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평대군 이여 신도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800387
한자 廣平大君李璵神道碑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31길 20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나각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425년 - 광평대군 이여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444년 - 광평대군 이여 사망
건립 시기/일시 1574년연표보기 - 광평대군 이여 신도비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81년 2월 5일연표보기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호 지정
현 소재지 광평대군 이여 신도비 -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31길 20[수서동 산 10-1]지도보기
성격 신도비
관련 인물 광평대군 이여|세종|이희안|이염|심의겸|신자수|영순군
크기(높이) 옥개석 133×58×23.5㎝|비신 90×193×26.5㎝|비좌 141×83×43㎝
소유자 광평대군파 종중
관리자 광평대군파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정의]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조선 시대 광평대군의 신도비.

[개설]

수서동 궁마을 대모산[옛 이름 광수산] 북동쪽 기슭에 서울과 근교에 현존하는 조선 시대 왕손의 묘역 가운데 가장 원형에 가까운 광평대군 묘역이 있다. 이곳에는 광평대군 내외 묘소, 태조의 일곱째 왕자인 무안 대군 방번(芳蕃) 내외 묘소, 광평대군의 아들 영순군 이하 그 후손들의 묘소 700여 기가 함께 자리하고 있다. 그 가운데 신도비·혼유석·석등·석인 등이 규례대로 갖추어져 있는 광평대군의 묘소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건립 경위]

광평대군이 세상을 떠난 지 131년이 되어 현손 이희안(李希顔)과 판관 이염(李恬) 등 100여 인이 의논하여 심의겸(沈義謙)에게 명(銘)을 지어달라고 부탁하였다. 이에 비문과 명문이 마련되었으며 광평 대군의 세계와 이름·자 및 통과의례와 개장의 내용 등을 쓰고, 이어 성품·혼인관계와 3대 후손의 번창함을 쓴 후 명문을 지어 첨부하였다. 또 음기가 준비되어 1574년(선조 7)에 건립하였다.

[위치]

광평대군 묘역 내 제실 북쪽 140여 m 떨어진 작은 구릉 중턱에 위치한 광평대군 이여의 묘 중간계단 오른쪽에 있다.

[형태]

머리돌인 가첨석은 옥개형으로 앞면과 뒷면에 글을 새긴 2면비이다. 옥개석은 낮고 편평하며 지붕선의 곡선이 없는 평옥개석이다. 비신은 장방형 판석이고, 받침돌[비좌]은 방형 대석이다. 입석 연대는 1574년(선조 7)이며, 크기는 옥개석 133×58×23.5㎝, 비신 90×193×26.5㎝, 비좌 141×83×43㎝이다.

[금석문]

광평대군 신도비는 비신 앞면 상단에 머리 전서(篆書)로 ‘장의공신도비명(章懿公神道碑銘)’이라고 새겨져 있으며, 비제(碑題)는 ‘유명조선국종실광평대군증시장의공신도비명병서(有明朝鮮國宗室廣平大君贈諡章懿公神道碑銘幷序)’이다. 비문은 가선대부(嘉善大夫) 사헌부 대사헌 청양군(靑陽君) 심의겸(沈義謙)이 짓고, 5대손 조봉대부(朝奉大夫) 전행돈녕부직장 이의건(李義健)이 쓰고, 통사랑(通仕郞) 의정부사록겸성균관권지 박렴(朴簾)이 머리전서를 썼다.

비문의 주요 내용은 비문의 건립배경과 비문의 청탁과정에 이어 광평대군의 출생과 성장·봉작·학업과 봉제사·죽음과 장례·개장을 먼저 기록하였다. 이어 성품과 풍채, 부인 신씨의 출생과 간택·죽음을 기록하고, 이어 아들 영순군의 성장과 손자 남천군·청안군·회원군과 증손자의 번창함을 기록하였다. 이어 명문을 통하여 광평 대군의 자질과 효성과 후손의 음덕을 찬송하고 있다.

[현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호 전주 이씨 광평대군파 묘역에 속해 있어, 종중의 전체 묘역 관리와 더불어 잘 보전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시대 신도비의 기본 형식인 두전·비제·비문·명문을 갖추었고, 특히 광평 대군이 세상을 떠난 후 131년 이 지난 후에 세워져 비 뒷면에 음기(陰記)를 새겨 후손들의 번창함을 기록한 특징이 있다. 조선왕조 왕실 신도비의 면모를 잘 갖추어 학술적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