 서초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2년 현재 서초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과 개포동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도로. 선릉로는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삼성동 산 45-169에 조선 시대 제9대 왕인 성종과 정현 왕후의 능인 선릉이 있는 데서 유래하였다. 선릉로는 총 연장 6.3km, 폭 25m의 4차선 도로이다. 선릉로는 강남구의 남·북간 원활한 교통 소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 제258호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2동 143-42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2호선·분당선 지하철역. 선릉역은 인근에 조선 시대 제9대 왕 성종과 그 계비 정현 왕후 윤씨를 모신 선릉과 11대 왕 중종을 모신 정릉이 있어 이곳의 이름을 따서 선릉역이라 이름 지었다. 선릉역은 서울도시철도 2호선·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선릉역은 1982년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과 성동구 성수동을 연결하는 교량. 성수대교는 한강의 11번째 교량이며 조형미를 살리기 위해 국내 최초로 거버 트러스[Gerber Truss]형식으로 가설되었다. 1994년 9월 21일 중간 부분이 붕괴되는 참사가 일어나 많은 인명사고가 났다. 이후 1997년 복구·재개통되었다. 성수대교는 교량이 연결하는 성수동의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성수대교는 연장 1,...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과 경기도 성남시를 연결하는 교량. 세곡교는 교량이 통과하는 세곡천(細谷川)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동쪽에 세곡2교가 위치함에 따라 세곡3교로 이름 지어졌다. 연장 37.8m, 폭 34.5m, 8차선 교량이다. 강남구 세곡동과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 사이 세곡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영에 의하여 준공되었다. 1979년 2월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세곡3교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세곡동(細谷洞)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는 법정동이다. 대부분 개발제한구역이며, 8개 마을로 이루어진 도농복합지역이다. 세곡동 동명은 1914년 행정구역을 조정하면서 옛날의 자연마을 명칭인 세천리(細川里)와 은곡동(隱谷洞)의 ‘세’자와 ‘곡’자를 각각 따서 세곡리라 하였다. 세곡동은 조선 후기까지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세천리, 은곡동 지역으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가로수길 후면의 특색 있는 거리. 서울도시철도 3호선 신사역의 8번 출구의 도산공원에서 150m 거리에 있는 가로수길의 양옆 골목을 따라 흩어져 있는 길을 세로수길이라고 한다. 서울도시철도 3호선 압구정역 5번 출구의 신구초등학교 방향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다. 현재 특색 있는 음식점과 카페들이 주로 입지해 있다. 세로수길의 명칭 유래는 두 가지가 있다. 세로는 가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컨벤션 별관에서 2006년에 개장한 한국형 카지노. 세븐럭[Seven Luck] 카지노는 한국관광공사의 자회사인 GKL[Grand Korea Leisure]이 운영하고 있다. 설립 목적은 관광객 유치 증진과 외화획득 증대, 한국 카지노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이익금의 관광인프라 구축, 사회공헌 활동을 통한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우리나라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2010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1급 관광호텔. 논현동에 자리 잡은 세울스타즈 호텔은 주변의 대형 호텔보다 저렴한 숙박비로 차별성을 가지는 이코노미 비즈니스 호텔이다. 서울특별시는 관광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 2008년부터 호텔의 재산세 50%를 감면해 객실 요금 인하를 가능하게 하고, 2009년부터는 관광호텔 신축시 용적률 20%를 완화해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 있었던 자연마을.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의 대왕초등학교가 있는 세곡동로터리 부근에 가느다란 개울인 세곡천(細谷川)이 있었고, 이 개울가 주변에는 세천마을이 있었다. 마을 명칭은 이러한 환경에서 유래하였다. 세천마을이 있었던 세곡동은 조선 후기까지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세천리였다. 세곡동이라는 명칭은 1914년 일제가 행정구역을 조정하면서 당시의 자연마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수서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법정동과 행정동이 모두 수서동이다. 주거지역과 업무 및 상업지역이 공존하는 지역이다. 수서동(水西洞) 동명은 한강의 지류인 탄천 서쪽 마을인 데서 유래되었다. 수서동은 조선 태조의 아들 무안 대군과 후사 광평 대군의 묘소가 있기 때문에 궁말 또는 궁촌이라고 불렸다. 수서동의 연혁을 살펴보면, 조선 후기까지 경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728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3호선과 분당선의 지하철역. 수서역의 유래가 되는 ‘수서’는 이 지역의 서쪽에 한강이 흐른다 하여 수서리라 하였고, 예전부터 일원동과 같이 변천해왔다. 수서역은 서울도시철도3호선과 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수서역은 1993년 10월 개통하였으며, 1994년 9월 분당선이 확장...
-
서울특별시 강남구 329 장지~수서 간 도시고속도로에 설치된 도로시설물. 이 차도가 접하는 수서동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245m, 폭 21m, 6차선 지하차도이다. 수서지하차도는 수서·장지 간 도시고속도로를 건설함에 있어 신호대기 없는 빠른 교통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1997년 12월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수서·장지 간 도시고속도로를 연장하고 있다. 지하화를 통...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주변의 수입 명품 자동차 거리. 수입차 하이웨이는 청담동에서 압구정동 사이 3.3㎞ 구간에 다수의 명품차 전시장이 입지한 거리이다. 1987년 자동차 수입 개방과 함께 메르세데스 벤츠를 판매하던 ‘한성자동차’가 최초로 전시장을 청담동에 개장하면서 시작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폭스바겐과 아우디 전시장이 들어섰으며, 최근에는 명품차로의 이미지를 위...
