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 매화료에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801940
한자 奉恩寺梅花寮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53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741년 - 이덕무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793년 - 이덕무 사망
배경 지역 봉은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531[삼성동 73]지도보기
성격 한시|칠언절구
작가 이덕무(李德懋)[1741~1793]

[정의]

조선 후기 이덕무봉은사(奉恩寺) 매화료에서 지은 한시.

[개설]

「봉은사(奉恩寺) 매화료(梅花寮)에서」이덕무(李德懋)[1741~1793]의 문집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제2권 「영처시고(嬰處詩稿)」에 수록되어 있다. 이덕무박제가(朴齊家)를 비롯한 벗들과 뚝섬에서 배를 띄워 용문산 아래 살던 원중거(元重擧)의 집에 가던 차에 일행과 함께 봉은사 매화료에서 하룻밤을 묵었을 때 지은 한시이다. 봉은사는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해 있다.

[구성]

「봉은사 매화료에서」는 칠언절구로 구성된 한시이다. 봉은사의 옆에는 조선조 성종(成宗)의 능인 선릉(宣陵)중종(中宗)의 능인 정릉(靖陵)이 있는데, 석경(石磬)의 맑은 소리가 이 두 왕릉에 들린다고 표현하였다. 해질녘 산문(山門)을 나와 절을 올리는 승려의 모습과 『금강경』을 빌려 밤에 읽는 풍경도 담박하게 잘 표현하였다.

[내용]

석경원청철이릉(石磬圓淸徹二陵)[석경 맑은 소리 두 왕릉에 들리고]

산문출배석양승(山門出拜夕陽僧)[석양에 산문 나와 절하는 중이라]

금강만향여래차(金剛晩向如來借)[늦게서야 『금강경』을 여래에게 빌려]

독취회랑직구등(讀就廻廊織屨燈)[행랑방 신 삼는 등불에 읽어 보네]

[특징]

「봉은사 매화료에서」는 제1구에 릉(陵), 제2구에 승(僧), 제4구에 등(燈)의 운자를 썼다.

[의의와 평가]

「봉은사 매화료에서」봉은사의 한적하고 고즈넉한 분위기를 잘 표현한 작품이다. 석경(石磬)의 맑은 소리가 만들어내는 청각적 심상을 배경으로 해질녘 산문(山門)을 나와 절을 올리는 중의 시각적 심상이 잘 어울리는 한시이다.

[참고문헌]
  • 한국고전종합DB(http://www.db.itkc.or.kr)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11.13 인명 한자 오기 수정 園重擧 -> 元重擧
이용자 의견
w**** 원중거의 호는 현천으로 원주원씨 시중공계의 인물이다. 그 성씨는 원(元)씨이다.
  • 답변
  • 디지털강남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오자를 확인하고 수정하였습니다. 의견 개진에 감사드립니다.
2019.11.13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