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섣달그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801862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집필자 김순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궁궐, 가정 등 - 서울|강남|송파|세곡동|일원본동
성격 음력 12월의 마지막 날에 행하는 의례 및 세시풍속
의례 시기/일시 조선시대~현대|음력 12월 마지막 날

[정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매년 음력 12월의 마지막 날에 맞는 명절 및 이와 관련된 풍속.

[개설]

섣달그믐 은 묵은세배를 하며 수세(守歲)하는 풍속이 있었다. 민간에서는 설음식을 장만하고 이 무렵에 대청소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동국세시기』에는 섣달그믐 날에 대해 ‘음력으로 한 해의 마지막 날인 섣달그믐, 조정에 나가는 신하로서 2품 이상과 시종들은 대궐에 들어가 묵은해 문안을 드린다. 양반들은 집에서 사당에 배알(拜謁)한다. 나이가 어린 사람들은 친척 어른들을 두루 방문한다. 이러한 것들을 묵은세배라고 하며, 이것을 하느라 이날은 초저녁부터 밤중까지 골목마다 등불이 줄을 이어 끊이지 않는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섣달그믐은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전야(前夜)로 두루두루 묵은세배가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섣달그믐 무렵에는 우금(牛禁)정책도 완화하여 서울 사람들이 설고기를 먹도록 하였다. 민가에서는 집안 곳곳에 기름등잔을 켜놓고 밤을 지새우는 수세(守歲) 풍속이 있었다. 이러한 불 밝히기 풍속은 근래에도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세곡동에서는 설날 새벽에 잣불을 켰다고 한다. 식구들의 한 해 운수를 점치기 위함이었는데, 성냥개비 끝에 잣을 끼워 불을 붙여 잘 타면 재수가 있고, 그렇지 않으면 재수가 없다고 여겼다. 또한 이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센다고 하여 잠을 자지 않은 채로 새해를 맞이하는 수세도 하였다고 한다. 그믐날에는 쌀, 수수, 팥을 사용하여 전병을 부쳐 먹었다.

현재 일원본동에 거주하는 주민은 강남구의 인근 지역인 송파구가 고향으로, 어렸을 적에 노인들이 섣달그믐에 불을 켜놓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 잣불을 켜기도 하고, 그렇지 않으면 안방, 광, 화장실 등에 귀신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다른 불을 켜놓았다. 1950년대 초반에 일원본동으로 시집을 오니 시댁에서는 잣불 대신 등잔불을 켜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