-
여행객의 일시적 숙박을 위해 제공되는 강남구 소재의 시설과 그에 따르는 서비스의 총칭. 강남구의 숙박시설로 대표적인 것은 관광호텔이다. 관광호텔은 관광객의 숙박에 적합한 시설을 갖추고 숙박에 딸린 음식·운동·오락·휴양·공연 또는 연수에 적합한 시설 등을 함께 갖추어서 관광객에게 이용하게 하는 시설을 말한다. 관광호텔이 되기 위해서는 「관광진흥법」과 동법 시행령에 의거하여 욕실이나...
-
서울특별시 강남구 교보타워 사거리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9호선 지하철역. 신논현역은 서울도시철도 9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2009년 7월 건설되었다. 신논현역은 지하 3층, 1~7번 출구로 구성되어있다. 내부시설로는 역무실 2개소, 물품보관함 1개소, 엘리베이터 5개소, 에스컬레이터 22개소, 화장실 1개소가 위치해 있다. 지하철 이용...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일부 구간으로 포함하는 광역철도 신분당 노선. 신분당선의 경우 BTO[Build-Transter-Operate]사업으로서 준공과 동시에 소유권은 국가에 귀속되며, 사업자는 운영권을 확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국내 최초 중전철 무인운전 시스템으로 모든 운행 및 차량 상황은 양방향 무선통신 열차제어[CBTC]방식을 기반으로 종합관제센터에서 원격으로 자동 조정·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422에 위치한 근린공원. 신사공원은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이 조성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신사공원은 1977년 7월 9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5년 5월 5일에 개장하였으며 2007년에 공원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였다. 신사공원의 면적은 6,800㎡이다. 마...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신사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는 법정동이다. 강남 지역의 교통 관문이며 인구의 집결지이다.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신사동(新沙洞) 동명은 한강변에 있던 새말과 사평리의 이름에서 각각 따와 신사리라 한데서 연유한다. 신사동은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령」제111호에 의거 경기도 구역 획정 때 새말, 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의 신사동주민센터에서 TBWA 건물까지의 655m 구간. 신사동 가로수길은 압구정 로데오 거리, 청담동 갤러리 거리처럼 문화와 쇼핑이 어우러져서 지역의 장소성을 형성해가며 활성화되고 있는 거리이다. 신사동 가로수길은 계획 가로에 의한 인위적인 물리적 공간 조성이 아닌 갤러리와 패션, 디자인 관련 시설에 의해 자생적으로 성장해온 상업가로로서 상업화가 현재 급속...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667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3호선 지하철역. 신사역의 유래가 되는 신사동은 1914년 새말[新村]과 사평리(沙平里)의 두 마을을 합칠 때 각각 첫 글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신사역은 서울도시철도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1985년 10월에 건설되었다. 신사역은 플랫폼길이 205m, 시설규모 2층, 총 면적 7,...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대표적인 사무실 밀집 지역. 신사역 사거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대표적인 사무실과 각종 시설 및 기업들이 밀집된 지역이다. 북쪽으로는 강북을, 서쪽으로는 서초구를 잇는 중요한 교통 기점으로 역 주변에는 먹자골목이 형성되어 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의 형성은 강남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그 시원을 찾을 수 있다.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강남의 도시구조가 완성되고, 강...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550에 위치한 근린공원. 싸리고개공원은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산지 형 공원으로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이 설치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싸리고개공원은 1997년 3월 21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7년 5월 1일에 개장하였다. 싸리고개공원의 면적은 1만 5,073㎡이며, 산지 형 공원이다. 공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아파트 사거리에서 학동사거리 입구까지의 패션과 문화의 거리. 압구정 로데오거리는 갤러리아 백화점 맞은 편에 길이 422m와 폭 10m~22m의 ㄱ자 형태의 상권으로 패션의류 브랜드 직영매장·직수입 멀티숍·개인 디자이너 숍 등 100여개의 의류 상가들이 밀집한 패션과 문화의 거리이다. 압구정 로데오거리는 갤러리아 백화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압구정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법정동이며, 고밀도 주거지역과 증권 및 금융기관이 밀집된 지역이다. 압구정동(狎鷗亭洞)의 동명의 유래는 이곳에 조선 시대 세조 때 한명회(韓明澮)가 지은 압구정(狎鷗亭)이라는 정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원래 ‘압구(狎鷗)’는 한명회의 호(號)인데, 중국 송나라의 재상(宰相) 한기(韓琦)가 만년에 정계에서 물러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과 청담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압구정동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동명에 나오는 압구정(狎鷗亭)은 조선 시대 세조~성종 연간의 권신이었던 한명회가 지은 정자였다. 압구정로는 연장 3.1km, 폭 40m, 왕복 8차선 도로이다. 압구정로는 강남구의 동·서간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435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3호선 지하철역. 압구정역의 유래가 되는 압구정은 조선 시대 세조~성종 때 권신 한명회가 세상일을 잊기 위해 강가의 갈매기를 벗 삼아 지냈다는 정자 이름이다. 압구정역은 서울도시철도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1985년 10월 건설되었다. 압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입지하여 있는 약수터. 