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봉은사 영산회상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800361
한자 奉恩寺靈山會上圖
이칭/별칭 영산전 후불탱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53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강호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95년연표보기 - 봉은사 영산회상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7년 9월 20일연표보기 - 봉은사 영산회상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봉은사 영산회상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장처 봉은사 영산전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531[삼성동 73]지도보기
성격 불화
작가 덕월응륜(德月應崙)|상규(尙奎)|선명(善明)|완근(玩根)
서체/기법 면본채색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봉은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봉은사
문화재 지정 번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정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봉은사 영산전 후불벽에 봉안된 개항기의 불화.

[개설]

인도 마가다국 영취산(靈鷲山)에서 수많은 사람들에게 설법을 펼치는 장면을 그린 그림을 영산회상도라고 한다. 봉은사 영산전의 후불탱화인 영산회상도는 1895년(고종 32) 영산전의 삼존불과 나한상 등을 개금할 때 나한도 4폭, 사자도 1폭과 함께 제작된 것으로, 2007년 9월 2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봉은사 영산회상도는 세로 114.8cm, 가로 196.5cm의 화폭에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6보살, 제자, 사천왕, 금강신의 인물이 상, 중, 하 삼단에 걸쳐 화면에 꽉 차게 그려져 있다. 본존인 석가모니는 이중의 윤광을 등지고 있으며, 오른쪽 어깨를 살짝 덮은 우견편단을 입고 있고, 육계는 뾰족하게 표현되었다. 화면 최하단에는 사천왕이 건장하게 표현되었고, 석가모니불 좌우측으로는 문수, 보현보살을 비롯한 6보살이 서 있다. 그림 하단의 화기에 의하면 화주는 해옹자선, 청신녀 김원상행, 김청정화, 이대각화 등이며 돌아가신 스승과 남편, 상궁 등의 영가천도를 시주하였고, 덕월응륜(德月應崙)을 수화승(首畵僧)으로 상규(尙奎), 선명(善明), 완근(玩根) 등이 그렸다.

[특징]

전체적으로는 영산회상도의 전형을 따르고 있으나 뚜렷한 3단 구조의 화면 구성에 전체 등장인물이 석가불, 십대제자, 보살, 사천왕만 있는 등 매우 간단한 구도로 표현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주존인 석가모니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 아닌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을 결하고 있는데, 화장사 아미타후불탱[1870년], 서울 미타사 대웅전 아미타후불탱[1873년]의 초본을 그대로 사용하여 제작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화기가 존재하여 금어(金魚)와 시주자, 사찰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어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 또한 19세기 말 서울, 경기 일원에서 제작된 불화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며, 섬세한 인물묘사, 강한 음영법, 금니의 사용 등에서 불화의 양식을 잘 보여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