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상달고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801818
한자 上-告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집필자 정승모

[정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대에서 행해졌던 민간신앙으로 음력 10월 초경에 날을 잡아 집안에서 모시는 신에게 안녕과 무사를 비는 고사.

[개설]

각 가정에는 대를 이어 모셔오는 여러 신이 있다. 마루에 성주신과 대감신, 안방에 제석신, 삼신, 조상신, 부엌에 조왕신 등이 있고 집 뒤편에 터주신과 업신, 마당 우물에 용왕신, 측간에 측신, 대문에 문신 등이 있다. 상달고사는 이러한 신들 중에 각 집안에서 모시는 신은 제각기 다르지만 음력 10월은 무엇을 해도 좋은 달이라고 믿어 주로 초하루에 떡시루를 하여 집안의 신에게 올리는 고사를 말한다. 제관은 기주 즉 가장이 맡기도 하지만 주로 주부가 주관한다.

[연원 및 변천]

상달고사 는 주로 주부들이 주관하므로 시어머니에서 며느리로 전승된다. 이에 따라 시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며느리가 집안일을 맡으면서 이 풍속이 사라지기도 하지만 대개는 이사를 가면 이러한 관행이 끊어진다.

[절차]

세곡동에 거주하는 한 할머니의 기억에 의하면 고사떡은 터줏가리의 쌀을 사용하는 집도 있고, 그해 거둔 햅쌀을 찧은 것으로 떡을 하는 집도 있다. 떡은 백설기이다. 먼저 성주 앞에 떡 한 판을 다 놓고 집안 평안을 기원한다. 터주에서 먼저 시작하는 집도 있다. 그 다음에는 우물, 부엌, 광, 변소, 대문간 등에 놓는다. 집안의 터주신인 터줏대감을 모신 터줏가리는 집 뒷곁에 놓는다. 가로 20㎝, 세로 30㎝ 정도의 작은 항아리로서 아가리에 짚을 덮어 놓는다. 고사를 지낸 시루떡은 동네 모든 집에 한 두 조각씩이라도 돌린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집안에서 모시는 신은 한옥 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양옥, 또는 아파트로 이사하게 되면 자연 소멸된다. 그러나 양옥 구조에서도 집안 신을 모시는 집이 더러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