최근 양질의 음용수에 대한 국민적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먹는 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물의 질이 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해마다 좋은 약수를 찾기 위해서 도시근교의 사찰·등산로·유원지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이를 반증해준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는 대모산과 구룡산 일대에 29개소의 약...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과 서초구 양재동을 연결하는 도로. 양재인터체인지에서 양재동을 관통하는 도로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6.8km, 폭 50m, 왕복 14차선 도로이다. 강남구 수서동과 양재동 및 송파구와의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6년 양재대로로 불리게 되었으며 1989년 2월 13일 자동차전용도로로 개통됨에 따라 염곡사거리부터 수서 나들목 구간은 이륜차의 통행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영동2교에서 탄천 합류부까지 3.5㎞에 걸쳐 조성된 공원. 양재천은 원래 한강으로 직접 유입되는 한강의 1차 지류였으나 한강 연안개발사업과 주변 일대의 개발로 직강화되면서 탄천으로 유입되는 유역변경 및 유로변경이 인위적으로 이루어진 하천이다. 1970년대 개포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직강화와 콘크리트화되면서 오염이 시작되었고, 이후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과 서초구 양재동을 연결하는 도로. 도로를 따라 흐르는 양재천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4.3km, 폭 10m, 2차선 도로이다. 양재천을 따라 강남·서초 간의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2012년 현재 양재천로는 강남구 대치동과 서초구 양재동을 연결하고 있으며, 도로 남쪽으로는 양재천이 도로와 나란히 흐르고 있다. 대치동 방향으로는 영동대로와 교차하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서 서초구 내곡동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도로. 언주로는 이 도로가 지나는 일대가 옛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이었던 데서 유래하였다. 언주로는 연장 10.8km, 폭 40m, 8차선 도로이다. 언주로는 강남구와 서초구의 남·북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언주로는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제 268호로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 가로명 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서 1997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2급 호텔. 호텔 엘루이는 1997년 관광호텔로 개관하였다. 호텔 이름인 ‘엘루이’는 불어로 신사, 숙녀를 부르는 존칭에서 유래하여 만든 것이다. 지하 5층, 지상 14층 건축 규모의 호텔에는 총 139개의 객실이 있다. 한강이 보이는 전망 좋은 더블 룸과 트윈 룸은 중후하고 고급스러운 실내 인테리어를 기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35에 위치한 근린공원. 역삼공원은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휴게 시설 위주의 휴식 공간이다. 역삼공원은 1971년 8월 7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3년 11월 1일에 개장하였다. 공원의 노후화로 2007년 공원 시설물에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였다. 역삼공원의 면적은 2만 8,519㎡이며, 공원 영...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역삼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행정동인 역삼1동, 역삼2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법정동이다. 강남구의 업무·상업·문화뿐만 아니라 교통의 중심지로 도시환경이 쾌적한 상업·주거 혼합지역이다. 역삼동(驛三洞) 동명의 유래는 조선 시대 역촌이었던 말죽거리, 상방하교[윗방아다리], 하방하교[아랫방아다리] 등 세 마을을 합쳐 역삼리라 한데서 붙여진 이름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과 대치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역삼로는 도곡동길 이라고도 부른다. 역삼로는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역삼동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역삼로는 연장 3.5km, 폭 35m, 6차선도로이다. 역삼로는 강남구의 동·서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1년 1월 21일 서울특별시공고 제14호에 의해 30개 가로명이 제정될 때 도곡로로 이름 지어졌다. 이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04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2호선 지하철역. 역삼역은 서울도시철도 2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1983년에 건설되었다. 역삼역은 플랫폼길이 205m, 시설규모 3층, 총 면적 8,853㎡이며, 1~8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시설로는 역무실 1개소, 자전거보관소 1개소, 무인민원발급기 2개소, 만남의 장소 1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과 개포동을 연결하는 교량. 영동3교는 교량이 위치한 강남구를 영등포의 동쪽 즉, 영동(永東)이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영동3교는 연장 160m, 폭 40m, 8차선 교량이다. 영동3교는 1986년 12월 강남구 도곡동과 개포동 사이 양재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준공되었다. 영동3교는 2012년 현재 양재천을 중심으로 강남구 도곡동 465 사이에 위치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과 개포동을 연결하는 교량. 영동4교는 교량이 위치한 강남구을 지칭하는 영동(永東)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150m, 폭 20m, 4차선 교량이다. 강남구 대치동과 개포동 사이 양재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대진건업에 의해 준공되었다. 1982년 12월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영동4교는 선릉로를 연장하는 교량으로 양재천이 지나는 강남구 대치동 501과 개포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과 대치동을 연결하는 교량. 영동5교는 교량이 위치한 강남구를 지칭하는 영동(永東)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152m, 폭 35m, 6차선 교량이다. 강남구 개포동과 대치동 사이 양재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정우개발에 의해 건설되었다. 1986년 4월 준공되었다. 2012년 현재 영동5교는 삼성로를 연장하는 교량으로 강남구 대치동 506에 위치하고 있으며 양재천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과 개포3동을 연결하는 교량. 영동6교는 교량이 위치한 강남구를 영등포의 동쪽 즉, 영동(永東)이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영동6교는 연장 320m, 폭 50m, 8차선 교량이다. 영동6교는 1985년 6월 강남구 대치2동과 개포3동 사이 양재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준공]되었다. 영동6교는 2012년 현재 양재천을 중심으로 강남구 대치2동 512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서 1979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1급 관광호텔. 영동관광호텔은 강남구 내 호텔 중에서 가장 오래된 호텔로써 논현동과 신사동 일대에서 상징적 랜드마크가 되었다. 영동관광호텔은 일본, 중국, 태국 등 아시아 여행객과 사업 차 서울에 온 외국인 방문객들이 주로 이용하는 비즈니스 호텔이다. 1973년 10월 26일 설립하여 호텔업 인가를 받은 용창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과 성동구 성수동을 연결하는 교량. 영동대교는 한강에 건설된 7번째 교량이다. 영동대교는 교량이 위치한 강남구를 영등포의 동쪽 즉, 영동(永東)이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영동대교는 연장 1,065m, 폭 25m, 6차선 교량이다. 영동대교는 서울특별시 도심권 인구분산과 영동지구 개발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영동대교는 1970년 8월 13일 착공하여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서 일원본동까지 이어지는 도로. 영동대로는 도로가 위치한 강남구를 영등포의 동쪽 즉, 영동(永東)이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영동대로는 연장 4.6km, 폭 50~70m, 왕복 10~14차선 도로이다. 영동대로는 강남구 남·북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영동대로는 1972년 서울특별시가 한양천도 578주년을 맞아 도로명칭이 없는 시내 59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모산 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예약수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산 52-1에 위치한 약수터로 1989년 개발되었다. 예약수약수터는 개포동 주공아파트 3단지 후면과 대모산 북서쪽의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근에는 대모산 소년소녀체력단련장이 있다. 명칭은 ‘옛약수’ 또는 ‘예약수’ 두 가지로 불리고 있다. 이용면적은 600㎡이며, 1일 취수량은 4t...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526 일대 압구정동 한양아파트 21동·71동·81동에 있었던 자연마을. 옥골은 과거 한강의 압구정(狎鷗亭)이 있었던 부근으로 옥(玉)과 같이 맑고 깨끗한 한강 물이 마을을 지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까지는 한강이 마을 앞을 흘렀던 옥골은 경기도 광주면 압구정 주변이었으며, 1963년 1월 1일에 서울특별시 신사동으로 편입되었다. 19...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모산 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옥수천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산 53-32에 위치한 자연 발생된 강남구 소유의 약수터로 1990년에 개발되었다. 옥수천약수터는 개포동 주공아파트 3단지와 4단지 교차로에서 150m 정도 떨어진 대모산 북서쪽의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용면적은 100㎡이다. 1일 취수량은 2ton 정도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의 한남대교 남단과 연결되는 간선도로. 간선도로(幹線道路)는 도로망의 기본이 되는 주요도로이며, 도시사이를 연결하거나 중요 지구를 연결하기 위한 도로를 의미한다. 올림픽대로는 서울특별시의 대표적인 간선도로이다. 올림픽대로는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를 기념하기 위해 이름 지어졌다. 올림픽대로는 연장 42.5km, 폭 40m, 왕복 8차선 도로이다. 올림픽대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강남역에서 교보타워 사거리까지의 IT 기반의 최첨단 디자인 거리. U-Street는 가로 환경 재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으며 강남역에서 교보타워 사거리까지의 위치를 말한다. 강남역 중심상업지역 760m 구간에 시설물을 통해 엔터테이먼트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U-Street는 강남구청 주도로 진행된 특화거리 사업으로써 ‘강남대로 U-Stre...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인능산 도시자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율암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 산 52-1에 위치한 자연발생적인 약수터로 1989년 개발되었다. 율암약수터는 인능산의 북사면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2012년 현재 이용면적은 300㎡이며, 1일 취수량은 5ton,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약 500명이다. 등산로와 연계하여 위치해 있으며, 주변에는 의자 13개소·체력 단련...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율현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는 법정동으로 세곡동 관할 하에 있다. 대부분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지역이다. 율현동(栗峴洞) 동명의 유래는 율현동에서 세곡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에 밤나무가 많이 있었으므로 밤고개, 한자명으로 율현(栗峴)이라 한 것에서 유래한다. 밤나무들은 조선시대 숙종 때 영의정을 지낸 유상운(柳尙運)[1636~1707]...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 있었던 자연마을. 은곡마을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 있었던 마을로 남양 홍씨(南陽洪氏)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으며, 현재는 대왕초등학교가 입지해 있는 지역의 과거 지명이다. 은곡마을은 과거에 망골[望谷] 또는 막은골이라고 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막은골이라는 명칭은 나무를 심어서 마을 입구를 막은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망골에는 남양 홍씨(南陽洪氏)...
-
서울특별시 강남구가 추진하고 있는 의료서비스와 휴양·레저·문화 등 관광활동이 결합한 관광 산업 의료관광은 의료서비스와 관광 상품을 연계한 적극적 마케팅을 바탕으로 추진되는 산업으로 일반 관광 산업보다 이용객의 체류기간이 길고 비용이 높기 때문에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2009년 5월과 2010년 1월 의료법 개정 후 병원에서의 외국인 환자 유치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서 2003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라이프 스타일 비즈니스 호텔. 앰배스텔은 현재 이비스 스타일 앰배서더 서울 강남 호텔과 이비스 스타일 앰배서더 서울 명동 호텔을 운영하고 있는 법인이다. 이비스 스타일 앰배서더 서울 강남 호텔은 한국의 대기업들과 신(新) 벤쳐 기업들의 본사가 대거 집중된 서울의 경제 중심지역인 강남구 대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거주하는 내·외국인의 수, 또는 시민 집단의 계수. 서울특별시 강남구는 수도권의 중심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지역에 해당한다. 강남구의 인구변화를 살펴보면 1994년 56만 8498명이 최고 정점이었다가 1995년에는 주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로의 인구 전출로 인해 55만 4573명으로 전년 대비 2.3%가 감소하였다. 감소 추세는 지속되어 2003년에는 53만 6...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인문·지리적 요소. 강남구는 현재 서울특별시 남부 지역의 사회·문화·산업·행정·교통·관광의 중심지이다. 1960년대의 서울특별시는 경제 발전과 인구 팽창이 급격히 진행되었다. 이에 1963년 광주군에 속했던 강남 일대를 주상복합 전원도시의 개발을 목표로 하여 성동구에 편입하였다. 강남 지역은 개발 붐을 바탕으로 더욱 인구가 증가하였고, 197...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서 1999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1급 관광호텔.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는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와 함께 강남구 삼성동의 한국종합무역센터 단지를 구성하고 있다. 1985년 한무개발로 출범하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를 개관하고 경영하며 우리나라 호텔 전문 기업으로 성장한 파르나스 호텔은 1999년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일원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으며 행정동으로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으로 구성된 법정동이다. 일반 단독주택 및 대단위 아파트단지로 형성된 주거지역이다. 일원동은 옛날 이 마을에 일원서원이 있었으므로 ‘일원’ 또는 ‘일언’이라 한데서 연유한다. 또한 이 근처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이므로 ‘본동’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일설에는 이 마을의 사방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도로. 이 길이 지나는 강남구 일원동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연장 1.4km, 폭 20m, 4차선 도로이다. 일원동의 남·북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89년 지정되어 1996년 완료된 수서택지개발지구 사업으로 남쪽구간이 연장되었다. 2012년 현재 일원로는 일원동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다. 남쪽으로는 광평로와 교차하고 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있었던 자연마을. 일원마을은 대모산 북쪽 사면과 산록에 위치한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의 어원이 되었던 마을의 과거지명이다. 일원마을은 과거 일원서원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마을의 사방이 대모산에 가려져 있기 때문에 ‘편안한 마을’ 또는 ‘숨어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일원마을은 일원동이라는 동명의 유래가 되었는데, 조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717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3호선 지하철역. 일원역은 서울도시철도 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1993년 10월에 건설되었다. 일원역은 플랫폼길이 205m, 시설규모 4층, 총 면적 10,584㎡이며, 1~7번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시설로는 역무실 1개소, 환승주차장 1개소, 자전거보관소 3개소, 무인민원발급...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과 일원동으로 이어지는 광평로의 일부를 이루는 쌍굴 터널. 매봉터널은 쌍굴 터널로 편도 차선마다 터널이 따로 분리되어 있다. 일원터널의 명칭 유래가 되는 일원 동명은 옛날 이 마을에 일원서원이 있었던 데서 연유한다. 또한 이 근처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이므로 본동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일설에는 이 마을의 사방이 대모산에 가려져 숨겨있는 마을 또는 편한 마을이라...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자곡동(紫谷洞)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는 법정동으로 세곡동(細谷洞) 관할 하에 있다. 대부분 개발제한구역 지정되어 있는 지역이다. 자곡동은 대모산 인근에 있었던 자연마을인 자양동의 ‘자(紫)’자와 지곡동의 ‘곡(谷)’자를 따서 자곡리라 칭한 것이 서울특별시에 편입되면서 자곡동이 되었다. 자곡동의 연혁은 조선 후기까지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의 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에 있었던 자연마을.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 중앙에 있었던 자연마을이며, 현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의 전원주택단지로 조성되었다. 자양골이란 명칭은 서쪽으로 산을 등지고, 동쪽을 향한 터에 마을이 위치하고 있어 날이 밝으면 돋는 해의 붉은 햇빛을 받기 때문에 자양골 또는 쟁골이라 불렀다. 한자 명칭으로는 자양(紫陽)이라 하였다. 대모산 산기슭에 있었던...
-
「경기도 광주」 지도에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가 표현된 비변사에서 제작한 전국 군현 지도책. 18세기 후반 필사본 방안식(方案式)으로 제작된 『조선지도』는 위치·거리·방향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 각 지도를 동일한 축척의 20리 방안 위에 그렸다. 따라서 지도에 표현된 고을의 크기는 실제 면적 비율을 보여준다. 또한 같은 정보는 같은 기호로 표시하는 범례를 사용하였다. 즉...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일부 구간으로 포함하는 서울도시철도 2호선. 지하철 2호선은 서울 지역 도시철도 중 유일한 순환선이다. 지하철 2호선은 1977년 4월 서울특별시가 발표한 ‘서울도시기본구상’에서 서울특별시의 중심기능을 3개의 핵으로 나누는 3핵 도시구상과 함께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1980년 10월 31일 신설동과 종합운동장 구간이 최초로 개통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일부 구간으로 포함하는 서울도시철도 3호선. 지하철 3호선은 초기 건설계획 수립단계에는 지하철2호선과 동시 건설됨에 재정여건적 측면에서 민간투자 사업으로 추진방향을 잡았고, 논의과정을 거쳐 1980년 2월 19일 민간투자건설 계획을 확정 발표하였다. 같은 해 2월 25일 서울지하철건설주식회사를 설립하고 2월 29일 건설 및 운영 위탁 협약 체결과 동시 기공식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일부 구간으로 포함하는 서울도시철도 7호선. 지하철 7호선은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온수역과 경기도 의정부시의 장암역을 잇는 도시 철도로 개통되었다. 이후 2012년 10월 25일 온수역에서 부평구청역이 연장 개통되었다. 1980년대 말 자동차 증가추세에 따른 교통체증과 공해요인을 줄이기 위한 서울특별시 지하철계획의 일환으로 1기 지하철 2,3,4호선이 준공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일부 구간으로 포함하는 서울도시철도 9호선. 지하철 9호선은 서울특별시 지하철 가운데 처음으로 수익형 민간투자사업[BTO]방식으로 건설된 노선이다. 지하철 9호선은 제3기 지하철로 강남·강서 간 원활한 대중교통을 지원하기 위해 계획수립 및 건설되었다. 지하철 9호선은 2009년 7월 24일 개화역~신논현역 구간이 1단계로 개통되었고, 그로부터 약 1년만에 수송승...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1동과 송파구 잠실1동을 연결하는 교량. 청담1교는 옛날 이 일대 한강변의 물이 맑아 마을을 청숫골이라고 부른데서 유래하여 원래 청담교로 이름 지어졌다. 이후 청담2교가 준공됨에 따라 청담교는 청담1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청담1교는 연장 450m, 폭 18.5m 4차선 교량이다. 청담1교는 강남구 삼성1동과 송파구 잠실1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1동과 송파구 잠실1동을 연결하는 교량. 옛날 이 일대 한강변의 물이 맑아 마을을 청숫골 이라고 부른데서 유래한 청담교[청담제1교]가 옆에 있어 청담2교라 이름 지어졌다. 청담2교는 연장 500m, 폭 17.4m, 4차선 교량이다. 청담2교는 강남구 삼성동과 송파구 잠실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1988년 건설[준공]되었다. 청담2교는 2012년 현재 강...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66에 위치한 근린공원. 청담공원은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산지 형 공원으로 운동시설, 약수터, 골프연습장을 조성한 주민들의 휴식공간이다. 청담공원은 1971년 8월 7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0년 4월 30일에 개장하였다. 청담공원의 면적은 5만 9,347㎡이며, 운동시설·휴게 공간·청소년회관·골프연습장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 청담동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법정동과 행정동이 모두 청담동이다. 한강변 주거지역과 화랑 및 패션특구로 이루어진 문화시설이 우수한 지역이다. 청담동(淸潭洞) 동명은 현재 청담동 134 일대의 한강변 물이 맑아 이 마을을 청숫골이라 부른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후기까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에 청숫골·숫골·큰말·작은말·솔모퉁이 등으로 구성...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2동 77에서 청담2동 99에 해당하는 명품을 판매하는 거리. 청담동 명품거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갤러리아 백화점을 기점으로 삼성동 방향으로 이어진 일대를 말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패션과 문화의 거리이다. 청담동 명품거리는 1995년 갤러리아백화점 명품점이 들어섰고, 1996년 서울특별시의 특화거리 조성사업으로 명품거리라는 이미지를 굳혔다. 청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명품거리와 연계한 카페가 즐비한 거리. 청담동 카페촌은 갤러리아 백화점에서 청담사거리를 거쳐 학동사거리에 이르는 지역일대가 청담동 거리의 뒷골목으로 이국적인 카페와 바·레스토랑이 들어서면서 형성되었다. 청담동 카페촌은 결혼사진 촬영 장소로도 잘 알려진 거리이다. 배후 주거지인 청담중학교 뒤편과 영동대교 남단 빌라촌 등에 연예인들이 다수 살고 있고, 이들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청담근린공원에 위치한 약수터. 청담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66-3에 위치한 자연발생적인 약수터로 1990년 개발되었다. 청담약수터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청담근린공원 내부에 있는 약수터로 이용면적은 100㎡이다. 1일 취수량은 5ton이며, 일일 평균 이용인원은 약 500명이다. 약수터로 주변에는 휴게 시설인 의자 4개가 설치되어 있다. 서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77-76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7호선 지하철역. 청담역은 서울도시철도7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청담역은 2000년 8월 개통되었다. 청담역은 시설규모 2층, 총 면적 2만 302㎡이며 1~14번 출구로 구성되어있다. 역사길이가 긴 것이 특징이며[약655m] 내부시설로는 역무실 2개소, 엘리베이터 2개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소재의 패션 명품거리. 청담패션거리는 청담역에서 갤러리아 백화점까지의 1.2km 구간의 패션 중심 거리로 2008년 패션특구로 지정된 우리나라 유일의 명품거리이다. 청담패션거리는 서울특별시의 1996년 특화거리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에서 청담동을 패션거리로 특화하면서부터 청담패션거리라는 명칭이 일반화되었다. 청담패션거리가 위치해 있는 청담동(淸潭洞)은 196...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649-1에 위치한 근린공원. 청룡공원은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이 조성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청룡공원은 1985년 1월 15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5년 1월 15일에 개장하였다. 청룡공원의 면적은 9,367㎡이며, 휴게시설과 녹지대 위주의 공원이다. 양재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134-13에 위치한 근린공원. 청수공원은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이 조성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청수공원은 1982년 1월 25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0년 11월 29일에 개장하였다. 청수공원의 면적은 1만 7,402㎡이며, 운동시설과 휴게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722에 위치한 근린공원. 탄천공원은 강남구 수서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휴게 시설이 조성되어 있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탄천공원은 1990년 2월 2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4년 1월 1일에 개장하였다. 2008년에는 공원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였다. 탄천공원의 면적...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과 송파구 가락1동을 연결하는 교량. 탄천교는 교량이 지나는 하천인 탄천(炭川)에서 유래하였다. 탄천에서 명칭이 유래된 교량은 탄천교, 탄천제1교, 탄천제2교가 있다. 연장 340m, 폭 40m, 8차선 교량이다. 강남과 잠실 지역 개발로 인해 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획된 교량으로 강남구 수서동과 송파구 가락1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한양에 의해 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과 송파구 삼전동을 연결하는 교량. 탄천제1교는 교량이 지나는 하천인 탄천(炭川)에서 유래하였다. 탄천에서 명칭이 유래된 교량은 탄천교, 탄천제1교, 탄천제2교가 있다. 탄천제1교는 연장 518m, 폭 30m, 6차선 교량이다. 탄천제1교는 강남구 대치2동과 송파구 삼전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탄천제1교는 1990년 12월 준공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3동과 송파구 잠실7동을 연결하는 교량. 탄천제2교는 교량이 지나는 하천인 탄천(炭川)에서 유래하였다. 탄천에서 명칭이 유래된 교량은 탄천교, 탄천제1교, 탄천제2교가 있다. 연장 518m, 폭 30m, 6차선 교량이다. 강남구 대치동과 잠실동 간의 도로 신설 및 확장 공사에 따라 계획되었으며 강남구 대치3동과 송파구 잠실7동 사이 탄천을 통과하기 위하여 한보...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비즈니스 거리. 테헤란 벤처밸리는 강남구 역삼동 825-15[현 강남대로]에서 선정릉공원을 거쳐 송파구 잠실동 50[현 삼성교]에 이르는 너비 50m, 길이 4,000m의 주간선도로이다. 강남구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대표적 간선도로로 과거와 현재를 이어가며 서울 경제의 미래를 이끌고 있는 무역 도시의 거리이다. ‘테헤란 벤처밸리’라는 명칭은 이란과 한국과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의 강남역사거리에서 삼성동 삼성교에 이르는 강남 지역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도로. 테헤란로는 기존 삼릉로에서 1977년 이란의 수도인 테헤란 시장의 서울특별시 방문과 테헤란시와의 자매결연을 기념하여 테헤란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테헤란로는 연장 3.9km, 폭 50m, 왕복10차선 도로이다. 1972년 서울특별시가 한양천도 578주년을 맞아 도로명칭이 없는 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서 2005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1급 관광호텔. 코엑스 국제무역센터가 있는 삼성역 사거리에 위치한 파크 하얏트 서울은 비즈니스 호텔로써 200개 미만으로 제한된 객실을 두어 이용객에게 개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로비, 라운지, 레스토랑, 회의실 뿐만 아니라 모든 객실의 바닥부터 천장까지 통창을 설치하여 자연 채광에 유리하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서 2001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1급 관광호텔. 2001년 팝그린 관광호텔은 관광호텔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지상 5층, 지하 1층 구조의 호텔 건물에는 약 100여 개의 객실이 있는데, 트윈 베드 룸, 베드 스탠다드, 베드 스위트 룸으로 구분되며, 여기에 온돌 스위트 룸이 추가된다. 전 객실에는 비즈니스 테이블과 개인 금고, 초고속 인터넷...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239-21에 위치한 근린공원. 포이공원은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휴게 시설이 설치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포이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8년 12월 28일에 개장하였다. 포이공원의 면적은 1만 3,577㎡이며, 녹지대와 산책로 사이의 휴게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폭이 좁...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법정동에서 1985년 행정동으로 변경된 동. 학동(鶴洞)은 1992년 10월 1일 폐지되어 논현2동으로 개칭되었다. 학동(鶴洞)은 마을 형국이 학처럼 생겼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학실·학리·학곡 등으로 지칭되었다. 학동은 조선 후기까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학동이었으며,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와 같은 해 4월 1일 「경기도령」제3호에...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26에 위치한 근린공원. 학동공원은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산지 형 공원으로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이 조성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학동공원은 1985년 1월 15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85년 1월 15일에 개장하였다. 학동공원의 면적은 2만 9,947㎡이며,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로 구성되어...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과 청담동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 학동로는 이 길이 지나는 학동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학동로는 연장 3.7km, 폭 30~40m, 8차선 도로이다. 학동로는 강남구의 동·서간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학동로는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공고」제268호로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 가로명 제정 때 학로로 이름 지어졌으며, 1984년 학동로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208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7호선 지하철역. 학동역의 유래가 되는 학동은 마을모양이 학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학실, 학곡, 학곡동으로 지칭되었다. 학동역은 서울도시철도 7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학동역은 2000년 8월 개통되었다. 학동역은 시설규모 2층, 총 면적 9,293㎡이며, 1~10...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2동에 위치한 한강의 갈대밭 부근의 옛 지명. 학여울은 양재천과 서울도시철도3호선 학여울역 사거리 사이의 일대를 말한다. ‘학여울’이란 명칭은 탄천과 양재천이 만나는 한강 갈대밭 부근의 옛 지명으로, 조선 시대 『대동여지도』에는 학탄(鶴灘)으로 기록되어 있다. 학여울과 인접해있었던 양재천은 원래 구불구불한 사행천(蛇行川)으로 곳곳에 여울이 형성이 되어 있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83-1에 위치한 근린공원. 학여울공원은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이 조성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학여울공원은 1982년 8월 18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1988년 12월 30일에 개장하였다. 학여울공원의 면적은 1만 2,506㎡이며, 운동 시설과 휴게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운동 시설로는 산책로 주변을 따라 배치된...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514-4 일대에 위치한 서울도시철도 3호선 지하철역. 학여울역의 유래가 되는 학여울은 탄천과 양재천이 만나는 지점인 한강 갈대밭 부근의 옛 지명이 『대동여지도』에는 학탄(鶴灘)으로 탄을 한글로 풀어서 학여울이라 제정하였다. 학여울역은 서울도시철도 3호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학여울역은 1993년 10월 개통...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도로공원에 한강종합개발사업을 기념하여 세워진 기념탑. 한강종합개발사업은 소양강댐과 충주댐이 지닌 홍수조절 효과를 전제로 한강 연안의 홍수피해를 극소화하는 한편, 한강이 지닌 개발가능성을 극대화하고 버려진 골재를 재원화하여 하천을 종합적·다목적으로 개발 이용하는 것이었다. 사업의 주요내용은 저수로(低水路) 정비, 시민공원 조성, 올림픽대로 건설, 분류하수관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터미널로 공항이 아닌 도심에서 입출국 수속을 처리할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도심 속 공항터미널. ‘CALT[City Airport, Logis & Travel, Korea]’는 한국도심공항의 약어이다. 도심 속에서 빠른 공항서비스, 인천공항 및 김포공항을 연계한 도심공항리무진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1985년 4월 한국공항터미널이 설립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과 용산구 한남동을 연결하는 교량. 한남대교는 한강에 건설된 네 번째 교량이다. 한남대교는 연장 919m, 폭 51.2m, 12차선 교량이다. 한남대교는 1960년대 경제개발과 함께 한강 교량 건설이 본격화됨에 따라 경부고속도로와 더불어 착공되었다. 총 공사비 11억 3,300만원을 투입하여 1966년 1월 19일에 착공하여 4년만인 1969년 12월 25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732에 위치한 근린공원. 한솔공원은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휴게 시설·어린이 놀이터로 조성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한솔공원은 1990년 2월 2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1994년 1월 1일에 개장하였다. 2007년에는 공원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였다. 한솔공원의 면적은 1만 2,878㎡이며, 운동 시설·휴게 시설·어린이 놀이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2동 주변의 과거 지명.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2동 개포 주공아파트 4단지 일대로 과거 600년 수령의 은행나무를 중심으로 자연촌락이 형성되었던 곳을 말한다. 현재는 개포동 주공아파트가 입지해 있다. 한여울은 자연촌락명이며 마을이 갯바닥에 있다고 하여 반곡동(盤谷洞)이라고도 하였다. 한여울이란 명칭은 한강 물이 이곳에 이르면 여울이 세어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212-1에 위치한 근린공원. 한티공원은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운동 시설·휴게 시설·경관 시설이 설치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한티공원은 1977년 7월 14일에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수목과 휴게 시설·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1993년 12월 21일에 개장하였다. 한티공원의 면적은 1만 9,200㎡이며, 남북방향으로 긴 형태이며 휴...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1101-8 일대에 위치한 분당선 지하철역. 한티역은 대치동의 옛 이름인 큰 고개라는 뜻인 한티에서 유래하였다. 건설 당시 임시 역명은 영동역이었으나 경부선 영동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현재 역명이 채택되었다. 분당선 구간 중 하나로, 강남구의 원활한 대중교통 체계를 위하여 건설되었다. 2003년 9월 개통되었다. 시설규모 4층, 1~8번 출구로 구성되어...
-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의 지리·역사·풍속·전승·사회·산업 등을 조사 연구하여 체계적으로 기록한 책. 16세기 중엽 이후 각 군현 단위의 지리지인 읍지 편찬이 활성화되었다. 지리지를 전국 지리지라고 한다면, 읍지는 군현 단위의 지리지라고 할 수 있다. 초기에는 사찬 읍지가 활성화되다가 점차로 관찬 읍지의 편찬이 주가 되었다. 읍지의 체제는 일정한 항목을 설정하고 그 지역에 해당하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을 통과하는 서초구 염곡동에서 경기도 성남시를 구간으로 하는 도로. 헌릉로는 이 길이 지나는 서초구 내곡동 산13-1 대모산 기슭에 조선 태종과 원경 왕후의 능인 헌릉이 있는 데서 유래하였다. 헌릉로는 연장 10.8km, 폭 30~50m, 6~10차선 도로이다. 헌릉로는 서초구와 경기도 성남시 간에 원활한 교통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1972년 11월 26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서 1984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1급 관광호텔. 호텔 선샤인은 도산대로와 논현로가 마주치는 강남을지병원 사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호텔 선샤인은 개관 당시 80개의 객실을 가진 3급 관광호텔로 출발하였으나, 2000년 호텔증축 등을 통해서 1급 호텔로 승격하였다. 이후 10여 년이 지난 2010년 2월에는 호텔 개·보수를 진행하여 111개의 객...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서 1988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2급 관광호텔. 1988년에는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객실 확보를 위해 관광호텔 설립을 권장함으로써 1년 동안 관광호텔 15개가 신설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호텔 프리마가 관광호텔로 설립되었다. 2004년 2월, 객실 83실, 레지던스 12실로 호텔 프리마Ⅱ를 개관하였으며, 같은 해 11월에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서 1987년에 개관하여 숙박시설로 영업 중인 특2급 관광호텔. 1978년 만년장으로 회사를 설립하고, 1982년에 관광숙박업 사업 계획 승인을 얻었다. 1984년 청담동에 호텔을 건설 중이던 선관광호텔을 인수 합병하고, 우성관광으로 상호를 변경하여 1987년 12월에 호텔을 개관하였다. ‘리비에라(Riviera)’는 이탈리아령 라스페치아(La Spez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